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4/21 11:07:08
Name 호아킨
Subject [질문] 헬스 후 체력 회복이 되질않는 느낌입니다.
일주일에 대략 3회 정도 운동하고 있는 평범한 직딩입니다.

원래 점진적 과부하를 목표로 최대 무게 비슷하게는 쳤는데
지난 주 금요일 아무리 해도 힘이 안들어가서 대충 운동 마무리하고 금토일 방콕하면서 낮잠 엄청 자고 푹 쉬었습니다.

아 토요일에 홈트로 턱걸이 50개 / 푸쉬업 210개 하긴 했네요. 아무튼 엄청 누워있어서 허리가 아플 정도로 쉬었고

월요일에 헬스가서 스쿼트 하는데 뭔가 느낌이 쎄하긴 했는데 개인 최고기록은 120kg인데 105kg에서 주저앉아버렸습니다

오늘도 운동가야하는데 뭔가 컨디션이 올라오지 않은 느낌...

이럴땐 그냥 되는데까지만 운동하고 오는게 좋을까요 / 아니면 그냥 쉬는게 좋을까요?

ps 운동 질문 하기 좋은 커뮤니티 추천 부탁 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나이로비
21/04/21 11:12
수정 아이콘
디로딩 한주 하시죠
리얼월드
21/04/21 11:13
수정 아이콘
프로들도 컨디션 안좋을때 무게 낮춰서 하더라고요
21/04/21 11:30
수정 아이콘
운동 끝나고 폼롤러 30분정도 해보세요...
글고 컨디션 안 좋으면 쉬시는 것도 좋은듯..
21/04/21 11:46
수정 아이콘
다른 분들 말씀대로 쉬셔야 할 듯.
평생 헬스한다고 생각하시고 너무 조급해하지 마세요.
호아킨
21/04/21 12:02
수정 아이콘
다들 답변 감사합니다. 되는데까지만에서 5~10키로 빼서 운동하고 와야겠네요 흐흐
타이팅
21/04/21 12:44
수정 아이콘
무작정 쉬기 보다는 능동적 휴식이 좋습니다
가벼운 유산소와 스트레칭은 회복력을 끌어올려줍니다
라디오스타
21/04/21 13:53
수정 아이콘
몬스터짐이요
21/04/22 09:49
수정 아이콘
직장인에 주3회 고중량 웨이트 트레이닝을 하신다는 전제에
1년 이상 프로그램 돌리셨다면 본인의 1차 유전적 한계중량 만나서 중량 더 이상 안올라가고
오히려 중량 떨어지거나 평소에 잘하던 스쿼트나 데드도 몸이 불안해서 겁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을 거 같습니다.
2년이상 트레이너 붙여서 스트렝스 훈련 해봤는데 헬창들이 고중량운동 보디빌딩식 운동 어떨 때는 맨몸운동 막 돌아가면서 하는 이유가 있더군요.
특정한가지 방식으로 운동하면 소질이 있지 않는 이상 정체기가 오기 마련이고 그 때는 다른 스타일로 운동하다가 거기서 또 정체기가 오면 예전스타일로 돌아가보고 그러다보면 헬창이 되는거 닽습니다.
호아킨
21/04/22 11:41
수정 아이콘
아 지금 딱 정체기 같아요 5rm 기준으로 최고 데드 120 / 스쿼트 120 / 벤치 80 하는데 더이상 늘어나지도 않고 치는 무게도 겨우겨우 치는... 답변 감사합니다
21/04/22 12:14
수정 아이콘
저는 130 130 90 정도에서 6개월 넘게 정체기 왔습니다.
저는 그냥 포기 했습니다. 이게 골격이랑 근육량이 중요해지는 시기가 찾아오더라고요.
제 트레이너는 고중량 트레이닝은 30대 직장인 기준이로 주2회만 시키더라고요.
나름 책도 쓰고 유명한 사람인데 트레이닝 시켜보면 사람들이 주2회 정도가 직장다니는 사람들이 컨디션 유지하면서 할만한 정도라고 합니다.
우선 좀 쉬시면서 놀러다니고 다른 쪽 운동도 알아보시는 것도 좋을꺼 같아요.
호아킨
21/04/22 12:18
수정 아이콘
경험에 우러나온 조언 감사합니다 :)
21/04/22 12:20
수정 아이콘
책이랑 인터넷만 보면 잘하는 놈 천지인데 실상은 그렇지 않습니다.
헬스장에서도 눈에 보이는 사람들이 잘하는 이여서 그렇지 세자리수 스쿼트 5rm 할 수 있는 사람 드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4586 [질문] 아실 앱 아파트 실거래가 질문입니다. [1] 시오냥6548 21/04/23 6548
154585 [질문] 천호역 근처 편의점에서 본 아시아나 항공기 [3] corona9719 21/04/23 9719
154584 [질문] 방에서 와이파이가 잘 안 잡힐 때 공유기 설치를 어떻게 하는 게 제일 좋을까요? [8] 모나크모나크8396 21/04/23 8396
154583 [질문] 혹시 울고싶을 때 보는 영상 있으신가요? [51] 파란무테11604 21/04/23 11604
154582 [질문] 이 곡을 찾는게 가능할까요 + 가사라도 (드라마 찬란한여명) SaiNT6583 21/04/22 6583
154581 [삭제예정] 연애/결혼 질문입니다.(장문주의) [27] 삭제됨8692 21/04/22 8692
154580 [질문] 연애 가능성(?)에 관한 질문입니다. [7] 삭제됨8084 21/04/22 8084
154579 [질문] 취득세와 비과세 문의입니다. 브라이언9299 21/04/22 9299
154578 [질문] 로아 점핑 없이 할 만 한가요? [18] scscsc18423 21/04/22 18423
154577 [질문] 고가시계 거래방법 문의드립니다. [6] 삭제됨8789 21/04/22 8789
154576 [질문] 윈도우 10 로그온화면 변경 시 다운? [4] 차라리꽉눌러붙을10308 21/04/22 10308
154575 [질문] 이런거 질문을 해도 되나 모르겠는데;; 그..사이트 관련해서 [25] AaronJudge9912897 21/04/22 12897
154574 [질문] 모뎀 라우터 따로 쓰는 게 좋나요? [3] 공백7319 21/04/22 7319
154573 [질문] [부동산] 1세대 1주택 양도소득세 질문입니다.(2년 보유에 대한 해석) [6] 구르는너구리8539 21/04/22 8539
154572 [질문] 중고차 보는 기준 [16] 에프케이9545 21/04/22 9545
154571 [질문] 중형차 vs 준대형차 조언 부탁 드립니다. [32] 성난큰곰10155 21/04/22 10155
154570 [질문] 컴퓨터에서 소리가 안 납니다.. [5] 이과망했으면8356 21/04/22 8356
154569 [질문] 티비 어떤걸 구매해야할까요? [13] 큐브큐브10091 21/04/22 10091
154568 [질문] 보디빌딩 관련 질문 [4] 醉翁之意不在酒7175 21/04/22 7175
154566 [질문] 알뜰폰 요금제 관련 질문드립니다. [2] 요한슨8458 21/04/22 8458
154565 [질문] 잘 때 뭐 들으면서 자면 안좋나요? [5] 아니그게아니고9957 21/04/22 9957
154564 [질문] 라이젠 cpu 교환 [12] 롯토12691 21/04/22 12691
154563 [질문] 넷북사려고 하는데요! [9] 조현8259 21/04/22 825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