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2/25 09:54:08
Name 흥선대원군
Subject [질문] 부모님을 잃었을 때의 절망, 어떤 식으로 극복해야하나요?

아직 저의 양친 모두 살아계시지만 연세가 예순을 넘으시니 곧잘 본인들의 죽음을 말하십니다.

저는 여전히 부모님이 없는 삶을 상상하기 어려운데 그분들은 벌써 이별을 준비하고 계시네요.

언젠가는 저도 부모님의 죽음을 맞이해야할 운명이지만 그것이 실감나지 않고 생각하기도 싫습니다.

만약 부모님을 잃는다면 그것을 어떤식으로 극복해야할까요? 저는 모르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레페리온
21/02/25 09:58
수정 아이콘
갑자기 돌아가시면 더 충격이 크실꺼기에 부모님이 미리 한번씩 언질 하시는것 같습니다.
극복은 불가능하고 다들 마음속에 담아놓고 사는거죠.
21/02/25 10:08
수정 아이콘
저도 이게 참 어렵고 힘든 문제입니다.
그나마 세상에 다른 끈들을 묶고 사는게 답이 아닐까 싶긴합니다.
자식이나 배우자나.
21/02/25 10:08
수정 아이콘
갑작스런 변고로 인한 요인이 아니라면 마음의 준비를 하게되는 시간이 오더라구요
건강하실적엔 상상도 안 되었던 상황들이 위독하시다는 연락을 받고
부랴부랴 왕복하는 횟수를 수차례 경험하게 되면서 자연스레 점점 현실로 다가오고 있음을 느끼게 되는것 같아요

극복은 시간밖에 없을 것 같은데..보통은 부모님의 죽음을 걱정하는 시기쯤이면 본인도 결혼하고 자녀를 둔 경우가 많아
내가 이룬 가족들을 통해 위로를 받는게 큰 것 같습니다. 저도 그랬고...
21/02/25 10:15
수정 아이콘
극복은 안되는것 같습니다. 자녀가 생기니까 더 아버지가 보고 싶어지네요..
모나드
21/02/25 10:23
수정 아이콘
부모님이 가시는 순간 자식 걱정 하지 않고 편한히 가실 수 있도록 잘 사는 수 밖에요
서로 후회없이 살고 갈 것이란 믿음이 있으면 그나마 괜찮습니다
윌모어
21/02/25 10:27
수정 아이콘
저는 일병 때 건강하던 친어머니가 갑작스럽게 암으로 돌아가셨는데, 십수년이 지난 지금도 완전히 극복했다는 생각이 안 들더라고요.. 그저 일상에 치이다보니 잊고 살아간다는 느낌이랄까요. 그래도 장례 치를 당시나 지금이나 가장 큰 힘이 되는 건 주변 사람들의 위로, 아니 그 존재 자체였어요. 정말 형식적인 위로, 인사의 말이라 할지라도 그런 말을 들을 수 있다는 것, 그래도 옆에 누군가 있다는 것 자체가 엄청 큰 힘이 되더라고요. 지금은 절 사랑해주는 아내가 무엇보다 가장 큰 버팀목입니다. 평소 티격태격 잘 하지만 가끔 아내 품에 안길 때 하늘에 계신 엄마가, 세상에 엄마 없이 남은 저를 가엾게 여기셔서 이 사람을 보내주셨나 하는 생각이 들 때가 있어요.
노령견
21/02/25 11:28
수정 아이콘
(수정됨) 극복 안되구요, 언제든지 인생에서 부모님 또는 다른 중요한 사람이 한순간에 사라질 수 있다는 각오를 해두시고 마음속에서 그 중요한 사람(들) 각각에게 의존하는 비중을 줄이세요. '세상이 다 망하더라도 이것만 있으면/하면 살 만 하다' 는 자신만의 취미나 업무, 또는 종교(개인적으로는 싫어합니다만, 성능 확실한 것 같더군요) 를 가지세요.
정론이라는게 절대 아니고 저와 다른 가족구성원들의 사후대처를 보면서 어떻게 했다면 그나마 덜 힘들었을지 뒤늦은 고민에서 나온 생각입니다.
21/02/25 11:53
수정 아이콘
시간이 약입니다...
완전치유는 불가능한듯요
HA클러스터
21/02/25 11:56
수정 아이콘
혹시 부모님이 돌아가신다면 누구한테 연락을 하고 장례는 어디에 연락해서 치르고 묫자리는 어디로 해야할까 혹은 화장을 해야할까, 부모님은 무엇을 원하실까, 금액은 얼마가 들까등을 힘들겠지만 드라이하게 조사하고 상상을 해보세요. 평상시에 이런걸 조사하고 상상해 보는게 의외로 실제 사람의 죽음을 받아들이는데 도움이 되기도 합니다. 아무 생각없이 있다가 갑자기 닥치는 것 보다는요.
그리고 어차피 부모님의 자식으로 태어난 이상 언젠가는 해야하는 일이니까 죄의식을 가질 필요도 없다고 봅니다.
다시마두장
21/02/25 12:12
수정 아이콘
제 주위를 보면 보통 다른 사랑(본인이 꾸린 가정이라든가)을 통해 그나마 그 빈 공간을 채우는 경우가 많았던 것 같습니다.
21/02/25 12:29
수정 아이콘
슬픔은 못 막습니다. 다만 슬픔에서 비롯되는 괴로움은 막으려고 노력해야겠지요...
회색사과
21/02/25 16:35
수정 아이콘
할머니 돌아가신 지 10개월 쯤 됐습니다.

어릴 적에 할머니댁에서 컸고, 제가 중학교 졸업할 때까지 매일 저희집까지 와서 저를 봐주셔서.. 어머니보다 가까운 할머니셨습니다. (한남동-삼성동)
10개월이 지나서... 이제 많이 적응 됐습니다만

아직도 때때로 꿈에 할머니가 보이면 울면서 깨네요 크크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3237 [질문] 시술시 보호자 질문입니다. [1] 삭제됨7425 21/03/01 7425
153236 [질문] 5g 핸드폰 알뜰통신사 사용가능할까요? [3] 스물다섯대째뺨7937 21/03/01 7937
153235 [삭제예정] 킥보드 교통사고 관련 질문입니다 [9] 삭제됨8228 21/03/01 8228
153234 [질문] 키보드가 가벼워야 좋은걸까요? 무거워야 좋은걸까요? [4] Skyfall9426 21/03/01 9426
153233 [질문] 롤 프레스티지 2020 스킨 추천해주세요~ [1] 플라8660 21/03/01 8660
153232 [질문] 스타 리마스터 아이디 한 개만 접속이 안되요 Frobot7631 21/03/01 7631
153231 [질문] 공인인증서 폐지에따는 타명의 통장사용 관련질문이에요 [2] 시오냥7969 21/03/01 7969
153230 [질문] 차값의 기준은? [23] 싸구려신사9654 21/03/01 9654
153229 [질문] 스타1의 인터페이스가 개선된다면 [14] 醉翁之意不在酒7809 21/03/01 7809
153228 [질문] 아이폰은 게임 어떻게 끄나요? (강제종료?, 쿠킹덤) [4] 별빛정원9463 21/03/01 9463
153227 [질문] 백업한 자료가 자꾸 사라집니다. [1] ArcanumToss7614 21/03/01 7614
153226 [삭제예정] 주택담보대출 승인 후 매매금액 변경 [7] 삭제됨7895 21/03/01 7895
153225 [질문] 블랙박스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4] 정나사랑해♡6303 21/02/28 6303
153224 [질문] 내구성 괜찮은 마우스 추천 부탁드려요 [4] 린 슈바르처5671 21/02/28 5671
153223 [질문] 종이신문 추천 부탁드리겠습니다. [2] 최강한화6382 21/02/28 6382
153222 [질문] 닌텐도 스위치 방송용 캡처카드(?)보드(?) 추천부탁드립니다 [2] 한지민짱5769 21/02/28 5769
153221 [질문] 와디즈 펀딩 및 하이테크 의자 질문입니다 (듀오백) [10] sereno7950 21/02/28 7950
153220 [질문] 데스크탑 추천해주세요! [4] 위너스리그7188 21/02/28 7188
153219 [질문] PUSHBULLET 대체 할 만한 앱(PC↔아이폰) 있을까요? 노노리리7423 21/02/28 7423
153218 [질문] 아기 포메라니언 질문입니다. [19] 찬양자8837 21/02/28 8837
153217 [삭제예정] 연예인 사진 한 장 봐주세요~ (안면인식장애) [18] 피쟐러8416 21/02/28 8416
153216 [질문] 야구장 입장권 가격 인상에 대해 어떻게 보십니까? [4] dogprofit6832 21/02/28 6832
153215 [질문] 직장인분들 자기계발 어떻게 하고 계십니까? [5] 할매순대국8609 21/02/28 860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