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2/20 16:06:38
Name 고등어3마리
Subject [질문] 5인이상 직계가족 집합에 관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형제 가족끼리는 5인이상 모이지 못한다고 알고 있는데,
만약 부모님 중 한분이 있으면 위아래 직계가 모이는거니 이건 가능한가요?

그럼 왕할머니 같이 높은 분 한명만 계시면 밑으로 자손들은 다 모일 수 있겠네요?

의견들이 너무 달라 질문 올려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닉네임을바꾸다
21/02/20 16:10
수정 아이콘
지금 같은 주소가 아니면 집합 불가 아닌가요?
예외들이 있긴 있나...흐음...
Tyler Durden
21/02/20 16:48
수정 아이콘
지역마다 조금씩 다르지 않나 싶기도 한데요
jjohny=쿠마
21/02/20 17:0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제가 알기로는

1. 형제 가족끼리는 5인이상 모이지 못한다고 알고 있는데 -> 모이지 못합니다.
2. 만약 부모님 중 한분이 있으면 위아래 직계가 모이는거니 이건 가능한가요? -> 가능합니다.
3. 그럼 왕할머니 같이 높은 분 한명만 계시면 밑으로 자손들은 다 모일 수 있겠네요? -> 모일 수 있습니다.

모임 전원이 직계존속+직계비속 관계로 얽혀 있으면 되고(3번처럼, 왕할머니와 왕할머니의 직계비속들로만 구성된 모임),
한편 직계가족이 아닌 사람이 한 명이라도 끼어 있으면 안됩니다(ex. 3번에 왕할머니 동생이 끼면 안됩니다)
https://www.news1.kr/articles/?4210560

다만 확실하게 하고 싶으실 경우, 지자체 코로나 대응부서나 아니면 방문하고자 하는 장소(식당?) 쪽에 미리 문의를 해보시는 게 좋겠습니다.
몽키매직
21/02/20 17:14
수정 아이콘
https://news.seoul.go.kr/welfare/archives/526162
qna 7, 8번인데, 제사 차례 같은 가족행사시 직계가 모이는 건 가능하다고 하는데
뚜렷한 계기 없이 그냥 모이는 건 안되는 것 같습니다.
jjohny=쿠마
21/02/20 17:22
수정 아이콘
Q7이나 Q2의 ① 등을 참고하면, 별다른 계기 없이 그냥 일상적인 식사모임도 가능한 것으로 보입니다.
척척석사
21/02/20 17:37
수정 아이콘
저도 다음주에 조카 보러 갈 건데 어머니 출근하실 때 같이 쫓겨날 예정입니다 ㅠㅠ 동생만 있으면 못만나요
고등어3마리
21/02/20 17:58
수정 아이콘
모두 답변감사합니다.
즐거운 주말 되십시요 :)
This-Plus
21/02/20 18:23
수정 아이콘
왜 회사는 집합을 그냥 두는 건지...
가정보단 훨씬 위험할텐데.
우와왕
21/02/20 19:46
수정 아이콘
맞습니다 모든 회사 다 셧다운 해야돼요 ㅜㅜ
넙이아니
21/02/21 08:20
수정 아이콘
나라 전체 경제를 멈출순 없으니깐요.
국민도 답답하지만 정부도 진짜 답답할 겁니다.
이래도 욕머고 저래도 욕먹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
disasterOfSun
21/02/22 14:23
수정 아이콘
이랬다저랬다 동네 부녀회수준의 행정력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80890 [질문] 공기업 vs 커리어와 맞는 해외회사로 이직 [13] 삭제됨2307 25/06/17 2307
180889 [질문] 퇴직후 외국에서 산다면 어느 나라에서 살고 싶으신지요...? [31] nexon3186 25/06/16 3186
180888 [질문] 이세돌의 논란이 뭔지 궁금합니다 [46] 다크드래곤5269 25/06/16 5269
180887 [질문] 수의사님 계실까요? [13] B급채팅방2809 25/06/16 2809
180886 [질문] 이거 보이스피싱인가요? [8] 아스날2725 25/06/16 2725
180885 [질문] 터너 증후군을 가지고 계신 분들의 생활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2] 경마장9번마2281 25/06/16 2281
180884 [질문] 주류삽 위스키 추천? [2] 로켓1337 25/06/16 1337
180883 [질문] 해외스포츠에서 혀를 내미는 세레머니에 의미가 있나요? [2] seotaiji2136 25/06/16 2136
180881 [질문] 매직마우스 연결 관련 전설속의인물1568 25/06/16 1568
180880 [질문] 차 앞 유리 얼룩제거 [7] Right1834 25/06/16 1834
180879 [질문] 이메일주소에 점 넣어도 아무 문제가 없나요? [14] beloved2452 25/06/16 2452
180878 [질문] 요한요소해석(Silvaco)에 사용할 워크스테이션을 추천부탁드립니다 [8] Photonics1386 25/06/16 1386
180877 [질문] 리듬게임 질문드립니다. [10] 김카리1367 25/06/16 1367
180876 [질문] 스타 해설 멘트중 제일 웃겼던거 뭘로 기억하시나요??? [34] FlutterUser2092 25/06/16 2092
180875 [질문] 동호회에 나가고싶어요(데이클래스) [7] 기술적트레이더2019 25/06/16 2019
180874 [삭제예정] 삭제합니다ㅠ [3] 삭제됨2948 25/06/15 2948
180873 [질문] 배관매립형 아파트에 일반배관 에어컨 구입 괜찮을까요? [2] 디에아스타2597 25/06/15 2597
180872 [질문] 자전거 라이딩 문화 질문입니다 [13] 니체3603 25/06/15 3603
180871 [질문] 백일때 부모님 친지들 모시고 갈만한 부산 남구 해운대 식당 좋은곳 있을까요 [4] 옥동이2841 25/06/15 2841
180870 [질문] ios26 시각지능지원을 다운로드 중입니다 [4] 영호충2448 25/06/15 2448
180869 [질문] LPL 스플릿 1,2는 우승으로 안친다는 말이 있는데 진짜에요? [8] 마술의 결백증명2514 25/06/15 2514
180868 [질문] 컴퓨터 전원부가 너무 헐겁습니다 [2] 밥과글2706 25/06/14 2706
180867 [질문] 야구에서 구종의 피안타율의 분모는 무엇인가요? [3] SaiNT2449 25/06/14 244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