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3/12 11:18:37
Name 독주
Subject [질문] [육아] 원래대로 돌려놓으라고 떼쓰는 아이 괜찮은걸까요?
최근 한 달 정도 지켜보면서 시간 지나면 괜찮아지겠지 기다렸는데 점점 심해지는 것 같아 육아 선배님들 의견을 들어보고 싶어 질문글을 남깁니다.

처음에는 '내가 할래' 시기 처럼 때가 지나면 자연스럽게 줄어들 것이라 생각하고 기다렸습니다.
현재 아이는 6세고, 작년까지만해도 두 세달에 한 번 저런 소리를 했을까요?
문제라고 느낄 수도 없었던 것 같습니다.

그러다 최근 한 달 새 하루에 5~6번은 떼 쓰다 울기 시작합니다.
- 어린이집 가려고 꺼내 놓은 옷을 동생이 밟고 지나가 흐트러지면 원래대로 해놓으라고 소리지르면서 웁니다.
- 입에 묻은 음식을 닦아주면 원래대로 해놓으라고 소리지르면서 울구요..
- 찢어진 색종이 조각을 치워버리면 원래대로 해놓으라고 소리지르면서 울어요..

그저 헤프닝이라고 치부하기엔 점점 과해지는 것 같아서 걱정이 듭니다.

1. 모든 아이들은 아니지만, 내가 할래 처럼 시기가 지나면 자연스럽게 줄어들게 될까요?
2. 올해 3월 어린이집의 모든 선생님이 바뀌었는데, 그 환경이 어려워서 그런걸까요?
3. 작년까진 4살 동생과 다른 어린이 집을 다니다가 이제 같은 어린이집을 다니게 되면서 통학 버스에서 친구들하고 앉지 못하고 동생하고 앉으며 챙겨야 하는 것 같은 부담감이 주는 상황일까요?
4. 저렇게 5~10분 떼 쓰고 울다가 언제 그랬냐는 듯이 잘 놉니다.
5. 아동 심리 검사?  같은 것을 받으러 가보는게 좋을까요? 이런 곳은 어떻게 찾을 수 있을까요? 그리고 어떻게 아이를 데리고 나가서 자연스럽게 갈까요? 이상한데 데리고 왔다고 생각할까봐서요.

혹시 비슷한 경험해 보신 육아 선배님들 계시면 도움을 부탁 드립니다.

미리 감사하고, 오늘 하루도 좋은 하루가 되시길 바랍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3/12 12:06
수정 아이콘
제 아들은 4센데 한두달전 쯤부터 똑같은 증상입니다 크크크, 거실 바닥 전체에 본인 장난감이나 물건들 깔아놓고 치우지 말라고 수시로 말하면서 조금이라도 건드리면 주저앉아 울고요. 뭐 계란 후라이에 노른자 터졌다고 다시 돌려놓으라고 울고요..... 글쓴님이랑 거의 똑같아요
그럴때마다 대화를 통해 설득하거나 중요한 몇개만 두고 나머지는 정리함에 담아 옆에 두겠다 이런 식으로 서로 합의를 하고 있는데, 유아 쪽을 전공한 아내님이 아이들 저런 시기 한번씩 지나가는거 당연한 거라고 해서 그냥 그러려니 하고 있습니다~
21/03/12 12:46
수정 아이콘
저희 아이는 5살인데 비슷한 상황이었습니다. 현재 진행중이기도 하고요.
저희 아이는 '이게 안돼' 병이었다고 할까요. 뭐가 조금만 잘 안돼면 저렇게 떼쓰고 울고 소리지르고 물건던지고 그랬습니다.
사실 엄하게 훈육도 해봤는데 그때만 조심하고 다시 같은일이 반복되어서 육아 유튜브랑 서적, 전문가 상담까지 받고 결론은 결국 부모가 참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시간이 약이고 부모는 부처가 되야 합니다.
저희는 이렇게 훈육합니다. 일단 먼저 왜 이게 안되는지 왜 원래대로 할 수 없는지를 설명합니다. 그리고 이럴때 어떻게 해야 되는지 알려줍니다.
물론 전혀 듣지 않죠. 그리고 이런 얘기를 상황이 발생했을때 처음 한두번만 얘기를 해줍니다. 너무 많은 정보 전달도 아이에게 안좋을 수 있다고 하네요.
그리고 화가 풀리고 눈물이 그칠때까지 안아주고 달래줍니다.
이렇게 몇달간 했더니 그래도 조금씩 좋아지고 횟수가 줄어들었습니다. 여전히 화를 낼때도 있지만 자기가 기분 좋을땐 뭐가 잘 안되도 '이럴땐 엄마한테 도와달라고 하면돼' 라고 스스로 말하고 도움을 청하기도 하더라고요. 저희는 그냥 요즘 그것만 명심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부처다. 우리 몸에서 사리가 나올것이다. 이 또한 지나간다. 부모 스스로가 마음을 다스려야 아이도 차분해질 수 있는 것 같습니다.
21/03/12 13:24
수정 아이콘
아이가 예민하면 틀을 유지하려 고집부린다고 저도 본거같습니다. 우리집애도 좀 그런데 이런 아이에게는 모래장난처럼 답이 없는, 망가지는 놀이를 하면 완화된다고 해서 공원 모래밭에 자주 놀러가는 편입니다.
21/03/12 14:23
수정 아이콘
오은영 박사 나오는 프로그램 금쪽같은 내새끼 인가에 비슷한 에피소드를 본 기억이 나네요
너무 그때그때 치우고 닦아내고 그러면 결벽이 생기거나 부모의 결벽을 느끼면서 압박감이 생기고 스트레스가 심해진 아이가 있었구요
또 동생을 챙겨야 하는 압박감이 스트레스로 작용한 것일수도 있겠구요
너무 정리정돈을 완벽하게 하려고 하는 건 아닌지요?
오은영 박사 나오는 티비를 한 번 보실 것을 추천드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3625 [질문] 발톰 무좀, 갈아내고 바르는 약으로 완치한 분 계세요? [13] 약쟁이6357 21/03/16 6357
153623 [질문] 한국은 왜 러시아와의 역사가 거의 없을까요? [23] Salmon7506 21/03/16 7506
153622 [질문] 페북이랑 인스타에서 계정 관리자를 변경하거나 공유하는거 가능한가요 [2] ryush3218057 21/03/16 8057
153621 [질문] 이거 사기인지 아닌지 궁금합니다. [22] 똥꾼8715 21/03/16 8715
153620 [질문] 펜트하우스 어디서 봐야 하나요? [7] 종이컵6520 21/03/16 6520
153619 [질문] 팝업창이 순간적으로 떴다가 사라집니다 세인트루이스6435 21/03/16 6435
153618 [질문] 여의도 맛집과 카페 추천 부탁드립니다! [6] 삭제됨6098 21/03/16 6098
153617 [질문] 분양아파트 옵션 결정 (시스템에어컨) [19] FallingInLuV11111 21/03/16 11111
153616 [삭제예정] 북수원 cgv 미나리 18시 45분 예매해놓은거 나눔해요 바알키리5697 21/03/16 5697
153615 [질문] 집주인으로부터 전세 대출 및 보증보험 현황 문의가 있었습니다. [2] GloomySunday6251 21/03/16 6251
153614 [질문] 왜 이상한 문자가 올까요 [8] 이호철6383 21/03/16 6383
153613 [질문] 엑셀 문서 관련 문의드립니다. [2] SoulTree5121 21/03/16 5121
153612 [질문] PGR 메인화면에서 선거게시판을 안 보이게 할 순 없나요? [8] roqur7173 21/03/16 7173
153611 [질문] 아파트 등 LED 변경 비용 문의 [9] 호아킨6257 21/03/16 6257
153610 [질문] bmw 사려고 하는데 할인 조건은 원래 배정 이후에 확정인가요? [6] 바밥밥바7186 21/03/16 7186
153609 [질문] 홍삼제품 혹은 면역력에 좋은 건강식품 추천부탁드립니다. [24] 도널드 트럼프7412 21/03/16 7412
153608 [질문] 한 컴퓨터에 무선 마우스 2개 연결해서 사용 가능할까요? [12] 모나크모나크14520 21/03/16 14520
153607 [질문] 피지알은 다크모드 도입안하나요? [14] 醉翁之意不在酒9299 21/03/16 9299
153606 [질문] 75인치 티비 브랜드 질문 [18] 롯토9182 21/03/15 9182
153605 [질문] 홍대에 맛있는 집 있을까요? [7] 공항아저씨7287 21/03/15 7287
153604 [질문] 하이텐션 팡팡 터지는 시원한 느낌 노래 추천 부탁드려요.. [9] 김캇트9123 21/03/15 9123
153603 [질문] 회기역 근처 연인끼리 갈만한 맛집 있을까요? [17] 골드똥10600 21/03/15 10600
153602 [질문] 허훈 vs 역대 Top 포인트가드들 [10] 코기토7477 21/03/15 747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