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배너 1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12/08 16:25:39
Name 라비
Subject [질문] 교통사고 전치 2~3주 합의금 질문입니다
3주 전에 뒷차가 후방추돌하여 제 과실은 없고 진단은 염좌, 타박으로 2~3주 정도 나온거같습니다.

정형외과에서 물리치료 3번 받았는데, 이후에는 딱히 아프지 않았고 시간내기도 번거롭고해서 치료는 안받고 있습니다.

오늘 전화와서 대인 합의금 60만원 제시하는데 일반적인 시세? 가 어느정도 인가요?

그리고 제가 원하는 금액으로 쇼부쳤을때 안받아주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답변 미리 감사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12/08 16:40
수정 아이콘
합의금이야 얼마건 본인이 만족하면 되는건데..
피해자입장에서 유리한쪽으로 말씀드리자면
일단 아직 치료가 않끝났으니 한~두달정도 충분히 치료받고 이야기 하자고 하시고..
치료 충분히 받고..합의 하시되 합의금 액수는 먼저 언급 하면 안됩니다. 그게 상한선이 되버려서요
보통은 치료기간이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합의금이 올라가는 편이고요..
제가 본사례로 2주진단으로 400정도는 받는 사람까진 본거 같습니다.
근데 이것도 상당히 귀찮아서 대부분은 적정선에서 합의 하는편입니다.
60은 너무 날로먹는거 같고요.
알카즈네
20/12/08 16:42
수정 아이콘
가벼운 접촉사고에 물리치료 몇 번은 그 정도 나옵니다.
보험사 직원도 정해진 규정이 있고, 수없이 해온 일이기에 원하는 금액 불러봐야 안 받아줍니다.
그래도 계속 아프다고 병원 다니면서 진상 떨면 좀 올려주긴 하는데 추천하지 않습니다.
20/12/08 16:54
수정 아이콘
불가피한 접촉사고 많이 겪었는데 대충 그정도 선에 여러번 타협했었네요 속시끄러워서요
20/12/08 16:57
수정 아이콘
케바케에요
저는 적정하다 봅니다
통원치료 몇번 하고 치료를 끝내면 기대치의 합의금을 이끌어내는데 어려움이 있을거에요
독한 마음먹고 별짓을 다 하면 할수록 더 받을수도 있긴 하겠지만 개인적으론 추천 안 드립니다
그런것도 하는 사람이나 하는거라 생각해서요
빨리 합의하고 신경끄는것도 저는 나쁘지 않다고 생각하네요
피를마시는새
20/12/08 17:06
수정 아이콘
통원치료 끝내실 동안 미리 합의만 안하시면 됩니다. 이건 진상이 아니라 당연한 거예요.
20/12/08 17:38
수정 아이콘
병원+진료 등 치료에 필요한 모든건 당연히 받을 수 있고, 나머진 일실손익 계산해서 가는게 젤 무난할걸요. (3주면 월급의 3/4)
렌트나 뭐 그런거 하면 조정되고 그런 부분이 있겠죠. 60은 좀 적어보이는데 그런 경우엔 걍 두시면 됩니다.
절대불멸마수
20/12/08 17:53
수정 아이콘
제가 이해한 합의금의 기본적인 개념은

1. 피해자는 아픈만큼 병원에 가서 치료를 받는다. (해당 사고로 인한 질환이라면 기한없이 필요한만큼.)
2. 보험회사는 기한없이 길어지는 치료기간 및 비용의 불확실성이 부담되기 때문에 (기한이 없기 때문에 무제한의 손실이 발생가능성이 있음.) 일정 금액으로 합의 (원칙적으로는 합의한 이후로는 해당 사고로 인한 질환은 의료보험청구가 불가능하며, 비보험가로 전액 환자의 부담으로 치료해야함. 의료보험이든 사고가 난 상대보험사이든 청구가 불가능하며, 개인이 가입한 보험에서도 청구가 안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3. 보험회사가 제시한 금액이 불쾌하면 무시하시고 병원을 계속 다니시면 됩니다.
4. 개인적 경험으론 (저는 통증이 계속 있었습니다.) 시간이 날때마다 병원을 갔더니 (2주 간격정도..?) 병원 가면 두시간 정도 이내에 전화가 오더군요. 합의할 생각 없다고 말하고 천천히 치료받으시면 무기한의 치료기간 + 비용이 합의비용보다 커진다면, 합의비용이 올라가겠죠.
5. 100만원 이상의 합의금은 프로세스가 다른 것처럼 들었습니다. 100만원 아래로는 개별 보험사원에서 지급할 수 있는데, 100만원 넘기려면 지점장 승인? 성과평가? 같은 추가 요소가 있어서 더 어려운 것처럼 말하더라고요.
6. 이후론.. 건전한 방법은 아닌것같지만, 한방병원에 입원하면 즉시 전화오고 합의하자고 한다고 하더라고요. (병원에 하루라도 입원하면 상대방 보험료 할증이 더 커지고, 분류가 달라지는 것 같더라고요.)
뚜루루루루루쨘~
20/12/08 18:19
수정 아이콘
이게 적정가격이라는게 없죠.. 그리고 보험사에서 불러주는 합의금에 대한 불쾌감도 어느정도가 불쾌한지 알수가 없습니다.
합의금을 떠나서 경험을 비추어서 보면

1) 사고로 인한 건강에 불안요소들은 MRI, CT 같은 비용이 드는 것들을 일단 다 받는다.
2) 정형외과 물리치료는 1회 발생하는 비용이 크지 않기 때문에 나중에 합의시점에 한달 더 다니고 싶다 하면 1일 통원비 * 30일 이런식으로 산정해서 주는데 1일 통원비가 적으면 적은대로 전체 금액이 적어지게 됩니다.(이 말은 드라마틱 하게 큰 금액을 부르기 쉽지 않음)
3) 보험사에서 사고접수된 번호로 그동안 얼마나 통원 치료를 받고 있는지에 대한 조회가 나오기 때문에 진짜로 악착같이 받아내려면 한방병원가서 치료를 받으면 좀 더 올라갈 수 있죠.
4) 2~3번을 정리해보면 돈 많이 받으려면 부지런해야합니다.
5) 정말 안아픈지 객관적인 진단이 필요합니다. 좀 아픈데.. 병원에서는 딱히 시간 말고는 답이 없다고 말하는 상황이라.. 합의를 진행하고 나서 며칠 안지나서 팔꿈치에 통증을 느낀적이 있어서.... 굳이 합의를 일찍해야할 이유는 없었구나 다시한번 생각하게 되었습니다.(사고 후 약 2달 정도 지난 상태였는데 통원치료도 큰 차도가 없었고 크게 아프진 않을거 같아서 합의를 했지만... 합의 후 아픔을 느끼는 불편함(육체적 정신적)이 생길 수 있습니다. 쉽사리 본인의 건강을 평가하지 마십시요.
6) 보험사에서 60에 대한 내용을 2달 통원치료 비용 이런식으로 산정했다면 나는 3달 정도는 더 다녀야 할 것 같다는 식으로 한달 정도 더 비용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쪽에서 어렵다는 식(위에서 언급한 결재가 필요하다는 둥)으로 말하지만.. 그 금액이 드라마틱하게 크지 않으면 해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합의 안되서 계속 발생이 나가는 것들을 고려하여 그쪽도 결정을 하기 때문이죠.)

7) 보험사들도 베테랑이에요. 대충 라비님과 대화해보면 견적나왔을 겁니다. 60만원도 마냥 적은 금액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20/12/08 20:32
수정 아이콘
후방추돌은 그냥 다음날 바로 한방병원 가서 하루만 입원하시면 150-200선으로 합의봅니다...
이혜리
20/12/09 03:44
수정 아이콘
두달전에 후방 추돌 길막혀서 약 20키로 정도로 서행 중 뒤에서 박아서 100대0 떳습니다.

다음 날 범퍼 교체 ㅡ 번호판부분찍혀서 1센티정도 찢어짐.
다음 날 부터 한방병원 다니기 시작, 출근 전 들러서 침치료랑 추나 받음. 바빠서 매일은 못 가고 2주간 5번정도 간 후 바빠서 못 가고 있었음.

3주 후 연락이 와서 50만원 부르길래 깔끔하게 100으로 마무리하자고 하니 98.2 준대서 OK하고 끝났습니다.
정형외과 4회 방문이면 차도가 없다고 하고 한방병원 간다고 하시든가 150정도에 합의보세요.
상한우유
20/12/09 11:18
수정 아이콘
통원치료 200 맥스
20/12/09 12:48
수정 아이콘
MRI나 CT촬영하셨나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댓글잠금 [질문]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108310
공지 [질문] [삭제예정] 카테고리가 생겼습니다. [10] 유스티스 18/05/08 131209
공지 [질문] 성인 정보를 포함하는 글에 대한 공지입니다 [38] OrBef 16/05/03 180021
공지 [질문] 19금 질문은 되도록 자제해주십시오 [8] OrBef 15/10/28 213151
공지 [질문] 통합 공지사항 + 질문 게시판 이용에 관하여. [22] 항즐이 08/07/22 264696
180256 [질문] 삼국지를 보면 볼수록 관우가 신으로 느껴지는데 변태일까요 [2] 해버지377 25/04/07 377
180255 [질문] 6월에 후지락을 가는데, 여행 조언 부탁드립니다! [1] 호비브라운283 25/04/06 283
180254 [질문] 게이밍 PC 견적 문의드립니다. [4] 네집마련428 25/04/06 428
180253 [질문] 백신 구매를 유도하는 코드도 존재하나요? [1] 미키맨틀477 25/04/06 477
180252 [질문] 남자 이름 태리 어떻게 들리시나요 [17] 옥동이851 25/04/06 851
180251 [질문] 원주 맛집 조언 구합니다. [11] 포커페쑤666 25/04/06 666
180250 [질문] 노트북 구매 질문입니다. [5] JoyB515 25/04/06 515
180249 [질문] 대출관련질문드립니다 [2] 김다미634 25/04/06 634
180248 [질문] 서브컬쳐 향유 팬덤에서 명확하게 10대가 주축인 문화가 요즘 있나요? [15] 별이지는언덕1425 25/04/06 1425
180247 [질문] 취미생활에서 용품병 낫는 법 있을까요? [35] wersdfhr1319 25/04/06 1319
180246 [질문] 셔틀버스 9시 출발이면 9시 땡 출발인가요? [38] 소용락4483 25/04/05 4483
180245 [질문] 한국에서 주식투자자들 중에 빚내서 주식하는 사람들 비율이 많나요? [11] 독서상품권3927 25/04/05 3927
180244 [질문] 물걸레청소 기능이 없는 로봇청소기도 있을까요? [3] 콩탕망탕3037 25/04/05 3037
180243 [질문] 이 노래 제목이 뭘까요? [3] 법규2614 25/04/05 2614
180242 [질문] 독서 많이 하시는 분들께 질문 드려봅니다. [21] WhiteBerry4181 25/04/04 4181
180241 [질문] 외장하드 추천 부탁드립니다. [6] 유니꽃1668 25/04/04 1668
180240 [질문] 샤오미 1세대 로봇청소기 고장 증상 [2] 빼사스1413 25/04/04 1413
180239 [질문] 다자녀 특공시 자산 책정 기준 궁금합니다.(개인사업자) [4] 8억빠1475 25/04/04 147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