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5/03 19:07:10
Name ioi(아이오아이)
Subject [질문] 예비군의 군의 전력으로서의 가치는 어느정도일까요?
친구랑

작년 코로나로 예비군 안 했는데 올해는 안 할려나 라는 이야기 하다가

친구가 우리나라 예비군은 그런거 안해도 이미 깡패다

LA 폭동 때 한국 사람이 자경단 만드는 거나

말년병장이 사건 터지면 제일 빠르다

온갖 주특기 배운 사람이 모이는 데 정예 중에 정예지

라던데

개인적으로 예비군은 그냥 숫자 로서의 의미 그 이상도 그이하도 아닌 거 같은 데

어느 정도 일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5/03 19:22
수정 아이콘
그냥 가챠잘되면 좋은 수준? 편제자체가 부대마다 다를거고 공개적으로 이야기할만한 내용은 안됩니다만 뭐 당연히 전시상황에서 부족한 파트 충원의 의미라서 갑자기 중책을 맡긴다거나 하진 않을 겁니다.(물론 예외야 많겠죠. 직책자체가 중책인 파일럿이라거나..)
이게 예비군이 질적으로 떨어진다기 보다는 예비군에게 핵심계획을 맡기는건 무리수니까요.
그러니까 실제로 가치가 굉장히 높다한들 그것을 평가해서 계획에 반영하는건 미지수가 많기 때문에 가치를 높게 두진 않는다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21/05/03 19:25
수정 아이콘
민방위 아닌 동원예비군이면 전면전 발생시 즉시 투입 가능한 예비병력이 되겠죠.
The)UnderTaker
21/05/03 20:22
수정 아이콘
기초훈련필요없는 당장에 총쏠수있는 전력정도죠.
도뿔이
21/05/03 20:55
수정 아이콘
징병제 국가가 가지고 있는 매우 강력한 수? 정도라고 봅니다.
여기 계신 아재분들은 대부분 처음 군용 소총의 발사음에 깜짝 놀란 경험들이 있으실겁니다.
그런데 이미 익숙한 사람들이 수백만이다? 대단한거죠..
열혈둥이
21/05/03 23:36
수정 아이콘
원래 초반 접전 및 방어를 현역으로 하고
반격을 예비군으로 하는게 징병국가의 기본전략 아닌가요?

군사훈련을 2년동안 받는다는거
우습게 여길일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방구차야
21/05/04 01:34
수정 아이콘
전쟁상황에 대해 평상시에도 계속 무의식적인 머리속 시뮬레이션을 돌리며,
상황발생시 개인적인 사유를 뒤로하고 징집될 가능성을 염두해 두고,
이미 일상의 자유가 제한된 군생활과 군사훈련, 사격등 몇년이라도 경험한 인원은

일반인과는 현저한 차이가 있을수밖에는 없습니다.

개인적인 피지컬이나 능력의 차이 문제가 아니라, 이른바 길들여진 자원인 셈이죠.
통제에 순응, 집단적 행동, 개별적 생존 전략..

일반인 만명과 예비군 만명은 경험에 있어서 압도적인 차이를 보입니다. 단지 총을 쏴봤고 피지컬이 단련되 있고의 문제가 아니라
통제된 상황에서 자기의 롤을 파악하고 행동을 일치해 실제 작전을 수행할수 있게 한다는 근본적인 차이가 있죠

굳이 비교하자면, 예비군은 자기가 일개미,병정개미,숫개미 라는걸 이미 알고 거기에 습득된 양상에 따라 행동하는데 비해
일반인은 개미인거 자체를 인지하지 못하고 우왕좌왕 하며 각개격파 당하는 차이라고나 할까요
아저게안죽네
21/05/04 03:46
수정 아이콘
LA폭동 때 예비군의 힘이 제대로 드러났다고 하더라구요.
이라세오날
21/05/05 17:12
수정 아이콘
한 번 경험해봤다는 건 굉장히 큰 가치입니다.
한 번과 두 번의 차이는 안 큰 종목이 있을 수 있어도 0번과 한 번은 아주 큰 차이가 발생한다고 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81523 [질문] 영웅문 홈에서 국내 etf를 왜 검색되지 않게 했을까요? [3] 해시택1554 25/08/29 1554
181522 [질문] 게시물질문(세액 공제 관련) [5] 교자만두3090 25/08/28 3090
181521 [질문] 주식 양도세 관련 질문드립니다. [8] 지구 최후의 밤3579 25/08/28 3579
181520 [질문] 사무실용 저렴한 외장그래픽 카드 구입하려고 합니다. [12] BK_Zju3591 25/08/28 3591
181519 [질문] 일본어로 이거 뭐라고 하는건가요? (일본야구장응원) [4] bifrost3768 25/08/28 3768
181518 [질문] 헤어 드라이기 요즘 추천하는거 있나요? [7] 포커페쑤3491 25/08/28 3491
181517 [질문] 의정부역 근처 파스타 추천 [6] 삭제됨1076 25/08/28 1076
181516 [질문] 안녕하세요 상속 증여 관련해서 소송을 준비중이에요 [29] 유지태.3860 25/08/28 3860
181515 [질문] 슈로대 한번도 안해본 사람인데 이번 신작 슈로대Y로 시작할만 할까요? [15] 밥도둑3049 25/08/27 3049
181514 [질문] 이 벌레는 뭔가요? 어떻게 퇴치하나요? (사진 있음) [7] 슈퍼디럭스피자3614 25/08/27 3614
181513 [삭제예정] 크리스마스나 설때 3박 4일 정도 해외여행지 추천 부탁드립니다. [8] 콩순이2763 25/08/27 2763
181512 [삭제예정] 유부남 선배님들, 자식을 원하지 않았지만 낳은 케이스에 대해 듣고 싶습니다. [76] 모찌피치모찌피치5160 25/08/27 5160
181511 [질문] 하이패스인데 요금미납 처리가 되기도 하나요 [9] 앗흥2484 25/08/27 2484
181510 [질문] 스위치1 에서 스위치 2로 통째로 복사 항목 사용시 세이브 데이타가 모두 삭제되었을 시 복구 방법 [2] 경마장9번마2561 25/08/27 2561
181509 [질문] 휴대폰 약정및 공기계등 기초 질문드려요 [4] 기뉴122244 25/08/27 2244
181508 [질문] 책 추천을 받고싶습니다. [28] 쉬군2982 25/08/27 2982
181507 [질문] 인천공항 사설 주차대행 업체 추천해주실 수 있으실까요? [24] 욱쓰3924 25/08/27 3924
181506 [질문] 영화를 찾습니다 (feat. 브래드피트) [3] 핸드레이크3343 25/08/26 3343
181505 [질문] 더락과 스톤콜드의 영어를 알아듣고 싶습니다. [2] 농심너구리2294 25/08/26 2294
181504 [질문] 젠틀맥스프로 주기 [15] 어센틱2296 25/08/26 2296
181503 [삭제예정] 물건을 미리 결제하고 나중에 못받은 경우 대처 질문드립니다. 이민들레2112 25/08/26 2112
181502 [질문] 창고 물류 관리 해보신분 질문이 있습니다. [3] 너이리와봐1707 25/08/26 1707
181501 [질문] 언급한 곡들 중 좋아하시는 커버나 리메이크 버전 추천 부탁드립니다~ [6] Cand1259 25/08/26 125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