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3/09 13:48:00
Name 삭제됨
Subject [삭제예정] 아파트 옵션 선택 조언 부탁 드립니다 (마루, 주방, 기타)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쿠퍼티노외노자
21/03/09 13:53
수정 아이콘
집의 가치는 주방의 비중이 높아서 주방가구가 가장 끌리네요.
- 냉장고 - 고장나면 수리비 많이 나오고... 10년 쓰면 오래쓰는건데 너무 비싸네요.
- 마루 - 긁히기 쉬워서 돈 들이기 아깝고, 색도 유행타요.
21/03/09 13:55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사실 제가 부엌일을 다 하다보니 저도 주방기구가 끌리긴 합니다.
그런데 ALNO를 주변에 써 보신 분이 없어 한샘, 이케아 대비 돈 값을 하나 모르겠네요.
쿠퍼티노외노자
21/03/09 14:05
수정 아이콘
웹사이트를 좀 찾아보면 분명 최상위권의 고급 브랜드는 맞지만 비슷한 품질의 다른 브랜드 대비 비싸다는 평이 있긴하네요.
- https://www.kitchenfindr.co.uk/how-do-alno-kitchens-compare-with-other-kitchen-brands/
2017년에 판매 부진으로 파산했던 이력도 있는것 같구요
- https://www.notifix.info/en/news-en/furniture-manufacturers/38483-alno-kitchens-to-shut-down-after-unsuccessful-sales-process
현 시점에서 엄청나게 유명한 브랜드는 아닌것도 같습니다.
https://www.thegoodwebguide.co.uk/homes-gardens/home/kitchens/9-of-the-best-kitchen-design-brands/21487
21/03/09 14:07
수정 아이콘
상세한 댓글 정말 감사드립니다.
사실 저도 생각보다 후기나 검색 결과가 다양하지 않아 망설여 지더군요.
그냥 기본으로 가야겠습니다.
덴드로븀
21/03/09 13:57
수정 아이콘
애초에 가격이 있는 집일테니 20년 넘게 살집이 아니라면 동일 평수집에서 뭘 많이 선택하나 알아봐야하지 않을까요?
중간에 팔고 나갈일이 있다면 옵션때문에 다른집보다 시세를 못받을수도 있을테니...

냉장고/주방가구는 주방을 가장 많이 쓸 사람의 의견을 따르는게 좋을것 같고, 아이/반려동물이 없으면 고급스러움을 위해 원목마루를 선택해도 되지 않을까....싶습니다 크크
21/03/09 13:59
수정 아이콘
입주 예정 아파트가 이상하게 커뮤니티등이 전혀 활성화가 안 되어 있네요.
개인적으론 주방과 바닥을 할까 생각중인데 돈 값을 하려나 모르겠습니다.
덴드로븀
21/03/09 14:06
수정 아이콘
어차피 주방크기나 집평수가 큰편이면 저 옵션들 말고 다른 브랜드를 선택한다고 해서 엄청 저렴해질것 같진 않습니다.
물론 냉장고 욕심이 없으면 삼성/LG 몇백짜리로 퉁칠수 있을테구요.
21/03/09 14:11
수정 아이콘
(수정됨) 집은 (제 기준)작은편이고 집 값 대비 작은 금액은 맞습니다.
충고 감사드립니다.
생겼어요
21/03/09 13:57
수정 아이콘
보통 신축은 실거주 후 매매 생각도 많이 하다보니 옵션 빵빵하게 해두는게 매도시에 가격 더쳐준다는 말이 많아서 저라면 너무 부담 되지 않는 한에서는 최대한 좀 괜찮게 채워볼 생각이긴 합니다.
21/03/09 14:01
수정 아이콘
입주후 최소 2년이상 살아야 하고 더 넓은 평수로 가려던 주변도 왕창 올라 강제 5~10년 살게될 것 같습니다.
장기 실거주 조건이라면 크게 메리트가 없다고 보시는군요?
생겼어요
21/03/09 14:06
수정 아이콘
저도 비슷한 처지에서 결혼준비만 하는 입장인데, 결국 사용빈도가 조금이라도 높은 예비와이프 의견을 더 따르려고 합니다. 본문 가격만 보면 너무 비싸다고 비싼거 하나 오래쓰는거 보다 적당한 가격대 사서 한번 더 바꾸고 싶다고 답장이 왔네요;;
21/03/09 14:12
수정 아이콘
사실 적당히 기본옵션 막 쓰다가 나중에 바꾸는게 더 좋다는 배우자님의 의견이 정답은 맞는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네이버후드
21/03/09 14:41
수정 아이콘
애초에 저 가격대면 돈값을 한다 안한다의 영역은 아닌거 같은데요
21/03/09 14:46
수정 아이콘
말씀처럼 감성?의 영역인데 그래도 가성비를 좀 따져보고 싶었습니다.
감사합니다.
21/03/09 14:45
수정 아이콘
사실 이건 기본이 어떤거냐가 더 중요한것 같습니다.
1. 냉장고는 구매계획이 있으셨다면 해도 괜찮을거 같습니다. 그리 비싼가격은 아닌거 같습니다.
고려사항: 냉장고 구매 계획이 있는가, 해당 제품이 마음에 드는가
2. 주방은 기본사항이 뭔지 보고 취향대로 하겠습니다. 가격은 그다지 착한거 같지는 않고요. 기본이 너무 싸구려다 하면 진행할 수도 있을거 같습니다.
고려사항: 기본제품이 어떤거인지, 옵션제품이 취향에 맞는지
3. 원목마루는 기본사항으로 강마루 이상의 제품이 들어갈 경우 추천하지 않습니다. 일단 비싸고 관리 힘들고...
고려사항: 기본제품이 강마루인가?
21/03/09 14:54
수정 아이콘
상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
1. 냉장고는 내부 용적만 비슷하면 4~5백 짜리보다 뭐가 얼마나 더 좋은지 잘 몰라 망설이던 중이었습니다.
2. 기본은 최소 한샘급 이상 들어간다고 들었습니다.
3. 수입은 조르다노 기본 마루는 강화마루입니다.
덴드로븀
21/03/09 15:29
수정 아이콘
1. LG 디자인과 시그니처라는 명품(...) 라인에 큰 호감이 없다면 냉장고 포기합시다.
2. 기본이 한샘급이면 역시 수입가구 포기합시다.
3. 기본이 강화마루면 역시 원목마루 포기합시다.

-> 5700만원을 아꼈습니다. 차를 바꾸러 갑니다? 크크크크
21/03/09 15:35
수정 아이콘
정리해주신 글을 보니 팔랑귀가 진정되는 느낌입니다 크크크.
21/03/09 16:23
수정 아이콘
대충보고 250만원짜리 김치냉장고인줄 알았습니다. 시그니쳐 모델이었군요. 덜덜덜
옵션들이 너무 비싸네요. 저정도면 그냥 분양받고 다시 스타일대로 시공해도 남을 것 같습니다.
NoGainNoPain
21/03/09 17:12
수정 아이콘
2500만원을 그리 비싼가격이 아니다라고 이야기하실때 헉했습니다.
21/03/09 15:21
수정 아이콘
풀옵션이 동일 조건 집들이 매물로 나왔을 때 팔기 쉬운 정도는 있겠지만 제 가격을 받지는 못할 겁니다. 특별한 로망이나 선호가 있지 않는 한 아껴서 다른걸 할 것 같네요.
21/03/09 15:28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저도 회원님들의 리플을 읽고 나니 기본쪽으로 마음이 기울고 있습니다.
21/03/09 15:35
수정 아이콘
옵션가 무시무시하네요.
NoGainNoPain
21/03/09 15:39
수정 아이콘
1. 빌트인 옵션은 매도시에 제값을 받을 가능성이 별로 없다.
2. 매수인의 취향에 빌트인이 맞지 않을 경우 매도에 오히려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두 가지 단점이 큰 것 같습니다. 시스템에어컨처럼 취향 안타는 빌트인이라면 몰라도요.
21/03/09 15:49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시스템 같은 기본옵션은 모두 넣었고 말씀처럼 그 외에는 기본으로 가야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3547 [질문] 이 세상을 똑같이 묘사하려 어떤 정보들이 필요할까요? [18] norrell8216 21/03/13 8216
153546 [질문] 또 스타질문 [11] 醉翁之意不在酒7215 21/03/13 7215
153545 [질문] 마우스패드 추천 부탁드립니다 [9] 김경호8650 21/03/13 8650
153544 [질문] 코인충, 지난 3달간 너무 잘되어 걱정입니다. [31] 삭제됨11665 21/03/13 11665
153543 [질문] 페르소나 시리즈 입문 질문 [23] 아츠푸12149 21/03/13 12149
153542 [질문] 섬의궤적 다른 궤적만큼이나 재밌을까요? [13] 아츠푸8471 21/03/13 8471
153541 [질문] 한국에도 실무진중에 연봉 1억이상 있을까요? [59] Salmon11820 21/03/13 11820
153540 [질문] 사양 낮은 스팀게임 추천부탁드립니다 [13] 앙몬드10553 21/03/13 10553
153539 [질문] (헬스) 프리웨이트 대 머신 비율 질문입니다. [4] 고무고무냥냥펀치7705 21/03/12 7705
153538 [질문] 고전 도스 게임인데 아시는 분 있나요? [10] 엑박8087 21/03/12 8087
153537 [질문] 일본 소설 제목 문의드립니다. [2] 집돌이6211 21/03/12 6211
153536 [질문] 세대차이 많이 나는 세대 or 적게 나는 세대 어디라고 생각하세요 [13] 비후간휴7687 21/03/12 7687
153535 [질문] 계단을 내려갈때 경계가 잘 안보입니다 [4] 티어루프7029 21/03/12 7029
153534 [질문] 쿠킹덤 뭘 해야할까요? [4] 진인환5791 21/03/12 5791
153533 [질문] 재개발 관리처분계획인가 후 이주명령까지 얼마나 걸릴까요? [3] 애플7674 21/03/12 7674
153532 [질문] 소복소복은 뭐라고 번역해야하나요? [2] 톰가죽침대6759 21/03/12 6759
153531 [질문] 왕초보 스마트폰 구입후 개통방법 궁금합니다 [4] Waldstein7762 21/03/12 7762
153530 [질문] PFOA...코팅 프라이팬은 다 위험한 건가요? [2] 삭제됨5820 21/03/12 5820
153529 [삭제예정] 홍대 쪽 피부과 아시는 분 있을까요? 상록수6559 21/03/12 6559
153528 [질문] 예전에 봤던 만화책을 찾습니다. [5] 라투니6212 21/03/12 6212
153527 [질문] 과거에봤던 웹툰을 찾고싶습니다. [4] 스물다섯대째뺨6243 21/03/12 6243
153526 [질문] 롤프로중에 감정적으로 플레이하던 선수 [15] Rays6820 21/03/12 6820
153525 [질문] 이문제의 답이 무엇일가요? [9] 파쿠만사7434 21/03/12 743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