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12/07 14:22:53
Name 삭제됨
Subject [삭제예정] 대한민국 최고의 스포츠 스타는 누구일까요?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벨로티
20/12/07 14:26
수정 아이콘
종목의 위상까지 고려해 쏜흥민 압도적 원톱 봅니다
ComeAgain
20/12/07 14:28
수정 아이콘
시대 상황 고려하여 상대 평가 본다면 히딩크가 아닐까 합니다.
바람기억
20/12/07 14:31
수정 아이콘
남자 손흥민, 여자 김연아
프랑켄~~
20/12/07 14:32
수정 아이콘
종목의 인기(세계기준) : 손흥민, 차범근
종목의 인기(국내기준) : 박찬호, 이승엽
그 종목에서의 위상(세계기준) : 김연아, 페이커, 이세돌
그 종목에서의 위상(국내기준) : 임요환, 선동열, 이만기, 서장훈, 류현진, 이승엽, 손흥민, 박지성
시대적 상황 감안 : 박찬호, 박세리, 박지성
종합적으로는 박찬호, 박지성이지 않을까 싶네요.. IMF와 2002 월드컵을 겪지 않은 세대가 주요 세대로 떠오르게 되면 바뀔수도 있겠지만..
좀 지나면 손흥민도 여기 낄 수도 있을거 같네요..(다음 월드컵에서 유의미한 성적을 거둔다면.. 월드컵에서 방점을 안찍으면 전세대적인 인지도는 떨어질거라 생각하네요.)
네이버후드
20/12/07 14:38
수정 아이콘
박찬호
20/12/07 14:50
수정 아이콘
스포츠 관련해선 전혀 안 찾아보는 사람입니다. 박찬호 고릅니다
20/12/07 14:53
수정 아이콘
그냥 과거 추억뽕 다 쳐줘도 손흥민 그만큼 압도적임.
20/12/07 14:53
수정 아이콘
최고의 선수는 차범근
최고의 스타는 박찬호

이번시즌 끝나면 차범근이 손흥민으로 교체될수 있습니다.
지금만나러갑니다
20/12/07 14:57
수정 아이콘
남자는 박찬호 vs 손흥민 일거 같고
여자는 김연아 봅니다
아이폰텐
20/12/07 15:12
수정 아이콘
손흥민
Karoliner
20/12/07 15:13
수정 아이콘
남녀 나누는건 크게 의미 없어보이고 종목까지 감안해서 손흥민이요.
설레발
20/12/07 15:20
수정 아이콘
박찬호
마갈량
20/12/07 15:24
수정 아이콘
쏜 or 연아
국내만은 김연아가 위같고
월드로보면 쏜이 압도적이죠
사나없이사나마나
20/12/07 15:24
수정 아이콘
저는 스포츠 스타라는 거에 방점을 두어 박찬호 vs 박지성 vs 김연아 셋 중 하나라고 생각하는데, 셋 중 누구일지는 모르겠어요. 팬심 좀 보태면 박지성이기는 한데..
이브나
20/12/07 15:42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에서 이런 선수가 어떻게 나왔지? 라는 관점에서는 김연아라고 봅니다.

다른 종목은 대부분 불모지였던 상황에서 선구자 등장 -> OOO 키드들 등장 -> 최강자 등장의 구도로 갔거든요
임요환 -> 페이커, 박지성 -> 손흥민, 박세리 -> 박인비 식으로요.

근데 김연아는 혼자 등장해서 혼자 역최를 찍었어요.
굳이 추가하자면 차붐인데 차붐은 너무 오래 전이라서 일단 패스하고..

그런 측면에서 저는 김연아 한표요
StayAway
20/12/07 15:58
수정 아이콘
종목 내 위상은 이창호와 이세돌을 비빌수 없죠. 문제는 바둑이 야구보다 한정적인 스포츠라..

모든걸 따졌을때 축구자체의 위상이 너무 높아진 현재에 와서는 그냥 손흥민 이라고 봐야죠.
차붐 시절과 지금 시절은 같은 축구라고 해도 가중치가 다릅니다.
카페알파
20/12/07 16:11
수정 아이콘
이건 사실 애매한 게 저 위 누구를 가져다 놔도 찬성/반대가 다 있을 거라 누구 하나만 짚기는 좀 어렵네요.

다만 김연아 선수에 대한 개인적인 경험(?)이랄까 뭐 그런 건데, 김연아 선수 은퇴 후 몇 년 뒤던가, 뭐라고 제목이 되어 있는데, 그건 제대로 안 보고 여성 피겨 스케이터 선수가 경기를 하는 영상(우리나라 선수는 아니고 러시아 선수인가, 하여튼 외국인이었습니다.)부터 봤는데, 어? 제법 잘 합니다? 그래서 아, 김연아 뒤로 새로 떠오르는 유망주인가보네 라고 봤는데, 나중에 잘 보니까 김연아 선수 이후 세계 챔피언이라네요? 그 때 든 생각이 저 실력으로? 유망주가 아니라 챔피언이라고?

그 뒤로 든 생각이 국뽕이 아니라 김연아 선수가 뛰어나긴 했던 선수였나보다, 수백 년에 한 명 나타날까말까 하는 선수였다는 게 그저 하는 소리가 아니었네 하는 것이었습니다. 차세대 세계 챔피언급을 유망주급으로 보이게 하는 실력이었다니.....
됍늅이
20/12/07 22:47
수정 아이콘
김연아는 올림픽 운이 좀 없어서(피겨는 극도로 선수생명이 짧은데 4년마다 하는 올림픽에 딱 나이가 맞지 않으면 메달 기회가 확 줄어듦 + 러시아에서 2번째 올림픽을 개최해버림) 커리어가 부족한 줄 아는 사람이 많지만, 참가한 모든 대회 메달석권이라는 대기록에 그냥 점프 높이나 속도가 탈여성급이라 퍼포먼스가 압도적이어서 기준에 따라서는 역대 최고의 여자피겨 선수로 꼽을 수도 있는 정도죠.
아스날
20/12/07 16:20
수정 아이콘
해외포함 손흥민...
파핀폐인
20/12/07 16:23
수정 아이콘
쏘니
20/12/07 16:53
수정 아이콘
한국 위상 한정으로 박찬호 꼽아봅니다.
20/12/07 17:06
수정 아이콘
차범근 김연아요
20/12/07 17:13
수정 아이콘
손흥민 박찬호 김연아 이 세분이 가장 많네요 감사합니다.
이재인
20/12/07 18:46
수정 아이콘
손흥민 박찬호 김연아
20/12/07 18:47
수정 아이콘
손흥민이 보편적이고 종목의 특수성까지 감안하면 김연아도 낄수있겠죠
20/12/07 19:43
수정 아이콘
국내 위상 한정 박찬호 김연아 투톱 봅니다.
스포츠에 관심없는 분들이 다수인데 손흥민은 몰라도 위 두 사람은 아는 사람이 많죠.
됍늅이
20/12/07 22:44
수정 아이콘
제 주관으로는 김연아 페이커. 일정 수준 이상의 글로벌한 종목이면서 당대 최고&역대 최고(또는 역대 최고를 논할 때 꼽히는 수준)에 들어가는 한국 선수는 진짜 이 둘밖에 없는 거 같아요. 작은 나라라는 걸 생각하면 어마어마한 거죠. 특히 김연아는 해당 종목과 거의 상관이 없는 나라에서 갑자기 툭 튀어나온 충공깽스러운 선수라...
살다보니별일이
20/12/07 22:45
수정 아이콘
야구는 한국에서 인기많고, 축구는 월드컵이 있었고 골프는 중년들 최애
그런 상황에서 예나 지금이나 앞으로나 비주류일것 같은 한국 피겨에서 나온 김연아 인지도, 광고 등 보면 김연아 뽑고 싶은데...

문제는 박찬호 번 돈이 몇천억 아닌가요? 크크;; 번 돈까지 넣으면 이거 상대가 안될텐데..
됍늅이
20/12/07 22:49
수정 아이콘
뭐 연봉으로 붙으면 추신수가 있어서...
20/12/08 07:29
수정 아이콘
전국민 인지도와 문화적 임팩트(?) 를 따지자면 박찬호 아닌가요. 박찬호 경기만 되면 어디서든 오전이건 오후건 야구 틀어놓고 보던게 기억나는데. 김연아도 고점은 박찬호 수준이었지만, 박찬호 중계수가 김연아 출전 올림픽 및 기타 대회보다 압도적으로 많아 살포시 박찬호 손을 들어봅니다.
엔지니어
20/12/08 10:26
수정 아이콘
IMF 보정때문에 박찬호 일것 같기도 하고...
역대급 공격수인 손흥민 같기도 하고...
위원장
20/12/08 11:49
수정 아이콘
박세리
박세리 키즈의 위용을 보면 박세리가 최고의 선수였다고 생각됩니다.
20/12/09 10:29
수정 아이콘
재밌는 토론이네요 각자 리스펙하는 분야가 다르지만 이견이 달리기는 어려운 선수들이네요.

저는 박찬호 손흥민 김연아 페이커 순이라 생각하는데, 손이 월드컵에서 뭔가 보여준다면 박찬호를 넘을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0988 [질문] 택배분실 질문 입니다. 어찌하리까6891 20/12/10 6891
150987 [질문] 서머너즈 워 질문 [20] Kaestro6223 20/12/10 6223
150986 [질문] 사이버 펑크 구매처 [7] 야수6185 20/12/10 6185
150985 [질문] 안경 대신 콘택트 렌즈 처음 사려는데 어떤가요? [5] qwertyy8559 20/12/10 8559
150984 [질문] 현재 요피스텔 전세로 거주 중인데요 계약 연장에 관해서.. [4] 삭제됨5983 20/12/10 5983
150983 [질문] 닌텐도 스위치 질문입니다. [8] 기동전사건담8358 20/12/10 8358
150982 [질문] [TFT] 모바일로 하는게 컴으로 하는것보다 많이 불리한가요? [24] 농담곰11174 20/12/10 11174
150981 [질문] 컴퓨터 견적 질문드립니다 [7] 큭큭나당8264 20/12/10 8264
150980 [삭제예정] 휴면 주식 계좌 [5] 삭제됨6044 20/12/10 6044
150979 [질문] 플라이... 송무무는 나중에 롤 역사에서 어떻게 평가될까요? [22] 요한슨9688 20/12/10 9688
150978 [질문] 결혼 축의금을 일찍 줘도 될까요? [10] 동동16535 20/12/10 16535
150976 [질문] 게이밍 노트북 사양 질문입니다. [10] 약쟁이9093 20/12/10 9093
150975 [질문] 코딩관련 구글에서 검색시 ,(쉼표) 문자나 []괄호 문자를 포함해서 검색하는법? [7] 하나둘셋8102 20/12/10 8102
150974 [질문] 스텝스컬쳐2 가 어떤 방식인건가요? [4] 이츠키쇼난8660 20/12/10 8660
150973 [질문]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1 인공지능 원래 이러나요? [9] 손금불산입9688 20/12/10 9688
150972 [삭제예정] 전세낀 아파트 매매시 주택담보대출 받을 수 있나요? [2] 삭제됨16401 20/12/09 16401
150971 [삭제예정] 이시국에 캐나다로 항공 우편으로 보내면 어느정도 걸릴까요? [15] 삭제됨7008 20/12/09 7008
150970 [질문] 프로포즈 반지 질문입니다.. [15] 스웨트9104 20/12/09 9104
150969 [질문] 구글기프트카드 상품권으로 구매가능한가요? [1] 쥬리7332 20/12/09 7332
150968 [질문] 악뮤의 국내/해외 인지도, 인기도는 어느 정도 일까요? [9] 달껍8232 20/12/09 8232
150967 [질문] 33살 체력 및 운동 질문입니다. [10] 냥멍빌런7841 20/12/09 7841
150966 [질문] 넷플릭스를 처음 써보는데 별점이라던가 평가 보는방법 있을까요? [2] 보리밥6807 20/12/09 6807
150964 [질문] 스타1 토스 대 저그전 밸런스에서.. [21] v.Serum8991 20/12/09 899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