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4/19 01:18:27
Name
Subject [질문] 미국의 양적완화는 나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논리적 비약 주의)

1. 최근 부동산 주식 코인 등의 미칠듯한 상승의 주 원인 중 하나가 미국의 양적완화가 아닐까 싶습니다. 미국의 양대적자를 해결하기 위함으로 이런 것을 하는 걸로 알고 있는데, 폭탄이 터지기 전이라면, 가용한 현금성 자산을 기타 다른 것으로 바꾸는 것이 현명할까요? (부동산 주식 코인 자원 등등)

2. 이렇다면 미칠듯한 인플레를 보여줘야 하지만, 실제 부동산 주식 외 실물경기에서 그러한 인플레가 나타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3. 이러한 레이스의 끝에 폭탄은 터질까요? 터진다면 어떤방식으로 터질까요? 그땐 우린 어떻게 해야 할까요?

이 미친듯한 부동산 가격 상승이 우리나라만의 일이 아닌걸 알거 이런 저런 뻘생각을 해봤습니다.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경잘알의 댓글 기대하겠습니다.

(이 중에 성지가 있었으면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4/19 01:29
수정 아이콘
(수정됨) https://youtu.be/cwezKSO9mXQ
이 영상이 정답은 아니겠지만,
어느 정도 답변은 될거라 봅니다.
시간 날 때 보시길.

아무튼 당분간은 자산시장의 상승이 계속 될 것 같습니다.
언젠가 터지기야 하겠지만 언제가 될지
누가 알 수 있겠습니까.
샤른호스트
21/04/19 01:34
수정 아이콘
경잘알은 아니지만...실리콘밸리 쪽에 서식하는데, 여기 주변에서도 버블이 터진다 안 터진다 논쟁이 많았습니다.
양적완화라는게 이번만이 아니라 한참 된 이슈라서....그래서 이번엔 터질 것이다! 이런 결론에 다 다른 사람들은 은퇴계좌에서 주식에 들어있던 돈을 다 빼서 채권으로 바꿔 놓고 그랬죠. 하지만 결국 승자는 닷컴 버블, 2008년 금융위기, 서브프라임 코로나 등을 거치면서 주식을 샀다 팔았다 했던 사람들이 아니라 주식이 오르던 내리던 꾸준히 사기만 했던 사람들이었습니다.
저도 은퇴계좌에서 매달 주식을 알아서 사게 해두었는데, 로빈후드에서 샀다 팔았다 온갖 짓을 다 했지만 수익률에서는 은퇴계좌가 2~3배 높아서 가슴이 아픕니다.
타이밍을 정말 잘 맞출 수 있다면 버블이 터지기 전에 다 현금화 해 놓고, 버블 터지고 나서 다시 들어가는 것이 베스트죠. 주변에도 이번엔 터질꺼야 하고 코로나 몇 개월 전에 주식에서 손 털고 나오신 분이 계신데, 코로나 폭락 때 좋아하시다가 반등에 못 타고 아직도 못 들어 가셨습니다. 버블이 터질지 말지 알아맞추는 것은 신의 영역이라 봅니다. 저 같은 개미가 할 수 있는 일은, 일정비율 현금을 들고있는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성장주 40%, 배당주 20%, 현금성 40% 이런식으로) 적절한 리밸런싱으로 수익 실현을 하면서 혹시나 올 수 있는 버블팝 때 적절히 나눠서 들어가는 것 밖엔 없는 것 같습니다.
훌게이
21/04/19 12:33
수정 아이콘
부동산, 주식, 채권, 금, 현금, 원자재 등등 일개 개인들은 자산 배분 해놓고 기도하면서 지내는게 정답입니다.
IMF도 겪고, 금융위기도 겪고, 자산 폭등기도 겪고 하다 보니 마켓타이밍을 예측하려는 시도 자체가 감히 시장에 도전하려는 무엄한 행위라고 느껴집니다.
지나고 보면 큰 수익 노리지 말고 크게 잃지도 않고 조금씩 꾸준히 불리는게 가장 쉽고 정석적이고 건강한 자본주의 사회의 금융 마인드입니다.
물론 본인이 피터린치고 워렌버핏이면 해도 됩니다만 너와 나와 우리 대부분은 아니니까요.
우리고장해남
21/04/19 13:29
수정 아이콘
저평가된 기업을 발굴해서 개인이 주식으로 매수하면 좋겠지만 어디가 무릎이고 어디가 어깨인지 모르는게 사람이고 코스피처럼 박스피가 길거나 언제까지 하락할지 상승할지 모르고 객관적인 전략보다는 주관적인 생각으로 개입하니깐 펀드매니저나 개인투자자는 수익률이 좋지 않은거같아요.
마음 편하게 미국장 ETF(나스닥100,S&P500)에 넣어서 꾸준히 리밸런싱 해주고 본인 업무 열심히 하는게 최고라고 봅니다.
ETF에 관심이 있으시면 '주식투자 ETF로 시작하라' 꼭 읽어보세요. 평균모멘텀 계산으로 매달 리밸런싱 해주는데 아주 기가막힙니다. 객관적인 전략으로 하는데 머리 아플 일도 없고 수익률도 10% 이상 나오고 있구요. 매달 10분 정도만 소모하면 리밸런싱 쉽게 하거든요. 꼭 읽어보세요.
아르네트
21/04/19 17:36
수정 아이콘
쿨럭쿨럭.. 이런 말하기 죄송스럽지만 이미 박살난 전략입니다.... 다른 전략을 찾아보심이...
우리고장해남
21/04/19 21:54
수정 아이콘
추세추종 전략이 별로인가요? 이제까지 재테크한것 중에서 제일 괜찮은데 흠.. 여튼 좀 더 해보겠습니다. +15~ -15%예상으로 투자중인데..
아르네트
21/04/20 10:38
수정 아이콘
해당 전략으로 만든 펀드가 있으니 살펴보시면 좋을듯 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4578 [질문] 로아 점핑 없이 할 만 한가요? [18] scscsc18469 21/04/22 18469
154577 [질문] 고가시계 거래방법 문의드립니다. [6] 삭제됨8817 21/04/22 8817
154576 [질문] 윈도우 10 로그온화면 변경 시 다운? [4] 차라리꽉눌러붙을10370 21/04/22 10370
154575 [질문] 이런거 질문을 해도 되나 모르겠는데;; 그..사이트 관련해서 [25] AaronJudge9912954 21/04/22 12954
154574 [질문] 모뎀 라우터 따로 쓰는 게 좋나요? [3] 공백7344 21/04/22 7344
154573 [질문] [부동산] 1세대 1주택 양도소득세 질문입니다.(2년 보유에 대한 해석) [6] 구르는너구리8572 21/04/22 8572
154572 [질문] 중고차 보는 기준 [16] 에프케이9577 21/04/22 9577
154571 [질문] 중형차 vs 준대형차 조언 부탁 드립니다. [32] 성난큰곰10203 21/04/22 10203
154570 [질문] 컴퓨터에서 소리가 안 납니다.. [5] 이과망했으면8388 21/04/22 8388
154569 [질문] 티비 어떤걸 구매해야할까요? [13] 큐브큐브10142 21/04/22 10142
154568 [질문] 보디빌딩 관련 질문 [4] 醉翁之意不在酒7213 21/04/22 7213
154566 [질문] 알뜰폰 요금제 관련 질문드립니다. [2] 요한슨8493 21/04/22 8493
154565 [질문] 잘 때 뭐 들으면서 자면 안좋나요? [5] 아니그게아니고9986 21/04/22 9986
154564 [질문] 라이젠 cpu 교환 [12] 롯토12721 21/04/22 12721
154563 [질문] 넷북사려고 하는데요! [9] 조현8288 21/04/22 8288
154562 [삭제예정] (15금) 답을 미리 알고 인생을 사는 기분입니다. [60] 삭제됨13171 21/04/22 13171
154561 [삭제예정] pc 책상 스피커 질문해도 될까요 [2] 도련8374 21/04/22 8374
154560 [질문] 최대한 덜 취하면서 술 마실방법을 찾습니다. [22] 김솔13937 21/04/21 13937
154559 [질문] ps5 피파21 친구랑 같이 하는 방법을 찾고있습니다 회전목마9639 21/04/21 9639
154558 [질문] 아직 사귀자고 말은 않했는데... [13] 모든사이즈에도전9433 21/04/21 9433
154557 [질문] MS 플라이트 시뮬레이터 비행시간이 어떻게 되죠? [1] 종이컵7865 21/04/21 7865
154555 [질문] 쿠팡 로켓설치로 TV 구매예정인데요. [3] Rei12777 21/04/21 12777
154554 [질문] 진짜 연락을 안 하는 스타일도 있나요? [66] CastorPollux17723 21/04/21 1772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