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5/05 18:39:07
Name Chandler
Subject [질문] m1맥북 에어를 주문했습니다 그런데..(vs맥북프로13인치) (수정됨)
종전에 맥북과 아이맥 고민글 올렸는데, 맥북구매를 결정하고 맥북에어를 주문했습니다.

나름 싸게(아주 많이는 아니고...교육할인보다 4만원정도)풀렸다고 판단하고 맥북에어 기본에서 램추가 16기가로 구입했습니다(gpu 7코어, 램16기가, 256기가)

근데 원래 터치바에 대한 로망이 좀 있었어서 맥북프로가격도 검색좀 해보니 상당히 싼가격에 풀려있더라고요(깡통모델, gpu8코어, 램8기가 ssd256기가)
교육할인과 비교시 동옵션대비 약 18만원정도 더 싸구, 위의 16램 맥북에어와 가격이 거의 동일합니다(대신 이미 배송이 시작된 관계로, 맥북프로로 변경시 반송비 5천원이 추가되서 약 2만원 정도 추가비용)

사실 프로라인업은 장난감용도로 살 저에겐 좀 과하다는 생각도 들었고, 곧 새로운 라인업도 나온다고 하니 에어를 사는게 맞다고 생각이 들었는데, 지금 풀린 가격에선 램추가만 포기하면 가격이 갑자기 동일하게 풀려있어서(각각 정가대비로 프로가 에어보다 15만원정도 더 싸게 풀려있는거 같습니다). 아....애매합니다..정말 애매해요 ㅠㅠ

고민이 되는 지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램 8기가와 터치바의 가치 비교
제가 돌릴 가장 헤비한 멀티태스킹은 그전 글에서도 말씀드린것처럼 하스스톤과 넷플릭스 동시재생일겁니다..웹서핑할땐 성격상 여러개 열어놓는거 별로 안좋아하구요. 원랜 패럴랠즈 작업도 고민해봤는데 찾아보니 패럴랠즈가 생각보다 너무 비싸서 걍 윈도우작업은 기존 노트북으로 할려고 합니다. 맥시멈 멀티태스킹은 보통 하스하면서 영상감상 정도입니다..익히 들은 m1칩 성능을 생각하면 램 8기가 추가가 그렇게까지 필수였을까란 후회가 살짝 들기도 하면서..물론 예산안에선 에어로 샀을땐 다다익램이고, 업글이 불가하니 일단 옵션을 넣었는데, 이걸 포기하고 프로로 가면 터치바와 팬 그리고 gpu 1코어추가(미미하다곤 하지만..)이 되는데...터치바가 보기엔 참 멋져보이고...터치바로 앱간 전환도 하고 막 하는거 보면 뽐은 오던데...실제로 사용하시는 분들 터치바 후기보면 진짜 생각보다 별로라는 글도 많고...여튼 m1맥북 사용하시는 분들 램8기가로 어떠신지, 터치바 잘 활용하시는지 등 조언 부탁드립니다.

(2)소음이 1도 상관없는 성격으로서 팬리스의 가치
사실 전 정말 소음에 관심이 거의 없어서..팬리스인게 저한테 어떤 장점일까란 생각도 들더라고요. 제가 말씀드린 저정도 작업하면서 팬이 돌기는 돌까란 생각도 드는데...근데 막상 팬리스의 장점인 무소음이란게 저한텐 거의 가치가 없어서....혹시 팬리스에어와 팬이 있는 프로간에 무게 차이(스펙상으론 100그람 정도)나 두께차이가 에어쓰시는 분들 입장에서 어느정도나 가치가 있을지 궁금하기도 합니다. 좀 더 얇고 좀 더 가벼우면 좋을거 같긴한데..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버드맨
21/05/05 19:02
수정 아이콘
- 램 8기가 충분합니다. 16기가랑 거의 차이 없습니다. M1은 역대급 물건입니다.
- 근데 터치바 로망 있으시면 M1 사셔도 계속 눈에 밟히실 겁니다...
- 팬 유무에 따른 무게 차이는 미미합니다. 소음은 확실히 덜 합니다.
우스타
21/05/05 19:22
수정 아이콘
개인적인 경험과 사견을 말씀드리자면...
- 램은 다다익램이 확실히 맞습니다.
- [그래도 아직까지는 x GB로 충분하다] 라는 말을 하면서 산 뒤 후회를 안한 적이 없습니다. 물론 이 후회가 1년 안에 오진 않습니다.
- 차기작에서 터치 바가 삭제된다는 소리가 심심하면 나오는 이유가. 처음 출시됐을 당시에도 진동 피드백이 없고, 기능이 생각보다 한정되어있는 등. 아무리 잘 봐줘도 기믹에 가까운 물건이었어요. 그게 5년 전이고, 그때 이후로 변한 건 안정성 확보 외엔 딱히 없어요.

- 팬이 없다는 건 다음과 같은 단점과 장점이 있습니다.
D: 지속된 사용에서 스로틀링에 취약할 수밖에 없습니다. 하판에 써멀패드 교체 등으로 샷시로의 열전도를 높여서 지속성능을 업그레이드할 수도 있지만, 이러면 샷시가 너무 뜨거워져 저온화상의 위험이 있을 수 있고, 배터리 성능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A: 가동부가 없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고장날 거리, 정기적으로 분해해서 청소해야할 거리 하나가 없어졌습니다.

개인적으로 "팬이 굳이 없어야 하는가?" 가 아니라 ["팬이 굳이 있어야 하는가?"] 가 가장 맞는 물음일 듯 합니다.
인코딩, 렌더링 등 헤비한 작업을 돌리는 게 아닌 이상 팬이 있을 이유가 없습니다.
스위치 메이커
21/05/05 20:13
수정 아이콘
고성능 작업 안 하는 이상 램은 8GB로 충분하다는 의견이 많더라구요

다만 터치바는 딱히 쓸모가 없다는 의견이 많구요. 저라면 근데 그냥 에어 갈 것 같습니다.
21/05/05 23:14
수정 아이콘
M1 에어와 프로 둘 다 주문 후 프로 돌려보내고 에어 사용 중 입니다.
성능이 깡패라 제가 쓰는 작업 환경 내에서는 퍼포먼스 차이를 느낄 수 없는데 팬리스가 주는 무소음이 너무 좋아서 에어 선택했습니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맥은 램을 추가할 수 없기에 무조껀 다다익램이라고 생각합니다.
덧붙여 저는 터치바 있던 프로 쓰다가 너무 불편해서 일반 프로로 바꿨습니다..
21/05/06 05:58
수정 아이콘
맥북프로 회사컴 터치바 있는 모델, 개인컴 없는 모델 둘다 동시에 썼었는데 솔직히 아무 차이 못 느끼고 효용가치가 없다고 생각했어요.
21/05/06 08:55
수정 아이콘
터치바는 걍 있어보이는 쓰레기입니다. 차후 모델에서는 빠진다는 얘기들도 있구요.
Proactive
21/05/06 11:00
수정 아이콘
저라면 m1 프로가 나오기 전까진 m1에어입니다. 개인 취향차가 있겠지만 터치바 쓸모를 못느꼈고 성능차이가 없으며 팬리스나 m1성능이 충분해서요.
랜슬롯
21/05/06 11:43
수정 아이콘
터치바는 저도 시간님 말씀대로 솔직히 쓰레기에 가깝다고 생각하지만 모든일들이 항상 그렇듯이 나는 잘쓰는데? 라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으니 -0-. 일단 뭐 써보시는건 나쁘지 않다고 봅니다. 전 개인적으로 써보고 싶었고 쓰고 나서 쓰레기라는 결론이 나왔습니다.

그리고 다른 시리즈라면 몰라도 뭐 다다익램이라는 말도 있고, 램은 항상 많으면 더 좋다 라고들 하는데, 이번 시리즈는 괜찮지 않나 싶습니다.
21/05/07 07:13
수정 아이콘
둘 다 16GB로만 가지고 있는데, 지금 리부팅 직후에 사파리에서 4K 영상을 하나 켜고 하스스톤과 덱 트래커를 켜봤더니, Activity Monitor에서 Memory used 9.79GB, Cached Files 6.13GB, Swap used 0 bytes가 뜹니다. 스왑파일을 쓰게 만들려면 여기서 각종 프로그램을 한참 더 실행시켜서 사용량이 14GB 언저리로 올라가야 하는데, 이게 8GB와 16GB의 차이입니다. 8GB는 돌리는게 얼마 없는 상태에서도 쓰기 시작하고, 16GB는 한참 켜야 씁니다. 일반적으로 스왑파일을 쓴다고 해서 속도가 극단적으로 느려지는 것은 아닌데, 그래도 체감은 됩니다.

그 외에도 스왑파일을 쓰기 시작하면 SSD의 수명 더 나아가 기기 자체의 수명이 줄어드는데(SSD 교체가 불가능하므로), 이게 유의미한 수준인지 아니면 50년이 45년으로 바뀌는 무의미한 수준인지는 결국 사용량에 달려있습니다. 스왑파일을 아주 많이 사용면서 데이터가 자주 바뀌는 환경이라면 100TBW-1PBW(보통 컨슈머용 저용량 SSD의 수명)쯤은 수개월만에 채울 수도 있고, 아주 적게 사용하는 환경이라면 하루에 고작 수GB쯤을 보태는 무의미한 수준일 수도 있습니다.

터치바는 원래부터 펑션키를 많이 쓰는 분은 좋다고 느낄 가능성이 매우 희박하고, 원래 펑션키를 거의 안 쓰는 분만 좋다고 느낄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 개인적으로 M1 와서부터 터치바가 더욱 불편합니다. 이전까진 책상에서 랩탑을 쓰는 경우 항상 독에 꽂아서 외장모니터/키보드/마우스를 사용했기 때문에 터치바는 외부에서 사용할 때를 제외하면 있으나 없으나 별 차이가 없었는데, M1 맥북들은 4K 듀얼모니터 출력이 안 되기 때문에 책상에서 쓰는 경우가 거의 없어졌고 덕분에 헛손질이 늘었습니다.

무게는 어차피 둘 다 가벼운 랩탑에 비하면 뚜렷하게 무겁고, 양자간의 차이는 그리 크지 않습니다. 제 경우 이동시에는 10-20kg쯤 나가는게 아닌 이상 그게 그거고(주차장까지 거리가 먼 경우가 없다보니), 누워서 키보드가 필요한 작업을 할 때에나 무게가 의미가 있는데, 그럴 때에는 주로 X1 Nano나 Elite Dragonfly를 쓰고 맥은 안 씁니다. 맥북 프로의 팬은 브라우저 켜놓는 정도로는 안 돌고, 뭔가 꾸준하게 상당한 로드가 걸리는걸 해야 돕니다.
Chandler
21/05/08 13:11
수정 아이콘
많은 분들의 의견 감사합니다. 그냥 에어 16램 잘쓰기로 하고 뜯었습니다 크크

터치바가 써보고 싶긴 했지만 이게 맞는거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4958 [질문] 공무원 마무리 공부법 질문 드립니다 [7] 꽃보단노인7639 21/05/08 7639
154957 [질문] 공유킥보드 거의 공해네요 ㅜㅜ 방법이 없을까요? [16] spiacente8751 21/05/08 8751
154956 [질문] 요즘 한류 강세인 이유가 뭘까요? [9] 아몬9246 21/05/08 9246
154955 [질문] kt인터넷 기가 속도 [5] 능숙한문제해결사8718 21/05/08 8718
154954 [질문] 제 사무실에 공기청정기가 필요할까요? 장헌이도6583 21/05/08 6583
154953 [질문] [머니게임 과몰입 주의] 5번, 8번이 욕을 먹는게 이해가 안됩니다. [21] 엔지니어8651 21/05/08 8651
154952 [질문] 네이버 카페에 있는 글을 블로그에 퍼갈 수 있나요? [6] 채연9858 21/05/08 9858
154951 [질문] 오늘 남해쪽으로 혼여행갈까 생각중인데 갈만한 곳 좀 알려주세요. [13] 기술적트레이더8021 21/05/08 8021
154950 [질문] 갈비뼈에 금이 갔습니다. [5] 시오냥9528 21/05/08 9528
154949 [질문] 어제 창문 반나절 넘게 열어놨는데 괜찮을까요? [5] 칼라미티8536 21/05/08 8536
154948 [질문] 인터넷회사를 어떻게해야 움직이게 만들수있을까요 [1] Fysta9054 21/05/08 9054
154947 [질문] AZ 백신 접종 후 증상 관련 질문입니다. [2] 자렉8531 21/05/08 8531
154946 [질문] 크롬 사용중 가끔 인터넷 창을 새로 띄우면 로드중이 뜹니다. 보로미어8517 21/05/08 8517
154945 [질문] 전월세 전환율 시세를 알고 싶습니다. [2] 노려니9487 21/05/08 9487
154944 [삭제예정] 동생이 어머니께 욕하는게 너무 힘듭니다. 사람한명 살려주세요. 해결책좀 부탁드려요. [24] 아츠푸12196 21/05/08 12196
154943 [질문] 경기도 시흥 출발 캠프닉 갈만한 곳 있을까요?? [1] 원스8683 21/05/08 8683
154942 [질문] 서든어택 브레이브걸스 캐릭터 그냥 구매하면 얻는건가요?? 고무고무냥냥펀치6995 21/05/07 6995
154941 [질문] 램 ddr4 21300 , 25600 동시장착해도 되나요? [6] 박사10512 21/05/07 10512
154940 [질문] 광파오븐 관련 질문입니다. [3] BlazePsyki11209 21/05/07 11209
154939 [질문] MBTI테스트 INTJ형 계신가요? [20] Tyler Durden13813 21/05/07 13813
154938 [질문] 엑셀 vlookup 질문 [3] 패스파인더7387 21/05/07 7387
154937 [질문] 스테이크를 구우려고 하는데요.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5] 민머리요정10706 21/05/07 10706
154936 [질문] 1970년대/1980년대/1990년대의 여성 인권은 어땠나요? [15] AaronJudge998434 21/05/07 843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