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5/07 08:42:24
Name Equalright
Subject [질문] 1년변동금리 vs 3년 고정금리 vs 적격대출
안녕하세요. 매번 부동산 관련하여 피쟐에서 조언을 받아 잘 진행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조언해주신대로 구매 진행하여 계약서까지 써둔 상태에서 대출을 알아보고 있습니다.

부동산에서 중개해주신 곳에서 여러가지 대안을 제시해주셨는데, 이게 조건이 너무 달라서 어떤 것을 선택해야할 지 고민입니다.

1) 1년 변동금리 2.4% 35년(거치 X. 거치 1년 가능한데 금리가 올라감)
2) 3년 고정금리 2.75% 35년(거치 X. 거치 1년 가능한데 금리가 올라감)
3) 고정금리(적격대출) 30년 2.9% 적격대출

저와 여자친구 모두 안정적이지만 급여가 작은 편이라, 1번으로 가서 금액 나가는 것을 줄이고 싶은데 주변 사람들은 금리 인상되는 추세라고 아예 2번이나 3번을 이야기하는 친구들도 많더라구요. 반대로 올라도 크게 못올린다고 그냥 1번으로 하라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일단 주변서는 1,2,3번이 모두 비슷하게 표가 나오고 있는데, 짧은 제 머리로는 뭘 선택해야 할지 몰라 ㅜㅜ 조언을 구해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5/07 08:54
수정 아이콘
2번 고정금리요.
Equalright
21/05/07 08:55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21/05/07 14:03
수정 아이콘
아.3년만고정이군요.
3번으로갑니다.
이혜리
21/05/07 09:33
수정 아이콘
저는 3으로 갑니다.
저 집 살 때 3.3% 였어요.
금리올라가다보면 3% 넘어갑니다.
고정금리의 안정성 그리고 2% 대면 충분하리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나중에 금리더빠지면 금융기관 갈아 타는것도 가능해요. 저도 교보생명에서 3년차에 삼성생명으로 대환 후 갈아탔어요.
Funtastic
21/05/07 09:45
수정 아이콘
3번입니다.
아르네트
21/05/07 09:48
수정 아이콘
3번이요. 금리가 예전만큼은 못올라가더라도, 여기서 더 크게 떨어질 가능성은 거의 없습니다. 고정 금리 부럽습니다 ㅠㅠ
생겼어요
21/05/07 10:16
수정 아이콘
(수정됨) 3번입니다. 금리는 이제는 오를 가능성이 더 높아보이구요. 1억대출 기준으로 0.1%면 대충 년 10만원 월 1만원 정도 차이나는데 3년 고정 끝나면 상승폭이 훨씬 더 클겁니다.
21/05/07 10:19
수정 아이콘
최근에 집계약했는데 계산기 다 두들겨봤지만 저는 3번으로 했습니다. 앞으로는 모르는 일이라서 변수를 최대한 적게 만들려고 선택했습니다.
사당보다먼
21/05/07 10:27
수정 아이콘
언제 갚을지도 고려해서 결정하세요. 3년 이내나 5년 이내 등 근시일내에 갚으실거면 1~2번이 3번보다 좋을수도 있고 장기 상환일수록 3번이 변수가 없어서 괜찮겠죠. 최근 10년정도는 금리 오른다 오른다 하면서 계속 떨어지기만 해서 단기적으로는 안오르거나 떨어질수도 있습니다. 금리는 아무도 몰라요~
회색사과
21/05/07 10:28
수정 아이콘
장기로 가신다면 3번요!

1) 금리가 오를 가능성이 내려갈 가능성보다 높다.
2) 금리가 내려간다면 페널티가 없어지는 3년쯤 뒤에 갈아타면 그만이다.

이상의 이유로 저는 35년 고정금리로 대출했습니다
우와왕
21/05/07 11:01
수정 아이콘
거치가 뭔가용??
21/05/07 11:09
수정 아이콘
이자만 내는 기간 아닌가요?
21/05/07 11:13
수정 아이콘
2번 고정금리도 3년지나면 오르는 거 아닌가요?
1-3모두 다 은행이 손해안보는 걸 계산해서 나온 금리겠죠.
저같은 범인이 따져봐야 저것보다 잘 따질 수 있을 것 같지도 않고
금리 오른다고 하지만 언제 얼마나 오를지도 모르는 일이고
나중에 대출제한 더 빡세게 되면 갈아탈 수 있을지 없을지도 모르고.
저같으면 그냥 시세대로 이자내면서 1번 택할 것 같네요.
김유라
21/05/07 11:23
수정 아이콘
저라면 3번 갑니다.

금액이 어느 정도일지 모르겠는데, 5억 기준으로 잡아도 0.5%면 연 250만원, 월 약 20만원입니다. 큰 돈이기는 하지만 금리변동 리스크 감안하면 나쁘지 않은 투자라고 봅니다.
쿠퍼티노외노자
21/05/07 12:02
수정 아이콘
3년안에 현재 대출액의 50%이상을 갚을 수 있다면 2번도 괜찮겠지만, 그게 아니라면 결국 3번이죠.
사비알론소
21/05/07 13:16
수정 아이콘
저는 2.85 3번으로 했습니다 올 초에
21/05/07 13:39
수정 아이콘
3번이요
피식인
21/05/07 15:18
수정 아이콘
30년 짜리면 3번 고정 금리로 갑니다. 그리고 나중에 소득이 늘어나거나 하면 금리인하요구권이라는게 있으니 그것도 알아는 두시는게 좋을거 같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5022 [질문] 매너 파일런 효과는 어느정도인가요? [11] 내배는굉장해19647 21/05/10 19647
155021 [질문] 스타2 테란 프로토스 왕귀형 빌드 질문이요. [2] 원장10219 21/05/10 10219
155020 [질문] 마트에 맛있는 국물 요리 추천 부탁드립니다.. [15] 레너블7667 21/05/10 7667
155019 [질문] 알뜰폰으로 갈아타려고 하는데 유심 5G, LTE어떤거 골라야되나요? [3] 요한슨6634 21/05/10 6634
155018 [질문] 윈도우10 까는 법과 바이오스 설정 알려주세요 [5] wook986997 21/05/10 6997
155017 [질문] 부동산 청약 공부 서적 문의 [2] 졸려7783 21/05/10 7783
155016 [질문] 일본 원전 사고 수습사 행방은 어떻게 됐나요? [2] 보라도리9200 21/05/10 9200
155015 [질문] 주택청약시의 인감증명서 대리인 발급.. [4] 터져라스캐럽7710 21/05/10 7710
155014 [질문] 차량사고 보험사 이의신청(?)은 어디서 하나요? [3] 넙이아니6740 21/05/10 6740
155013 [삭제예정] 동생이 심리적으로 문제가 있어 보입니다 [8] 삭제됨9628 21/05/10 9628
155012 [질문] 한일동시방영 애니 월정액을 질렀는데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5] Cand8445 21/05/10 8445
155011 [질문] 이직을 어떻게 해야될까요? [11] 생힝8762 21/05/10 8762
155010 [질문] 전주에서 물회 괜찮은곳 아시나요?? nomark5488 21/05/10 5488
155009 [질문] 에어컨 고민입니다. (삼성vsLG) [5] 양념반자르반8283 21/05/10 8283
155008 [질문]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자격증이 쓸만한가요? 라멘가게6038 21/05/10 6038
155007 [질문] 친구가 돈을 잠시 보관해달라고 하는데 문제는 안 되나요? [15] 삭제됨10621 21/05/10 10621
155006 [삭제예정] 계류유산.... 이 된거 같습니다.. 어떻게 해야할까요? [21] 삭제됨10208 21/05/10 10208
155005 [질문] 고전 게임 이름이 생각 안나네요. (PCB 배경으로 돌아다니는 플랫폼 게임) [2] 아이언맨7048 21/05/10 7048
155004 [질문] 옛 휴대폰의 카카오톡 내용을 보고싶은데요 [7] 그 닉네임9033 21/05/10 9033
155003 [질문] 고구마에 식이섬유가 풍부하다는게 반만 맞는 말? [2] CoMbI COLa7672 21/05/10 7672
155002 [질문] 앉는 곳이 높게 올라갈 수 있는 컴퓨터 의자를 찾습니다.. 따루라라랑8348 21/05/10 8348
155001 [질문] 이게 해군 ROTC? 라는 글씨 이려나요.. [12] 하나둘셋7366 21/05/10 7366
155000 [질문] 외장하드 보관통 추천 부탁드립니다. [1] 찬가(PGR21)8669 21/05/10 866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