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5/24 17:31:46
Name Davi4ever
Subject [질문] TV 구입... 최종 두 개의 모델을 두고 고민 중입니다 (수정됨)
예전에 TV 추천해 주셨는데 사는 시기가 조금 늦어져서 이제야 최종 결정을 하게 됐습니다.

최종적으로 두 개를 두고 고민 중입니다.


후보1. LG UHD TV 65UM7800ENA 65인치 울트라HD (벽걸이)  
https://smartstore.naver.com/sycplus/products/5344988860


후보2. LG 올레드 OLED TV OLED55A1ENA 55인치 (벽걸이)
https://smartstore.naver.com/sycplus/products/5572355557


크기가 좀 더 크고 저렴한 UHD vs 상대적으로 약간 작고 살짝 비싸지만 올레드
(참고로 집은 25평이고, 거실에 놓을 용도입니다.
장의 크기를 감안했을 때 65인치는 타이트하지만 들어가긴 할 것으로 보입니다)

큰 게 무조건인지, 올레드면 얘기가 확 달라지는 건지...
최종선택을 두고 결정을 쉽게 못하고 있습니다.
TV잘알 분들의 고견 부탁 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포프의대모험
21/05/24 17:34
수정 아이콘
저라면 무조건 큰거갑니다
올레드 기똥차긴 한데 같이놓고 봐야 차이나지 따로있으면 막눈한텐 Uhd도 감지덕지
집에 티비 한대있는데 거거익선이죠
Davi4ever
21/05/24 17:36
수정 아이콘
저도 거거익선을 믿고 있었는데 베스트샵에 들렀다가 직원분께 올레드 예찬론을 막 들어서
결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크크크 (그분은 당연히 할 일을 하신 거지만요)
21/05/24 17:36
수정 아이콘
특별한 용도가 없다면 큰게 더 먹어줍니다
Davi4ever
21/05/24 17:37
수정 아이콘
역시 거거익선이 진리인가요.
(개인적으로는 유튜브와 넷플릭스 4k 시청이 중요한데 저 두 제품 정도면 큰 차이는 없으려나요)
21/05/24 17:38
수정 아이콘
거거익선입니다.
화질 좋은게 당연히 좋은건 맞습니다만
그 좋은 화질을 사용할만한 소스가 생각보다 많지 않습니다..
Davi4ever
21/05/24 17:39
수정 아이콘
역시 거거익선이 진리인가... 앞으로 몇 년을 두고 보더라도 1번 정도면 대부분 커버가 되겠...죠?
닉네임을바꾸다
21/05/24 17:57
수정 아이콘
LCD이면 삼성 QLED가 나을거같기도 하고...크크 가격이 좀 그럴려나...
Davi4ever
21/05/24 17:59
수정 아이콘
예전에 QLED는 생각보다 유의미한 차이 없이 (+그 차이를 제대로 보여줄 컨텐츠도 적고) 가격만 올리는 요소라는 조언을 들었는데,
OLED도 비슷한 개념으로 받아들여야 할지 판단이 서지 않아서 질문 올렸습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1/05/24 18:04
수정 아이콘
(수정됨) LCD의 변형인데 올해버전은 로컬디밍같은것도 쓰니까...크크
뭐 OLED면 기본적으로 명암비라던가에서 압도적이라...이건 단순히 컨텐츠유무에 상관 없는 부분일거 같은데...로컬리밍도 LCD의 태생적 한계인 명암비문제를 조금 완화해볼려고 하는거라...근데 가격생각하면 뭐...그냥 QLED나 OLED나 안쓰는게 나을겁니다...
Davi4ever
21/05/24 18:11
수정 아이콘
컨텐츠...라기보다는 위에 회색님이 말씀하신 소스가 정확하겠네요.
닉네임을바꾸다
21/05/24 18:13
수정 아이콘
대충보니 Neo라고 따로 붙은 버전으로 비싼 친구구만...
그냥 2번 가시면 될듯 크크
Davi4ever
21/05/24 18:16
수정 아이콘
아이고 크기가 중요하다는 이야기를 주신 분이 많아서 아무래도 1번으로 결정할 것 같아요 ㅠㅠ
그래도 친절히 말씀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1/05/24 18:21
수정 아이콘
아 잘못본거네요 크크 1번 1번
Davi4ever
21/05/24 18:21
수정 아이콘
아 그렇군요 크크크 감사합니다.
터치터치
21/05/24 17:59
수정 아이콘
와 답변과 별개로 티비값 많이 싸졌네요 크크
Davi4ever
21/05/24 18:01
수정 아이콘
UHD가 거의 기본이 되어버려서... 8K로 가면 여전히 가격 무섭습니다 크크
잠이오냐지금
21/05/24 18:02
수정 아이콘
3년전에 똑같은 고민 후 55인치 OLED 선택한 사람입니다.(집 평수도 같습니다)
결론은..
75인치 사고싶습....
Davi4ever
21/05/24 18:10
수정 아이콘
오 저랑 같은 고민을 겪으셨군요 ㅠㅠ 65 쪽으로 더 마음이 가게 만드는...
21/05/24 18:13
수정 아이콘
닥 크기입니다.
Davi4ever
21/05/24 18:14
수정 아이콘
조언 감사합니다.
Rorschach
21/05/24 18:24
수정 아이콘
크기요 크기 크크
Davi4ever
21/05/24 18:25
수정 아이콘
넵 크기 크크크
지니팅커벨여행
21/05/24 19:03
수정 아이콘
작년에 같은 걸로 고민했었는데 저는 티비 크기에 관심이 없어서 올레드로 살 걸 하는 후회를 했네요.
Davi4ever
21/05/24 20:14
수정 아이콘
헉 갑자기 올레드 추천이 많아지니 또 얇은 귀가 펄럭입니다...;;;
disasterOfSun
21/05/24 19:57
수정 아이콘
개임적으로 oLEd 사는 사람이 제일 이해가 안감..
Davi4ever
21/05/24 20:14
수정 아이콘
그... 그 정도인가요;;
코기토
21/05/24 20:04
수정 아이콘
용도가 영화, 게임에 비중이 있으시다면 저같으면 올레드 갑니다.
다들 올레드 경험 해보시고 추천하시는지는 모르겠는데 올레드 화질은 넘사예요.
엘지 정책이 언제까지 유지될지는 모르지만 올레드 번인으로 인한 교체 비용도 대폭 싸져서 2-3년 쓰다가 패널 교체해도 별로 부담 안되는 것 같더라고요.
Davi4ever
21/05/24 20:14
수정 아이콘
유튜브나 넷플릭스를 TV로 잘 즐길 수 있는가에 비중이 큰 편이기는 합니다. 게임 용도로는 쓰지 않을 것 같고요.
흠 또 고민되네요...
코기토
21/05/24 20:20
수정 아이콘
저는 콘솔 게임이 주라서(불끄고 각잡고 게임하면 올레드 진가가 드러납니다)
제 관점에서 말씀드렸는데 말씀드린 용도에서 게임이 확 빠지면 저도 고민 될 것 같아요.
그러시면 그냥 큰게 낫지 않을까도 싶네요.
암튼 만족스러운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Davi4ever
21/05/24 20:22
수정 아이콘
네 상세한 의견 주셔서 감사합니다!
21/05/24 20:09
수정 아이콘
저는 올레드 추천드립니다. 실제 같거든요.
Davi4ever
21/05/24 20:15
수정 아이콘
얇은귀 펄럭펄럭... ㅠㅠ 의견 감사합니다.
21/05/24 20:40
수정 아이콘
저도 요즘 TV 구입 때문에 이것 저것 찾고 있는데
OLED는 아무래도 번인 이슈 때문에 좀 꺼려지는 게 사실이더라고요... (한 번 사면 10년은 쓰는 성격인지라...)

그래서 QLED 보고 있는데
위에 써놓으신 "QLED는 생각보다 유의미한 차이 없이 (+그 차이를 제대로 보여줄 컨텐츠도 적고) 가격만 올리는 요소"
이거 맞는건가요? ㅠㅠ

저도 Davi님 처럼 그냥 65인치 LED나 가야하나....
Davi4ever
21/05/24 20:44
수정 아이콘
제 의견은 아니고 (그런 생각을 가질 정도의 지식이 없습니다;;) 그런 의견을 가지신 분들이 있었습니다.

https://pgr21.com/qna/152276
1월에 제가 QLED 관련해서 질게에 올린 글인데 참고하시면 될 것 같아요.
Davi4ever
21/05/24 20:46
수정 아이콘
여담으로 원래는 큰 걸로 기울었다가 올레드 좋다는 의견이 막판에 몇 개 추가돼서 갈팡질팡 하는 중입니다;;
21/05/24 21:07
수정 아이콘
거거익선이 맞긴한데 저희집은 lg 티비 불량모델제품 사서 백라이트 고장으로 고생해가지고 다음엔 무조건 oled로 사려구요 크크
Davi4ever
21/05/25 09:02
수정 아이콘
불량은 언제나 트라우마로 남죠... ㅠ
21/05/24 22:46
수정 아이콘
백 더 보태서 올레드 65로 가시죠
그게 마음의 평화를 가져다줄 듯 합니다 크크크
백만원 차이? 5년 쓴다치면 일년에 20만원 더 내는거고 한달에 2만원도 안되는 돈입니다. 천단위 벌어지는 차도 아니니 지르시고 마음의 평화를 찾으시죠
Davi4ever
21/05/25 09:04
수정 아이콘
조...조금 더 돈 모아서 독립할 때 좋은 거 사도록 하겠습니다 이번엔 부모님과 함께 사는 집 티비를 갑자기 급하게 바꾸는 거라 크크
21/05/24 23:01
수정 아이콘
참고로 저희집도 24평인데 75인치 qled 정말 잘쓰고 있습니다.

시청거리 3미터 이상만 보장되면 75인치 강추합니다.

저도 상당히 오랫동안 oled랑 led(qled도 사실상 여기분류) 고민했는데요

결론은
케이블TV 시청비중이 높으면 oled의미가 없고 번인 가능성이 높아서 답은 qled였다..라는 것이었습니다.

넷플릭스나 게임도 종종 하니까 고화질 성능도 볼수 있고요.

반대로 케이블을 많이 안보고 고화질게임 비중이 높으면 oled가 좋을것 같습니다.

물론 75qled도 상당히 고가긴 합니다만..(제가 살때는 3백중반대였던걸로)
Davi4ever
21/05/25 09:03
수정 아이콘
75는 거실의 다른 가구 위치를 감안했을 때 쉽지 않을 거예요 ㅠ 그래도 의견 주셔서 감사합니다!
이혜리
21/05/24 23:47
수정 아이콘
큰거
Davi4ever
21/05/25 09:04
수정 아이콘
두글자의 무게감이 덜덜덜;; 감사합니다.
사당보다먼
21/05/25 08:18
수정 아이콘
OLED 가시려면 65인치 OLED로 가시고 돈아끼시려면 65인치 1번 모델로 가세요. 굳이 인치 낮추면서까지 OLED 가는건 아쉬울거같습니다.
Davi4ever
21/05/25 09:05
수정 아이콘
네 좋은 의견 주셔서 감사합니다!
Davi4ever
21/05/25 09:06
수정 아이콘
많은 분들이 좋은 의견을 주셨네요!
덕분에 어떤 쪽으로 결정하더라도 후회없이 선택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정말 감사합니다!
Audiograph
21/05/25 09:46
수정 아이콘
제가 비슷한 평형대에 OLED55BX사용중인데 좀 작다는 아쉬움은 있습니다.
다만 같은영상을 봐도 화질자체가 OLED가 압도적이라 더 큰 사이즈 LCD는 뽐뿌 전혀 안 옵니다.
그리고 OLED가 패널자체가 얇아서 심미적인 부분도 훨 낫습니다.
쿠퍼티노외노자
21/05/25 11:56
수정 아이콘
사이즈에 대한 느낌이 잘 안 오실거 같으면, 55와 65, 75인치 사이즈를 종이로 만들어 벽에 붙여 비교해 보세요.
체감이 확 될겁니다.
저는 65인치 TV를 보고 있는데, 다음에는 75인치 스킵하고 바로 86인치를 노리고 있는 중입니다.
21/05/29 17:45
수정 아이콘
그래서 결론은 무엇인가요!
저도 TV 구입 고민하는 입장에서 궁금하네요 흐흐
Davi4ever
21/05/30 15:02
수정 아이콘
앗 쪽지로 드리겠습니다. (열심히 의견 주셨는데 서운해하시는 분들 있으실까봐)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5413 [질문] 알뜰폰으로 통신사변경시 변호바꿔야하나요? [4] 구동매7786 21/05/26 7786
155412 [질문] 부산 맛집 및 할거 추천 해주세요. [20] 너와나의연결고리10197 21/05/26 10197
155411 [질문] 가족 및 지인이 쓰던 차 살때 필요한것 [7] 아라온10307 21/05/26 10307
155410 [질문] 강서구 맛집이 궁금합니다. (소고기, 참치회) [14] 삭제됨7770 21/05/26 7770
155409 [질문] 지금 PGR내 게시물 검색 기능이 멈추었나요? [2] 라덱6630 21/05/26 6630
155408 [질문] 키보드 별로 유의미한 반응속도 차이가 있나요...? [19] 도전과제12877 21/05/26 12877
155407 [질문] 어머니께서 백신 안 맞겠다고 하시는데 어떻게 설득하죠? [57] 윤정12574 21/05/26 12574
155406 [질문] mbti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40] 고구마줄기무침15636 21/05/26 15636
155405 [질문] 진입시 깜박이 질문 [3] vitaminwater7687 21/05/26 7687
155404 [질문] 아이패드 프로 구입을 고민중인데, 살만할까요? [12] 레이오네8326 21/05/26 8326
155403 [질문] 파워포인트 고수분들 영문단어 문단내에서 끊기는거 질문드려요 [2] TranceDJ8916 21/05/26 8916
155402 [질문] 타이어 펑크로 기진맥진한 날의 이야기 [6] 마다오9337 21/05/25 9337
155401 [질문] 코로나 잠복기 검사 [5] 개떵이다7821 21/05/25 7821
155400 [질문] 30대, 코로나 잔여백신 예약하는게 좋을까요? [22] Right11461 21/05/25 11461
155399 [질문] 한강진역 주변 맛집 추천 부탁드려요(발렛필수) [1] 삭제됨7075 21/05/25 7075
155398 [질문] 블루투스 기계식 키보드 추천해주세요! [8] Klopp7217 21/05/25 7217
155397 [질문] 부모님이 쓰실 편안한 의자 추천부탁드립니다 다레니안6036 21/05/25 6036
155396 [질문] 지금 게시판 이런 상태인 분들 계시나요? [16] 닭강정8451 21/05/25 8451
155395 [질문] 김하성선수잘하나요? [12] cs8390 21/05/25 8390
155394 [질문] 사회적 거리두기 모임관련 질문입니다. [4] 타이푼7832 21/05/25 7832
155392 [질문] 아스트라제네카 접종 전후에 음주하면 안되나요? [15] 요한슨10188 21/05/25 10188
155391 [질문] 컴퓨터 2대에 MS 오피스 설치 [3] 삭제됨11755 21/05/25 11755
155390 [질문] 엑셀 질문 하나 드립니다.(특정 문자 포함 행 복사) [3] 더미짱8608 21/05/25 860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