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1/29 16:53:41
Name Red Key
Subject [질문] 도시 가스 보일러 어떤 방식으로 사용중이신가요. 온도유지? 키고 끄고?
아파트 거주 많이들 하시니까 도시 가스 보일러 기준입니다.

강추위로 그다지 많이 틀지 않은 것 같은데 가스비가 12만원 나왔네요.

보통 댁에서 보일러 어떤 방식으로 사용 중이신가요?

1. 실내 온도를 21~25도 사이에 맞춰 두고 하루 종일 켜둠.

2. 외출로 해뒀다고 춥다 싶으면 보일러 틀고 적당하다 싶으면 다시 외출로 해둠.

우리집에는 2번 방식으로 사용 중인데 항상 가스비가 납득하기 어렵네요. 크크 그닥 켜지도 않은 거 같은데 뭐만 하면 십만원이래.

독하게 하면 2번 방식이 훨씬 절약되기는 한데 (아예 안틀면 되니까) 독하게 할 마음은 없고 뜨시게 지내고 싶네요.
차라리 1번 방식이 더 절약이 될까요?

여름에 전기세 걱정, 겨울에 가스비 걱정안하고 살고 잡네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싸우지마세요
21/01/29 16:56
수정 아이콘
저희집은 예약으로 4시간 걸어두고 씁니다
그럼 4시간 마다 일정 시간 틀고 다시 꺼지는 방식인데 개인적으론 외출보다 이게 덜 나온다고 느꼈어요
추울 때는 예약 시간 간격을 줄이거나 아니면 잠깐 켜고 다시 끄는 식으로!
(이러나 저러나 난방비 많이 나가는 건 함정... )
노지선
21/01/29 16:59
수정 아이콘
저도 위에분과 같은 예약으로 3~4 시간 정도 걸어놓고 사용하고 있어요
해질녁주세요
21/01/29 16:59
수정 아이콘
뉴스같은데 보면 2번 방식이 가스비 더 많이 나온다고 하더라구요.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둘다 비슷하게 나오는데 1번 방식이 항상 따뜻해서 더 이득인 것 같습니다.
하지만 타협해서 요며칠 바깥 날씨가 따뜻할 땐 2번. 오늘처럼 아주 추운 영하날씨엔 1번 틀어놓습니다.
근데 이론상은 그런데 실제로는 집집마다 다른 것 같아요. 둘다 해보시고 선택해야할 듯.
21/01/29 17:01
수정 아이콘
20분 돌고, 1시간 휴식 사이클로 하루종일 돌려요.
그리 따뜻하진 않고요. 실내온도는 외부온도에 영향을 받는편인데 오늘같은 날은 20도 정도 유지하는것 같네요.
아 가스요금은 한달에 15~16만원 나옵니다.
21/01/29 17:29
수정 아이콘
에어컨과 보일러는 '기본적으로 킬때가 돈이 가장 많이 나옵니다'..

'본인이 괜찮다고 생각하는 온도를 정한다음에.. 그 온도가 안맞으면 알아서 켜지게 하는게 일반적으로 가장 저렴합니다.

춥다고 느꼈을때 / 덥다고 느꼈을 때. 괜찮은 수준까지 가동하는데 에너지 손실이 꽤 큰...


25평에 20도~22도 유지만 해주세요~ 로 하니 한달에 6~9만원 사이 나옵니다. 내려가면 알아서 돌고. 높으면 알아서 꺼지는..
21/01/29 18:11
수정 아이콘
저도 그얘기 주어듣고 해봤었는데 결론은 에어컨이든 보일러든 1이요
시험삼아해봤었는데 오래되서 기억은 안나는데 얼마 차이안나더라구요
내가 그 조금 아끼려고 추위나 더위에 시달릴필요가없는 가격으로 나왔습니다
21/01/29 18:44
수정 아이콘
요번에 보일러 바꿨는데 1번 방식으로 해도 가스비 예전보다 적게 나오더군요.
에어콘처럼 최신형 보일러는 가스절감 기술이 있는게 아닌가 싶어요.
21/01/29 20:12
수정 아이콘
질문에 답변 주신 모든분들께 감사드립니다.
21/01/29 20:31
수정 아이콘
1인데 5만원 나왔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2533 [질문] 고전 게임 제목 찾읍니다. (해결) [3] KOS-MOS5236 21/02/01 5236
152531 [질문] 모임 총무가 돈을 조금씩 덜 낸다면 어떻게 하시겠어요? [35] 코시엔9523 21/02/01 9523
152530 [질문] 무선청소기 구입 질문입니다. [2] kogang20015021 21/02/01 5021
152529 [질문] 유연성 향상 스트레칭 추천부탁 드립니다. [1] 호아킨4900 21/02/01 4900
152528 [질문] 갤럭시 폰끼리 영상통화 [7] 늅늅이5561 21/02/01 5561
152527 [삭제예정] 책 어떻게 읽으세요? [18] AW7279 21/02/01 7279
152526 [질문] 포장이사 추천 부탁드립니다. [3] Arya Stark5829 21/02/01 5829
152525 [질문] 오큘러스 퀘스트 2 관련 인터넷 질문입니다 [6] 인생은서른부터7040 21/02/01 7040
152524 [질문] 주식계좌변경관련 문의 [5] 외국어의 달인5104 21/02/01 5104
152523 [질문] 지나가는 사람의 향기 궁금합니다 [6] 포이리에5840 21/02/01 5840
152522 [질문] 입덧은 점점 심해지나요? [14] LG의심장박용택5781 21/02/01 5781
152521 [질문] 강릉에서 가봐야할곳 추천 부탁드립니다! [8] 삭제됨6380 21/02/01 6380
152520 [질문] ESG 메트릭 평가 방법에 아시는 분 있으실까요? [1] 장비4349 21/02/01 4349
152519 [질문] 신혼여행 제주도 호텔 추천부탁드려요 [32] LeeDongGook6270 21/02/01 6270
152518 [질문] 스쿼트 vs 런닝 건강측면에서 뭐가 더 유익할까요? [25] 뵈미우스14480 21/02/01 14480
152517 [질문] 전기 포트 속 녹슴 [1] K-14711 21/02/01 4711
152516 [질문] 남자 혼자 제주여행 [9] 남자답게6489 21/02/01 6489
152515 [질문] 유플러스 공유기 속도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4] 천우희5563 21/01/31 5563
152514 [질문] 서울 중식당 추천바랍니다(크림새우) [4] 교자만두6388 21/01/31 6388
152513 [질문] 업무일지 양식 추천하실만한 것 있으신가요? [2] GNSM13676230 21/01/31 6230
152512 [질문] 갤럭시 S20FE 터치문제는 현재 진행형 인가요? [10] 쓸때없이힘만듬6152 21/01/31 6152
152511 [질문] 자동차세 선납 후 차를 바꾸면? [4] 그말싫5048 21/01/31 5048
152510 [질문] 스타벅스 BOGO 쿠폰 필요하신분 계신가요 [1] 삭제됨5019 21/01/31 501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