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1/01/11 15:48:23
Name 하나둘셋
Subject [질문] 혼자서 게임개발 (취미든 부업이든) 하시는분들 다이어그램을 어느정도 그리시는지요
안녕하세요   최근 유니티와 C#입문한 코린이 입니다

관련 전공을 하지 않아 UML은 잘 모릅니다.
어쨌든 회사원이고 프로세스 문서 읽을 일은 있어  다이어그램으로 뭘 나타내는지는 알긴 압니다

정말 간단한게임을 짰는데도  결과적으로 클래스 관계나 오브젝트 어디에 무슨 클래스(컴포넌트) 를 붙였는지,    내가 지금 보고있는 이 코드(클래스의 메서드 등) 가 도대체 어디서 쓰고있는건지 헷갈리더군요


더 공부하고 실력이 늘면  복잡한게임도 만들게 될텐데
다이어그램을 얼마나 그려야될지 궁금해서   혹시 조언 가능하시면 부탁 드립니다

인터넷 검색하면서 UML도 알게되고 관련 학문이 있는것도 알았지만..     혼자서 그렇게 다 하기에는  배보다 배꼽이 더 커지는 느낌입니다 (누구 보여주려고 하는것도 아니고 나혼자 볼껀데)



마지막으로..   그렇게 다이어그램 그리고 수정하는 시간도 만만치 않을텐데..   그래도 그리는게 결과적으로는 효율적이겠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프즈히
21/01/11 15:59
수정 아이콘
여러 의견이 있을 것 같기는 한데..
제 사견으로는 혼자 개발하는 사이즈에서는 다이어그램 없이 그냥 클래스 구조, 함수명, 변수명에 신경 쓰셔서 코드 가독성을 좋게 하는 정도로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UML을 공부하고 다이어그램을 그려보는 것보다는 (물론 나름 용도는 있겠지만) 기본 객체지향 및 디자인 패턴 공부에 시간을 쏟고, 실제로 리팩토링을 여러번 해 보는게 더 효율적일 것 같습니다.
일단 솔루션 탐색기 쫙 펼쳐놓고 클래스 이름과 네임스페이스만으로 구조파악이 안되는 부분부터 하나씩 고쳐보는건 어떨까요.
하나둘셋
21/01/11 16:37
수정 아이콘
댓글 감사합니다~ 잘 참고하겠습니다
부끄럽지만 아직 디자인패턴이 정확히 무엇인지도 모르는데 공부부터 더 해야겠습니다ㅠ
솔루션탐색기는 아마 VS의 기능인것 같네요..
21/01/12 10:26
수정 아이콘
현재 단계에서는 굳이 모든 컴포넌트, 행위 등을 다이어그램으로 그리실 필요 없습니다.
UML의 마지막 L은 Language 입니다.
다른 사람과 구현 결과물 만들기 전에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언어라는 뜻이죠.
나만 보기 위한 메모를 쓰시거나 일기를 쓰실 때 규약이나 형식을 지키는 경우는 별로 없잖아요?

아직 필요성을 크게 못 느끼시고 다른 개발자와 같이 설계 검토를 하거나 설계 기반에서 코드를 만드실 단계가 아니십니다.
다이어그램 작성에 노력을 투입하고 작성한 다이어그램이 잘 작성되었는지 고민하고 불안해하는 시간이 클수록
하시는 일에 흥미를 잃고 두려움이 생기실 수 있습니다.

그냥 지금은 코드 많이 지지고 볶고 하세요. 에러도 많이 보시고 해결하시고 그렇게 재미나게 프로그램 짜시면 됩니다.

굳이 뭔가 다이어그램 그려야겠다 하시면..

유스케이스면 내 게임이 이런 걸 했으면 좋겠다 하는 것을 동그라미로 그리세요.
동그라미 바깥에 게이머(사람) 그려놓으시고요.

클래스 다이어그램도 코드 다 작성하고 나면 구현 결과물과 다이어그램이 차이가 나게 되어있습니다.
내가 만들 인터페이스, 구현 클래스, 대략적인 메소드 선언 정도만 해놓으시면 됩니다.

시퀀스 다이어그램 제대로 그리는 사람 거의 없습니다.
스테이트 차트 다이어그램(순서도 레벨로)도 크게 크게 흐름 정도만 그리세요.

내 게임에 대해서 공책에 연필로 쓱쓱 스케치한다는 마음가짐이시면 됩니다.
귀찮으면 안해도 된다는 얘기고요.. ^^
하나둘셋
21/01/25 05:46
수정 아이콘
에고 댓글을 달았다고 생각했는데 다시 답변주신거 참고하려고 읽으러 오니 답을 안달았었네요

2주전 글인데.. 그동안 배우다보니 2주전의 코드는 제가 더럽게 짰기때문에 못알아볼만했다라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누군가의 추천으로 클린코드라는 책을 조금 일단 알아볼 수 있는 명칭으로 작성하면 되더군요....

좋은 답변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1996 [질문] 부동산 관련 질문드립니다. [13] 갈릭반핫양념반5804 21/01/13 5804
151995 [질문] 슛? 슈팅? 슛팅? [12] 손금불산입7564 21/01/13 7564
151994 [삭제예정] 명의를 빌려주면? [36] 삭제됨7861 21/01/13 7861
151993 [질문] 고등학교 수학교재/토익 교재 추천 부탁드려요 [8] KazYa6063 21/01/13 6063
151992 [질문] 스피커가 안됩니다. [3] kogang20016466 21/01/13 6466
151991 [질문] 최근 현기차 하부 부식 문의 [7] 건투를 빈다6856 21/01/13 6856
151990 [질문] 남성용 열쇠고리, 이것과 비슷한 제품 없을까요? [2] Rei5164 21/01/13 5164
151989 [질문] 업그레이드 시기를 놓친 컴퓨터의 업그레이드 [6] weekly7315 21/01/12 7315
151988 [질문] lg시네뷰 빔프로젝터 hdmi 연결이 안돼요 [1] Senioritis4906 21/01/12 4906
151987 [삭제예정] 아는 동생이 일하는곳에서 성추행을 당한다고 합니다. [10] 메롱약오르징까꿍8166 21/01/12 8166
151986 [질문] 체중을 이용한 마사지기가 있을까요? [2] Fysta4741 21/01/12 4741
151985 [질문] 글쓰기나 코딩용 키보드 추천 부탁드립니다. [2] 판을흔들어라5739 21/01/12 5739
151984 [질문] 만성 피로로 아리즈웰라는 영양제를 추천 받았는데, 좋은 건가요? [7] 삭제됨5108 21/01/12 5108
151983 [질문] PC용 마이크 질문입니다. 교자만두5198 21/01/12 5198
151982 [질문] 주식으로 대박났다 말하려면 몇퍼 정도 수익일까요? [29] 미국인7682 21/01/12 7682
151981 [질문] [주식]레버리지 예탁금 질문드립니다 dks10wp5011 21/01/12 5011
151980 [질문] 발바닥 통증 관련해서.. [6] 허니띠4872 21/01/12 4872
151979 [질문] 결혼 결심 어떻게 하셨어요? [13] 호아킨8820 21/01/12 8820
151978 [질문] 페이트 입문 질문입니다. [8] AkiraYuki5767 21/01/12 5767
151977 [질문] 아파트 분양 질문이있습니다 [1] 큐브큐브4899 21/01/12 4899
151976 [질문] 근력운동(?)용 고무밴드 추천부탁드립니다! [2] 행복을 찾아서5153 21/01/12 5153
151975 [질문] RTX-3080 이 사고 싶습니다!! [14] 회색사과6994 21/01/12 6994
151974 [질문] 피지알 유저 수는 얼마나 될까요? [11] 손금불산입6244 21/01/12 624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