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12/13 21:50:34
Name 플래쉬
Subject [질문] 연금관련 조언 좀 구하고 싶어서요
제가 미래에 대한 준비가 너무 안되어 있는것 같아
연금을 알아보고 있습니다.

절세 혜택까지 있어  빠르면 금년, 늦어도 내년 정도부터
연간 500~600 정도 생각중인데요

비슷한 질문글을 찾아 읽어보기도 했고
댓글에 추천으로 올라왔던
마법의 연금 굴리기 책도 구매하였는데
올해가 얼마 남지 않아 질문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일단 제가 원하는건 적금형보다는
다소 공격적인 연금을 원하고 있구요
미국 투자 등이 포함되어 있으면 합니다.

연금을 가입하려면 은행을 가야하는지, 증권사를
가야하는지도 모르는 문외한입니다.

추천해주시는 상품(?) 적극적으로 알아볼 생각입니다
추천 부탁드릴께요
미리 답변 감사드립니다 꾸벅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다혈질
20/12/13 21:52
수정 아이콘
(수정됨) 한국포스증권앱 설치하시죠
이시국에 비대면으로 진행하시고 집에서 편하게
검색하면서 시간절약도 하시고 투자하세요

가면 기다려야지 상담한다고 시간 써야되잖아요
20/12/13 21:57
수정 아이콘
비대면으로 연금저축펀드 개설하셔서 해외시장추종하는 ETF나 펀드 매수하시면 됍니다
김유라
20/12/13 22:07
수정 아이콘
공격적으로 연금투자하고 싶으시면, 매우 간단합니다.

1. 연금저축펀드 계좌를 비대면 개설(앱 설치 후 개설)한다.
2. 원하는 ETF를 매수한다.
3. 공격적으로 굴린다.

연금저축펀드는 ETF만 매수가 가능하고, 인출이 불가능하단 점을 제외하면 모든 행위가 주식 계좌와 동일합니다. (인출 시 인출한만큼 세액공제받은 금액 다시 뱉어야 합니다.) 공격적으로 투자하고 싶으시면 레버리지 옵션이 붙은 ETF 매수 진행하셔도 무방합니다.
이과감성
20/12/13 22:12
수정 아이콘
2222 입니다
조금 더 첨부하면 너무 공격적인 일부 레버리지 등은 안되고, 채권비중이 최소 30퍼이어야합니다

그래도 비중을 좀 작게 시작하셔서.. 생활이 가능한지 오래오래 지속가능한지 살펴보세요
괜히 중간에 빼면 아깝잖아요
김유라
20/12/13 22:14
수정 아이콘
IRP는 채권 비율 유지해야하는데 연금저축펀드는 30% 유지 안해도 괜찮습니다 헤헤
하지만 연 500~600 생각하시면 연금저축펀드 400 + IRP 100~200 정도 생각하셔야 하니 감안 하셔야할 듯 합니다.

저는 보통 달러채권 삽니다.
사당보다먼
20/12/13 22:28
수정 아이콘
마연굴 책에 다 나와있어요. 윗분들이 추천해주신 연금저축펀드 연 400에다가 더하실거면 개인형IRP에 남은돈 연 최대 300까지 넣으시고 ETF 구매 하시면 됩니다. 연금계좌에서 ETF 직접 매매가 가능한 증권사들이 있으니 그런 증권사들로 알아보고 가입하세요. 요새 비대면으로 다 가입 가능합니다.
내용이론
20/12/13 22:44
수정 아이콘
이미 개략적인 정보는 아시겠지만, 제가 아는 걸 대충 말씀드려 보겠습니다.

흔히 연금을 3중구조로 짜야한다고 말을 합니다. (이유는 저도 모릅니다..)
A.국민연금 (국가)
B.퇴직연금 (회사/DB,DC)
C.개인연금 (개인)

A.국민연금은 제가 잘모르니 패스하고
B.퇴직연금의 경우
직장에서 DB형을 운영한다면 개인이 컨트롤할 수 있는 부분이 없고
DC형을 운영한다면 운용상품 지시를 통해 수익률 개선을 꾀할 수 있습니다.
실질적으로 개인이 전적으로 컨트롤할 수 있는 분야는 C.개인연금입니다.

개인연금관련 상품은 크게 3가지입니다.
1. IRP
2. 연금저축펀드 (은행&증권/보험사?)
3. 연금저축보험 (보험사)

각 연금상품은 금융권 합산 연1,800만원까지 납입이 가능하며 연 700만원(연금저축펀드,보험은 400만원)까지 세액공제를 받습니다.
(소득5000만원? 미만이면 16.5%, 이상이면 13.2%/ 예를 들어 소득 3000만원 & 연 700만원 IRP 납입이면 115.5만원 공제)
1. IRP 2. 연금저축펀드의 경우 운용상품을 본인이 선택할 수 있습니다.

1. IRP(Individual Retirement Pension)
가장 보편적인 개인형 연금 계좌입니다.
은행,증권,보험사에서 모두 취급하나 은행 상품을 접하기 쉬우실 거라 생각합니다.
B. 퇴직연금제도를 도입한 사업장은 300만원 이상의 퇴직금을 무조건 퇴직자의 IRP 계좌로 이체해야합니다.
퇴직금을 연금으로 활용하면 좋겠지만, 한국의 현실상 퇴직금을 바로 쓰시는 경우가 많기에 퇴직자분들이
주거래은행에다 IRP 계좌를 트시고 퇴직금 받으신 후 해지하셔서 사용하는 경우가 잦습니다.

IRP는 금융사가 제공하는 상품 중 원하는 상품을 골라 투자가 가능합니다.(정기예금, 펀드, ELB 등)
투자성향에서 따라 주식, 예금 등의 비율을 조절하시되, 개인적으로 나이가 많지 않으시다면
미국지수형 펀드를 권해드리고 싶기는 합니다.(TDF는 개인적으로 그 효용성을 잘 못느끼겠습니다.)
은행 IRP는 ETF 투자가 안되니 ETF 투자를 원하신다면 증권사 IRP를 만드시면 됩니다.

2. 연금저축펀드
증권사에서 운영하는 펀드로 은행과 증권사에서 가입가능합니다.
1개의 모계좌를 만들고, 원하는 펀드상품으로 자계좌를 만드는 방식입니다.
연금펀드의 경우 수수료율이 낮은 전용상품이 있고, 환매수수료가 거의 없거나 저렴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나이가 어리시다면 지수형 펀드나 공격적인 펀드도 나쁜 선택같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3.연금저축보험
보험사에서 운영하는 보험으로 보험사 다이렉트 채널이나 은행 방카슈랑스를 통해 가입가능합니다.
상품에서 공시하는 이율로 운용됩니다. 공시이율은 계속 낮아지고 있으며
개인이 컨트롤할 수 있는 부분이 없기에 개인적으로는 권하고 싶지는 않습니다.
(지수형 펀드에 넣어놓고 건드리지만 않아도 공시이율보다는 높을 것 같다고 항상 생각합니다.)

대충 C.개인연금에서 가입할 수 있는 상품 종류는 이렇고
공격적인 투자를 원하신다면 증권사 IRP계좌 개설 후
ETF나 펀드 위주로 운영하시는 걸 권해드리고 싶습니다.
(증권사 IRP는 없어서 미국상장ETF(SPY 등)에 투자가능한지는 모르겠습니다.)
만약 IRP에서 투자가 불가능하시다면 연금저축펀드 가입을 통해
원하시는 해외투자가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위 상품 모두 비대면 계좌 가입가능하니 금융사 홈페이지 접속하셔서
원하시는 상품이 있는지 살펴보고 가입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20/12/14 07:17
수정 아이콘
지나가다가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당.
제리드
20/12/14 09:06
수정 아이콘
개념은 위에서 잘 설명해주셨으니,
연금저축펀드 개설 후(업계 1위는 미래에셋대우로 알고 있습니다)
미국나스닥100, 미국S&P500, 코스닥(KODEX200, TIGER200 등 뒤에 200붙은거), S&P아시아탑50 등 섞어서 매수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1251 [질문] [컴퓨터] RTX 3080 충돌 관련 질문 [8] 아침6464 20/12/18 6464
151249 [질문] 여전히 ASUS 공유기가 최고인가요? [6] F.Nietzsche6550 20/12/18 6550
151248 [질문] 전세계 축구선수 줄세우기를 하면.. 손흥민 선수는.... [15] 마르키아르6783 20/12/18 6783
151247 [질문] 배변활동 관련해서 이런적이 있으신지 어디 문제가있는건지 궁금합니다.. [15] 애기찌와8204 20/12/18 8204
151246 [질문] 어플 추천 부탁드립니다. [2] 돌만5740 20/12/18 5740
151245 [질문] 배송조회 중 배송상태가 '사고'로 표시되는 경우 [3] Burnout Syndrome7254 20/12/18 7254
151244 [질문] 닌텐도 스위치 꿈섬 유사한 게임 추천해주세요~ [8] 요비6199 20/12/18 6199
151243 [질문] 사이버펑크 브금 찾습니다. Ambael5169 20/12/18 5169
151242 [질문] 님들이 생각하는 사이버펑크 세계관은 어떤 이미지인가요? 삭제됨5850 20/12/18 5850
151241 [질문] 닌텐도 스위치 추가질문입니다(+링피트) [8] 프라임에듀8040 20/12/18 8040
151240 [질문] 이별한 전 여친과 일요일약속을 잡았습니다. [37] 방탄노년단12038 20/12/18 12038
151239 [질문] 트위치나 유튜브 등 방송하는 법 관련 질문 있습니다~ [4] 던지진않습니다5912 20/12/17 5912
151238 [질문] 컴퓨터 견적 검토를 부탁드립니다. [7] Phwary6183 20/12/17 6183
151237 [질문] 컴맹수준이라 컴퓨터 견적좀 봐주세요 [9] 태엽감는새5940 20/12/17 5940
151236 [질문] 우드윅 디퓨저 제품 선물용으로 좋은가요?? [2] 삭제됨5006 20/12/17 5006
151235 [질문] 결혼, 출산 이후엔 가치관이 많이 바뀌나요? [18] 흥선대원군7182 20/12/17 7182
151234 [질문] 지포스 시리즈의 TI 나 SUPER의 의미가 뭔가 특별한가요? [3] Pygmalion6080 20/12/17 6080
151233 [질문] 미국에있는 지인에게 선물을 해야합니다. [4] 라디오스타6075 20/12/17 6075
151232 [질문] 첫 한국사 전집 추천 부탁드려요 (6~7세용) [2] 발업질럿의인6432 20/12/17 6432
151231 [질문] 컴퓨터 견적 좀 봐주세요! [9] Everlas6042 20/12/17 6042
151230 [삭제예정] 와이프 속옷세트 크리스마스 선물질문 [5] 삭제됨5873 20/12/17 5873
151229 [질문] 택시에서 물품을 절도 당하였습니다. [15] lifewillchange6394 20/12/17 6394
151228 [질문] 최저임금 관련 문의 [15] 호떡집5944 20/12/17 594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