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3/12 23:33:45
Name 고무고무냥냥펀치
Subject [질문] (헬스) 프리웨이트 대 머신 비율 질문입니다.
요즘 일주일에 헬스장에 4-5일 출근하며 열심히 운동중입니다.
작년에 몸을 멋지게 만들어서 바디프로필을 찍은 직장동료한테 운동 방법과 식단까지 많이 배우면서 하고 있는데요
직장동료가 운동을 참 잘합니다. 운동 부위의 자극과 정말 무리한 중량의 바로 전 단계까지의 중량까지 부상없이 가져가는 스타일입니다.
그런데 현재 프리웨이트랑 머신 비율을 3:7정도로 하고 있습니다. 하체는 백스쿼트도 안하고
머신 위주로만 하고 있습니다
(하체는 브이스쿼트, 레그프레스, 레그익스텐션, 레그컬, 힙어덕션이 코스이고, 가슴을 예로 들자면 인클라인 덤벨 프레스랑
덤벨 플라이 정도가 프리웨이트고 역시 머신 위주입니다.)
저희가 아무래도 30대 중후반이라서 부상을 절대 입으면 안되고 안전하게 운동을 해야한다면서 3대운동도 안합니다.
(1rm 중량 욕심나면 부상입을수 있다고) 풀업이랑 딥스는 합니다.
보디빌딩적인 면으로 봤을때 이렇게 운동을 해도 퍼포먼스와 보여지는 외관을 만드는데는 큰 지장이 없을까요?
직장동료를 보면 몸은 멋지게 만들수 있을것 같은데 프리웨이트가 부족하면 근육의 불균형이 일어날수도 있다고 해서
살짝쿵 걱정이 되네요. 헬창분들의 의견과 조언이 있다면 감사히 받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리얼월드
21/03/12 23:41
수정 아이콘
머신을 잘 쓰고 싶으면 프리웨이트를 잘해야합니다
근육 쓰는법을 익히고 나면 정답은 없는것 같습니다
항정살
21/03/13 00:01
수정 아이콘
3대보다 딥스가 더 위험하지 않나요?

적당한 무게로 3대를 시작해보세요. 머신도 고립이라는 의미로 좋긴한데, 복합다관절 운동을 해야 몸이 더 좋아질 겁니다.
Extremism
21/03/13 01:14
수정 아이콘
머신을 한다고해서 불균형이 일어나는게 아니고요. 프리 웨이트를 해도 근육 불균형 일어납니다.
고중량의 프리웨이트는 부담된다면 부상으로부터 안전하고, 프리 웨이트 장점인 길항근들의 동원과 근육 불균형 해결에도 도움되는
덤벨 프레스, 덤벨 로우, 덤벨 숄더프레스, 덤벨 데드리프트 등등의 덤벨 운동을 하시는걸 추천합니다. 8회 정도 할 수 있는 무게로 말이죠. 물론 주기화 이론 대입해서 6, 8, 12 회의 무게로 다양하게 설정해도 되고요.
4회 이하의의 파워리프팅 횟수를 덤벨로 하기에는 너무 덤벨이 무거워서 세팅하기가 어려워서 이쪽은 추천 못하지만요.
바 운동에 비해 훨씬 자기 관절 모양에 맞게 움직일 수 있고, 문제가 있다면 해당 부위에 대한 진단도 가능합니다. 근육 불균형이 있다면 근육이 약한 쪽에 맞춰서 운동을 하면 됩니다.

내추럴 보디빌딩에 3대 운동이 도움이 되긴하지만, 그 3대 운동보다 부상 안당하고 꾸준하게 하는게 더 중요하신 판단이 맞으시며.
고중량의 3대 운동은 이완시에 쥐어짜내지 않고 최대한 효율적으로 버티다가 수축할 때 힘을 폭발 시키는식인데 (일단 많은 무게를 들어올리는게 목적이니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써야합니다). 무게를 낮추고 수축, 이완 동작에 근육을 쥐어짜내는 식의 전통적인 보디빌딩 자극 훈련도 근비대를 일으키는 mTOR 반응을 충분히 불러옵니다. 어느순간 최종합에만 신경 쓰는 3대 운동 만능론이 넷상에서 퍼져서 제대로된 가동범위도 가져가지 못하면서 자기 수행력을 과대평가하고 어깨,허리 관절 아작내면서 증량만 할려는거보면 안타깝긴합니다. 내추럴 보디빌딩, 피지크 선수들 중에도 3대 운동보다 고립, 자극 신경 쓰시는 분들도 충분히 입상을 하는데 말이죠.

그런데 위에분 말대로 딥스가 3대 운동보다 악명 높은 운동인데, 저런 가치관이 있으시다면 빼셔야할 것 같습니다. 3대 800인가 900 치시던 분이 무리한 중량 딥스 하다가 토미존 수술 받는거보고 안타깝더군요. 팔꿈치는 약한 부위라 무조건 중량이 안실리게 해야하는데 딥스는 어깨 각도를 조절하면서 팔꿈치 각도까지 조절되서 팔꿈치에 데미지가 갈 수 밖에 없어요.
고무고무냥냥펀치
21/03/13 11:58
수정 아이콘
오우 답변 주신 분들 너무 감사드립니다. 열운동하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3598 [질문] 캡슐 커피 머신 추천 요청 [18] 푸르미르7184 21/03/15 7184
153597 [질문] 말을 잘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8] Malach9187 21/03/15 9187
153596 [질문] 비밀의 숲 재밌나요? [22] 설사왕8745 21/03/15 8745
153595 [질문] 스펠렁키 할만한가요? [5] 제드6874 21/03/15 6874
153594 [질문] 이 경우에는 장기적으로 차를 사는게 맞을까요? [21] 오늘하루맑음8449 21/03/15 8449
153593 [질문] 핸드폰 약정만료전 번호이동시 위약금 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3] 여행6883 21/03/15 6883
153592 [질문] 초등학교 저학년에게 '공부를 왜 해야하는가'에 대해서 직관적으로 설명 할 수 있을까요? [20] 하얀마녀10148 21/03/15 10148
153591 [질문] 초밥집 장어 조리법? 맛 질문드립니다. [6] Aiurr6838 21/03/15 6838
153590 [질문] fidelity.com 아시는 분 있나요? [6] 교자만두6352 21/03/15 6352
153589 [질문] 롤 중계하는 bj 누구누구 있나요? [10] 이라세오날6986 21/03/15 6986
153588 [질문] 컴퓨터 견적 요청 [11] Equalright7703 21/03/15 7703
153587 [질문] 고혈압 증상? [19] 허니띠9625 21/03/15 9625
153586 [삭제예정] 아는분이 중고컴을 100에 팔겠다고하는데 [21] 추천7941 21/03/15 7941
153585 [질문] 노트북 3060 or 3070에 4K 티비 물리면 어느정도까지 가능할까요? [1] 요한슨6236 21/03/15 6236
153584 [질문] 여의도 주변 가볼만한 곳 추천해주세요 [9] LeeDongGook8548 21/03/15 8548
153583 [질문] IT 업계 전망? 관해 문의드립니다. [29] 홀리데이8499 21/03/15 8499
153582 [질문] 1080TI에 4k모니터는 욕심일까요? [16] 아타락시아110617 21/03/15 10617
153581 [질문] 만약 현금이 엄청많다면 어디에서 살고 싶으세요? [47] HesBlUe11729 21/03/15 11729
153580 [질문] 항생제 복용기간 동안 이유없이 살찔수가 있나요? [4] 해먹8436 21/03/15 8436
153579 [질문] 컴퓨터업글합니다 한번 봐주세요 [5] 강군이7475 21/03/15 7475
153578 [질문] 중고차 문의드립니다 아반떼 ad vs 소나타 lf [6] SlaSh.7702 21/03/15 7702
153577 [질문] 신형 아반떼 vs 중고 k5 [14] 선문선답11681 21/03/15 11681
153576 [질문] gif 파일을 올릴때 질문입니다. [1] LPL짤쟁이5838 21/03/15 583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