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3/18 13:42:09
Name 깃털달린뱀
Subject [질문] 영어 스피킹에서 right?을 남발하는 건 한국인 습관일까요?
이번 학기에 영어 수업을 몇 과목 듣는데 교수님들이 죄다 말끝마다 right?을 붙이십니다.
근데 이게 교수님들만 그러는게 아니라 심지어 저도 영어로 얘기할 때 right?을 입에 달고 살거든요.
저는 대충 상대 의중을 추측하거나 확인할 때 문장 자체만으론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부족하단 느낌을 받아서 뒤에 right을 달아요.

이게 원래 영어에서도 이래 많이 쓰이는지 아니면 그냥 한국인(혹은 영어 비원어민)의 특징인지 궁금합니다.
영어 강연을 가끔 보는데 right을 많이 쓰긴 하는데 그렇게 압도적이란 느낌은 느껴본 적이 없거든요.

개인적인 추측으로는 크게

1. 내 착각이다(표본 오류 or 원어민도 많이 씀).
2. 원어민은 right? 이외에도 다른 여러 표현을 섞어 쓰는데 비원어민 입장에선 제일 만만한 right?만 쓰다보니 이래 된 것.
3. 한국어의 추임새 '그치?' 같은 것들의 영향이 영어를 쓸 때도 나타난다.

이 셋 중 하나일 것 같은데 어느 쪽이 맞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3/18 13:44
수정 아이콘
뭐 사람마다 언어 습관이라는게 있을수는 있는거니까요
특정 단어를 달고 사는 사람이라던가...
그게 외국어라서 좀더 부각되어 들릴수는 있는 것일수도있고
특별히 중요하다고 생각되어지는 부분이 아니라면 의식적으로 줄일수있으면 줄이는게 좋은방향이긴합니다.
깃털달린뱀
21/03/18 14:11
수정 아이콘
이게 개인의 습관은 단지 습관이지만 집단의 경향성은 특징이 될 수 있으니까요. 사실 이 부분에서 저도 확신이 없긴 합니다. 진짜 한국인이 많이 쓰는게 맞나? 하고요.
띵호와
21/03/18 13:48
수정 아이콘
오라이 오라이
깃털달린뱀
21/03/18 14:11
수정 아이콘
Alright!
한걸음
21/03/18 13:50
수정 아이콘
부가의문문을 많이 쓰는것 같기도 하구요.
깃털달린뱀
21/03/18 13:58
수정 아이콘
어, 그렇네요. 확실히 한국인이 영어로 말할 때 부가의문문 쓰는 경우를 많이 못봤네요. 일반적으로 부가의문문으로 말 하는 경우를 죄다 right로 때우는 느낌도 들고요.
묵리이장
21/03/18 14:05
수정 아이콘
영어는 유노~
일어는 아노~
말하는 사람마다 다른거 같긴 합니다.
깃털달린뱀
21/03/18 14:12
수정 아이콘
오 you know도 그렇게 많이 쓰는 걸 못봤네요 그러고보니.
사실 you know~ 하고도 마지막에 right 붙이는 경우는 종종 봤...
열혈둥이
21/03/18 14:14
수정 아이콘
아닙니다. 고작 미국에서 1년 살면서 right? 을 입에 달고사는 외국인을 최소 세명은 기억하는걸로 봐선
그냥 말투일겁니다.
깃털달린뱀
21/03/18 14:35
수정 아이콘
크크크크크 그냥 사람 말투 따라 다른거고 한국인이 그러는 건 딱히 특징이라기보단 그 영향을 받은거라 보면 되겠군요.
21/03/18 14:25
수정 아이콘
1번과 2번 사이 아닐까 싶습니다. '외국어로 영어를 배운 (유식한 표현으로 ESL)' 경우에 나타나는 몇가지 특징이 있는데, 그 중에서 하나가 듣는 사람에게 자꾸 군말로 되묻는 경향이 있습니다. You know what I am saying?, Yes?, What do you think?, Okay?, Are we good? 등등이요. 아마 이것에 해당하는 경우일 수도 있다고 생각이 듭니다.

다만, 원래 언어습관이라는 것은, 일터에서도 그렇듯이 말투의 전염이 일어나는 것이고, 속하신 집단에서 어떤 한분이 워낙 찰지게(?) 특정 표현을 미신다면 퍼지는 것 또한 자연스럽다고 생각합니다.

이건 상관 없을 가능성이 매우 높은 사족입니다만, 한국인 영어가 캘리포니아 영어의 영향을 많이 받아서, 미국인들 입장에서는 Valley Girl, 그러니까 백인중산층여고생의 촐싹거리는 말투 같다고도 많이 평가받지요. Right 정도가 아니라, Oh, really? Like... (말 앞에 붙는 군말), Totally... 같은게 느껴지신다면 이 경우일수도 있습니다.
깃털달린뱀
21/03/18 14:38
수정 아이콘
오 ESL이 되묻는 군말을 많이 하는 건 처음 알았네요. 모어가 아니라서 자기 말 전달에 확신이 없다는 무의식의 발현일까요? 초보자 시절의 습관이라던가.

Valley girl accent 관련은 참 재밌더라고요. 한국인도 like 좀 많이 쓰지 않아 싶었는데 진짜 본토에서 많이 쓰는 사람을 보니까 한 문장 내에서만 like를 몇 개씩 집어넣고 말하는 수준 크크크크.
비밀친구
21/03/18 14:31
수정 아이콘
음 처음 듣는 얘기네요 영어권 23년째 거주중입니다.
깃털달린뱀
21/03/18 14:39
수정 아이콘
어떤 의미인지 더 정확하게 말씀해주실 수 있나요?
한국인이 right를 많이 쓴다는 걸 처음 듣는다로 이해하면 될까요? 아니면 원어민이나 타 국가 출신도 많이 쓴다거나?
비밀친구
21/03/18 14:51
수정 아이콘
right 이란 단어를 자주 쓴다는 얘기 자체를 처음 듣습니다. 저도 안쓰고 제가 아는 대부분의 원어민도 안쓰네요.
오히려 위에 언급된 like 그리고 제 느낌상으론 now, kind of 이런게 좀더 원어민 스러운 추임세 입지요
Cazellnu
21/03/18 14:39
수정 아이콘
like that ~ 도 입버릇처럼 쓰는듯
겨울삼각형
21/03/18 14:40
수정 아이콘
원어민한테 유남생공격을 당해봤었습니다.

그냥 본인말투인거 같아요
로드바이크
21/03/18 14:56
수정 아이콘
대구에서 온 친구가 생각나네요. 모든 말 끝에 '맞제?'를 붙였는데... 딱히 저한테 물어보는건 아니었는데 모르고 모든 문장에 대답을 하느라 피곤했죠.
홀리데이
21/03/18 15:04
수정 아이콘
한번도 한국인이 right라고 한걸 들은적이 없네요 저는 흐음..
미카엘
21/03/18 15:51
수정 아이콘
미국 유학생이 롸잇? 남발하는 건 봤습니다 크크. 개인차 아닐까 싶습니다.
21/03/18 17:49
수정 아이콘
해외사는데 저는 right 정말 필요할때만 쓰고 주변 한국인도 딱히 그런 말버릇 못봤어요.
깃털달린뱀
21/03/18 22:01
수정 아이콘
여러분 감사합니다. 그냥 개인 말투라고 보는게 맞겠네요.
에엑따
21/03/19 23:20
수정 아이콘
저는 한국인한테는 별로못봤고 정말 밥먹듯이 사용하는 미국인 1명 자주쓰는 캐나다인 1명 봤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3760 [질문] 신차 구매시 기존 차의 세금, 보험은 어떻게 처리해야되나요? [4] 고등어3마리8127 21/03/22 8127
153759 [질문] 열역학? 질문 있습니다. (방안에 컴퓨터) [21] 엔지니어8490 21/03/22 8490
153758 [질문] 약정있는 휴대폰 유심을 공기계로 끼워도 상관없나요? [8] I.O.I7762 21/03/22 7762
153756 [질문] 모바일 데이터 요금 질문입니다 [2] psiloveyou4677 21/03/22 4677
153755 [질문] 하드튠과 크리스탈인포 비교 질문입니다 [5] 틀림과 다름6092 21/03/21 6092
153754 [삭제예정] 마통질문입니다. [5] 삭제됨6043 21/03/21 6043
153753 [질문] 서른 넘어서 베프를 사귀기도 하나요? [27] 레너블8073 21/03/21 8073
153752 [삭제예정] 서울 사시는 공무원분들, 집 장만 어떻게 하세요? [23] 삭제됨10402 21/03/21 10402
153751 [질문] 해외납세의무확인 요청 [1] 기나9447 21/03/21 9447
153750 [질문] LOL프로판에서 체급이란? [13] 마법사9261 21/03/21 9261
153749 [질문] 태블릿pc 질문드립니다. [8] Ellesar_Aragorn7542 21/03/21 7542
153748 [질문] 한달 쯤 뒤 이사 예정이라 tv구매를 고민중에 있습니다. [14] 죽력고7330 21/03/21 7330
153747 [질문] 휴대용 모니터 (19인치 이상) 구매하려고 합니다 [1] BlueSKY--9959 21/03/21 9959
153746 [질문] 스위치 링피트 침대위에서 할수있나요? [4] GgNu8874 21/03/21 8874
153745 [질문] 팀파이트 매니저 질문입니다. [5] 아타락시아19417 21/03/21 9417
153744 [질문] 4k TV 최근 구매하신분 계신가요? 티비구매예정인데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6] Wanya7940 21/03/21 7940
153743 [질문] 북미와 유럽 국가들의 음악 문화가 제각기 다른가요,,,?? [7] 해피새우7745 21/03/21 7745
153742 [질문] 아랫집 개짖는 소리때문에 잠을 못자는데 이어플러그 추천 부탁드립니다. [2] This-Plus8623 21/03/21 8623
153741 [질문] 제주도 풀빌라? 펜션 추천해주실 분 있나요? [3] LG의심장박용택8428 21/03/21 8428
153740 [질문] 기도의 힘을 조금이라도 믿으시나요?? [43] 하늘운동8526 21/03/21 8526
153739 [질문] 서울 인생맛집 추천 부탁드립니다 [20] 피스~7309 21/03/21 7309
153738 [질문] 직계가족 기준질문 [5] 싸구려신사6323 21/03/21 6323
153737 [질문] 설거지를 어디까지 해야되는지... [7] 서쪽으로가자7540 21/03/21 754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