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4/30 10:51:01
Name intothe_random
Subject [질문] 전세,이사 관련해서 질문입니다!! 꼭 읽어봐주세요!!!
안녕하세요. 최근 사정이 생겨 이사를 해야 하는데 몇가지 궁금한게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1. 지금 살고 있는 집을 계약할 때 버팀목전세자금대출(신한은행)을 받았는데, 이사 시에 목적물변경을 해야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목적물변경이 아무시기에나 가능한가요? 갱신일은 내년 3월쯤인데 갱신일과 상관없이 그냥 아무 때나 할 수 있는 건가요?

2. 목적물변경이 시기에 관계없이 문제가 없다면 저는 목적물변경을 은행에 신청하고, 그냥 집주인에게 전세금을 직접 이체받아서 이사할집의 집주인에게 송금하면 되나요? 돈이 대출받은 은행을 거치지 않아도 되나요?

3. 현재 살고 있는 집을 2016년에 2년으로 계약하고 그 뒤로 따로 계약서를 작성하지 않고 계속 살고 있습니다. 이것을 묵시적갱신이라고 하는 것 같은데, 묵시적갱신일때에는 다음 임대인을 구할 때 부동산비용을 집주인(임차인)이 낸다고 인터넷에 나와있던데 이게 맞나요? 집주인(임차인)이 꽤나 싫어할 것 같은데, 이를 고지했을 때 원만하게 받아들이고 내주는 분위기가 될 수 있을까요?

4. 현재 살고 있는 집이 전세로 일억이천만원인데요, 새롭게 이사할 집은 전세금을 2억 정도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럼 나머지 8천만원을 어떻게 할지 고민중입니다. 지금 생각은 나머지 8천만원을 신용대출 받아서 진행할까 생각중인데요.. 인터넷 찾아보니 대환제도를 통해서 hug안심대출등으로 대출을 통으로 갈아타거나 하면 좋을 것 같다고 하는데.. 대환이라는 것이 절차가 굉장히 복잡하다고 하는데 어떻게 하는게 좋을까요? 굉장히 혼란스럽네요ㅠㅠ

생각보다 이사라는게 절차가 복잡하고 힘드네요.. 많은분들의 도움 요청드립니다.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4/30 10:56
수정 아이콘
1~2는 특정 상품에 대한 내용이라 모르겠으니 패스하고, 3~4는 최근 경험이 있어 조언드립니다.(정답은 아닐 수 있습니다 :) , PGR에 저 외 전문가들은 많으실테니 흐흐)

3. 묵시적 갱신이라도 2년 사셨다는거죠? 저희도 그렇게 나갔던거고 당연 계약기간을 채웠다면 임차인이 부동산에 매물을 올리고 비용을 내는게 맞습니다. 성향이 특별하신 분 아니라면 싫어할일 없을겁니다. 대부분 원만히 진행됩니다. 물론 집이 안나가기 시작하면..조금 피곤해지죠

4. 지금 집의 전세금/대출과 상관없이 새로 이사할집에 대출상품의 최대까지(신용에 따라) 대출이 됩니다. 신용등급이 적절하게 높고 해당 물건에 융자 등이 없다는 전제면 2억의 80%가 된다 보심 됩니다.

4번의 경우는 저도 경험상 답변드린건데요, 여기서 조언을 좀더 보시되, 대부분 요즘 공인중개사 분들이 설명을 해주시면서 은행 상담사분에게 연결까지 시켜드리고, 이 과정에서 모두 설명을 들으시니 크게 걱정하실일 없습니다.
intothe_random
21/04/30 12:21
수정 아이콘
3번에서 임차인이라고 쓰신게 맞나요? 문맥상 임대인을 잘못쓰신거 아닌가 싶은데요ㅠ
21/04/30 12:44
수정 아이콘
아아 임대인, 집주인 맞습니다.
저도 집주인께서 매물 여러곳에 올리고 잘 처리해주셨어요 :)
공부맨
21/05/01 11:50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제일중요한게 묵시적 계약갱신때는
3개월전에 나간다고 고지해야합니다.

정확히는 자동으로 1년씩 연장된다고 보고요
계약만료 1개월전에는 통지해야하고

계약만료시점에 맞춰나가는게 아니라면 3개월전 통보해야합니다.

그게아니라면 중개사비용은 세입자가 내야하거나
그기간동안은 돈을 돌려둘 의무가 없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4820 [질문] 도로에서 이런 경우 박아버리면 누가 더 잘못인가요? [24] 삭제됨8011 21/05/02 8011
154819 [삭제예정] 30초반 회사원 세후급여 6천가까이인데 대출이 하나도 안되는데.. 진짜 방법이 없는걸까요? [26] 삭제됨9994 21/05/02 9994
154818 [질문] 파이썬 반올림 함수 round 질문입니다. [13] ArcanumToss8900 21/05/02 8900
154817 [질문] 멘붕와서 질문드립니다. 휴대폰 [7] 파란무테7775 21/05/02 7775
154816 [질문] TV에 ARC 기능 이용해보려 하는데 조언 좀 부탁드립니다. [4] Rei7815 21/05/02 7815
154815 [질문] 야구도 일주일에 한경기 한다면..? [21] Dresden8501 21/05/02 8501
154814 [질문] 애플 신제품 발표하고 언제쯤 실제 한국에 들어오나요? [5] 시드마이어9470 21/05/02 9470
154813 [질문] 부산에서 여친이랑 갈 호캉스 추천 좀 해주세요 [10] 모든사이즈에도전9297 21/05/02 9297
154812 [질문] 음악 제목 질문입니다. [1] 흡-흡-허-6889 21/05/02 6889
154811 [질문] 그래픽카드 빼고 견적인데, 괜찮을런지요? [5] 백곰사마8358 21/05/02 8358
154810 [질문] 여러 은행에 신용대출을 알아봤더니 신용대출이 아예 막혔습니다;; [5] zzzzz7664 21/05/02 7664
154809 [질문] 발열 및 두통 콧물이 심한데 응급실 가면 코로나 검사되나요? [8] 기술적트레이더7897 21/05/02 7897
154808 [질문] 당뇨남이라는 게 어떤 의미로 쓰이는 건가요? [9] 부기영화9216 21/05/02 9216
154807 [질문] 조카 선물용 자전거 추천부탁드립니다. [4] Rough6460 21/05/02 6460
154806 [질문] 델 에일리언웨어R12 문의 [5] 삭제됨9503 21/05/02 9503
154805 [질문] 요즘 디젤차 사는건 바보일까요? [13] 비상하는로그9367 21/05/02 9367
154804 [질문] 4인 이상 모임금지 영유아도 인수에 포함되나요? [4] 농심신라면9879 21/05/02 9879
154803 [질문] 로드자전거 고수분들 계신가요? [2] 삭제됨6798 21/05/02 6798
154802 [질문] 노트북 키보드 치기 편한 브랜드는? [7] 브라이언6885 21/05/02 6885
154801 [질문] 곤약젤리로 다이어트 해보려는데 추천 좀 해주실수있나요? [1] Skyfall11929 21/05/02 11929
154800 [질문] 소피아 공주 다운받을수있는곳 아시나요? [2] 베트남맛연유커피8520 21/05/02 8520
154799 [질문] 가테 지금 시작해도될까요? [2] 그림속동화9827 21/05/02 9827
154798 [질문] 임시폰으로 카톡 사용하려는데요 [3] 삭제됨6418 21/05/02 641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