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3/03 12:35:52
Name Ashen One
Subject [질문] 중고거래 직거래만 하면 사기 당할 확률 거의 없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며칠 전에 친구들과 얘기하다보니
생각보다 중고거래 중 사기 당한 케이스가 많더라구요.

개인적으론 아직 중고거래 하면서 사기 당한 적이 없어서 좀 의아하긴했는데
직거래만 하면 사기 당할 확률 거의 없지 않나요?

나름 그래도 중고나라랑 당근 등에서 중고거래 10년 하면서 사기 당한 적 없는데 (직거래만 했습니다.)
단순히 제가 운이 좋았던건지(?)
아니면 역시 직거래가 답인건지 궁금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1/03/03 12:39
수정 아이콘
저도 중고거래만 20년 했는데 저에겐 사기가 해당되는일이 없을거라 생각했는데 3년전쯤 사기당해서 못잡았습니다. 아무래도 직거래만 하면 사기당할 확률이 극히 낮아지죠.

그외는 사실상 운이구요.
21/03/03 12:43
수정 아이콘
직거래면 거의 없긴해요. 근데 0%는 아니죠.
그말싫
21/03/03 12:46
수정 아이콘
물건을 보고 돈을 건내준다는 가정 하에 확률은 매우 낮지만, 현장에서 확인이 어렵거나 써봐야 알게 되는 문제점을 숨겼을 가능성은 존재하죠.
LeeDongGook
21/03/03 12:47
수정 아이콘
직거래하면 먹튀(선입금 받고 물건 안보내는) 당하는 일은 거의 없겠지만
불량품으로 사기당하는 경우는 있겠죠.
21/03/03 12:55
수정 아이콘
바로바로 확인이 가능한 물건이야 뭐 직거래하면 문제가 없는데 pc부품 같은건 아무래도 위험성이 없는건 아니죠 확인이 안되니까요.
맥크리발냄새크리
21/03/03 12:57
수정 아이콘
직거래는 거의없죠
라이언 덕후
21/03/03 12:59
수정 아이콘
직거래로 사기당할 가능성은 치과에서 치아 치료받다 사망할 가능성과 거의 동급 수준으로 봅니다. 0%는 아니다... 정도로 생각합니다.
스토리북
21/03/03 13:01
수정 아이콘
그래서 당근마켓이 흥했죠.
21/03/03 13:26
수정 아이콘
직거래 하는데 상대방이 물건 들고 튀어서.. 내가 달리기가 느려서 사기당했다는 썰이 생각나네요..
Cazellnu
21/03/03 13:40
수정 아이콘
직거래가 좋은 방지 장치인것은 맞지만 그래도 제로는 아니죠.
거래의 물리적 제한도 있고
그래서 팔땐 택배 살때는 직거래를 선호합니다.
ryush321
21/03/03 14:19
수정 아이콘
잠깐 보고 판단할 수 없어서 전자기기는 중고로 안사고 미개봉만 삽니다.
21/03/03 15:10
수정 아이콘
직거래하면 당연히 돈만 받고 날라버린다던지 하는 일은 잘 없겠죠 (드물게 날치기 스타일로 있다고는 하더라구요)
그것보다도 직거래도 현장에서 발견 못한 하자 있다던지 하면 그거 바로잡기 매우 힘듭니다
택배야 다툴 여지라도 있지 직거래는 돈 주면 끝이라서 확인 안한 너 잘못 이렇게 흘러갈 때가 많았습니다
미뉴잇
21/03/03 16:42
수정 아이콘
저 CPU거래했는데 망가진 CPU 산 적 있었어요..집에가서 안되는거 확인하고 환불 요청했지만
보상받을 길이 없더라구요.
너리비
21/03/03 16:50
수정 아이콘
속여서 파는것도 사기니.. 모르는거죠
당장은 괜찮은데 짜집기한 가품일수도 있고
직구 물건이라 a/s불가 일수도있고
한달 실사용이 실제로는 1년사용 물건일수도 있고

들고 튀는놈도 있다고..
김재규열사
21/03/03 17:30
수정 아이콘
저는 직거래 되면 하고 안되면 안하는데 직거래 안할때는 에스크로 결제로 합니다. 아직 사기당한 적은 없고요.
에베레스트
21/03/03 19:47
수정 아이콘
저도 전부 직거래로만 해서 사든 팔든 사기 당해본적은 없네요. 직거래 아니면 아예 안해서...
21/03/05 01:56
수정 아이콘
직거래 사기도 많습니다
그냥 물건 확인한다면서 들고 튀는 경우도 있어요.
아 이건 사기가 아니라 절도겠네요.

그리고 거래하는 시간 잠깐 보고 확인하는게 고작이라 그 시간에 이상 유무 확인 한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오히려 현장에서 확인하고 산거 아니냐가 되버리고 처음 부터 이상 있었던 것을 증명하기 어렵기 때문에 사기에 대해서 더 위험할 수 있습니다.

저도 중고거래 굉장히 많이 하는데(많으면 1년에 100건 정도 합니다)
사는 건 직거래 위주고 파는 건 택배 거래 위주로 합니다.
팔 때 택배 위주로 하는 이유가 내가 파는 입장이니 사기 걱정 없어서 그런 게 아니라
직거래 거래 약속하고 연락 두절되거나 그 시간 비워두고 기다리고 있는데 약속 시간 다 되서야 거래 파기하거나 그런 경우가 너무 많아서 그래요.
택배야 입금 확인하고 보내면 그만 인데 직거래는 시간 약속 정해서 그 시간 비워두고 기다려야 되니까요. 그래 놓고 팔리면 괜찮은데 파기 여러 번 되면 다른 약속도 못 잡고 손해가 막심하거든요. 물건 올려놓고 거래 파기 한번도 없이 진행 되는 경우는 거의 없거든요.

중고거래 사기나 분쟁을 막는 방법은 없어요. 심지어 거래를 서비스 센터에서 하거나 택배 개봉을 센터에서 하고 바로 센터 직원에게 갖다줘서 이상 유무 확인해달라고도 해봤는데 소용 없어요. 전자제품의 경우 기능이 한두가지가 아닌데 그거 하나하나 이상 유무 확인은 센터에서도 못하거든요. 그거 다 하다가는 끝이 없으니 특정 기능 되나 안되나 혹은 외관 이상 찾는 게 고작이거든요.
중고거래에 전설적으로 내려오는 일화가 있죠. 밥솥 거래하는데 쌀이랑 물 갖고 와서 현장에서 밥을 해먹어 보고 삿다는.. 근데 그거 조차 쌀밥은 잘 되었는데 콩밥은 안되더라 죽 만들기 기능은 안되더라 이럴 수 있어요.

한줄 요약 하자면 사기 걱정되면 중고 거래를 안 해야 됩니다. 직거래도 사기 못 막아요.
21/03/05 02:03
수정 아이콘
직거래 사기에 대해서 조금 특이한 경우를 겪었는데
작년에 중고나라에서 자전거를 판다는 글을 보고 거래 하기 위해서 거제도 까지 갔었는데
허위 매물 사기꾼이었고 연락 두절되었습니다
저는 사기꾼이 알려준 가짜 주소 앞에서 40분간 기다렸고 전화와 문자를 10여번 했으나 연락 두절이었습니다.
이후 다른 허위 매물 판매 기록도 확인하고 사기미수로 고소했고
재판 중이라는 확인까지 했습니다. 시간이 좀 지났는데 이젠 판결 나왔을 거 같네요.
생각 난 김에 판결문 첨부해서 민사 넣어야겠네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3347 [질문] 갤워치 샀읍니다.. 줄 바꾸려고 하는데 뭐가 편한가요? [7] 호아킨6737 21/03/05 6737
153346 [질문] 몬스터 헌터 라이즈 예약 구매 질문입니다. [2] 소이밀크러버8086 21/03/05 8086
153345 [질문] 노트북 이걸로 적당할까요? [5] 인간흑인대머리남캐8222 21/03/05 8222
153344 [질문] LG V50S 휴대폰에 갤럭시버즈프로 인식이 안 됩니다. [4] monkeyD8679 21/03/05 8679
153343 [질문] 요즘 과외 선생님은 어디서 구하시나요? [8] 도라곤타이가7619 21/03/05 7619
153342 [질문] 상가 권리금 관련 질문입니다. [11] 82년생 김태균6364 21/03/05 6364
153341 [질문] 인덕션'전용' 후라이팬이 따로 있나요? [7] 아니그게아니고7002 21/03/05 7002
153340 [질문] 일체형 PC 사려고 하는데요 CPU가 i3면 무난할까요? [2] 光海6423 21/03/05 6423
153339 [질문] 캡슐 커피 질문 드립니다. [10] 쿨럭7697 21/03/05 7697
153338 [질문] LOL 선수들은 은퇴를 할 때 미리 예고를 하나요? [6] nekorean7117 21/03/05 7117
153337 [질문] 40인치 TV를 사용한 듀얼모니터 출력이 컴퓨터에 큰 부하를 줄까요? [13] 모나크모나크7273 21/03/05 7273
153336 [질문] SSD에 코딩 프로그램 설치, HDD에 파일 저장 -- 이게 되나요? [14] 위너스리그8769 21/03/04 8769
153335 [질문] 바둑 복기(?)는 흐름을 바탕으로 기억하는건가요? [14] 치카치카8573 21/03/04 8573
153334 [질문] 올해 챔스 우승팀은 어디 보시나요 [18] AaronJudge996960 21/03/04 6960
153333 [질문] 유튜브 수익 조건 질문입니다 [6] F.Nietzsche7359 21/03/04 7359
153332 [질문] 성인 광고하는 사람들에 대한 질문입니다. [8] 안경7514 21/03/04 7514
153331 [질문] 딸 원하는 사회? [53] 공부맨9925 21/03/04 9925
153330 [질문] [컴퓨터] 자꾸 여러 개의 광고사이트가 열립니다. [2] 우주전쟁6426 21/03/04 6426
153329 [질문] 자급제폰 구매 어디서 하세요? [8] 에프케이7574 21/03/04 7574
153328 [질문] 이 물건의 이름이 궁금합니다. [7] 회색사과7825 21/03/04 7825
153327 [질문] 딜 서폿이 다시 나올수있는 메타의 요구조건이 무엇일까요? [12] 요한슨8192 21/03/04 8192
153326 [질문] 크로스핏 하시는 분들께 질문있습니다 [6] 성큼걸이8160 21/03/04 8160
153325 [질문] 여자친구 생일선물 추천 부탁드립니다.. [12] 루체른13124 21/03/04 1312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