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11/24 11:21:48
Name WhiteBerry
Subject [질문] 2~3개월 안에 영어 스피킹 실력을 키우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 무엇일까요?
시험 성적은 잘 나오는데

영어 말은 잘 못하는 전형적인 영말못 입니다.

영어로 비지니스 해야 하는 상황이 늘어났고 페이퍼 웍이 아닌 컨퍼런스도 많이 하게 되어 어느 정도 영어 실력을 향상시켜야 합니다.

리딩은 잘 되고 영문 이메일도 곧잘 쓰는데 (구글번역기 활용) 스피킹과 리스닝이 쉽지가 않습니다.


이론은 머리에 있는데 입으로 나오지 않는 상황인데 짧은 시간에 집중해서 입을 열수 있는 방법이 뭐가 있을까요?

현재 하고 있는건
1. 전화영어 주 2회 10분
2. 문법 공부 grammar in use
3. 단어장 어플로 틈틈이 단어 훑기


이 정도입니다. 어떤 훈련를 하면 좋을까요? 답변 부탁 드립니다.

참고로 출퇴근 각 1시간 정도씩 지하철 타는 시간이 있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Cazellnu
20/11/24 11:26
수정 아이콘
이런건 낭떠러지에서 떨어져서 기어 올라오는 방식이 최고인데
생업이 있으니
학원 말고는 크게 떠오르지 않네요
WhiteBerry
20/11/24 11:43
수정 아이콘
학원도 알아 보는 중입니다.. 주 3회 프로그램 있더라구요.
당신은누구십니까
20/11/24 11:36
수정 아이콘
출근 시간에 소리는 내지 않고 입으로만 계속 문장 발음 합니다
마스크 덕에 쪽팔리지 않고 연습 가능하더라구요
WhiteBerry
20/11/24 11:43
수정 아이콘
소리내어 말할 컨텐츠는 뭐가 있을까요? 혹시 추천해주실만한게 있으신지요.
당신은누구십니까
20/11/24 12:29
수정 아이콘
유튜브 라이브 아카데미가 원탑 영어교육 컨텐츠인 것 같아요 추천드립니다
20/11/24 12:24
수정 아이콘
최대한 혼자 공부 할 수 있는 만큼 문법 어휘 등을 공부하고 +
뉴스나 영어 라디오 들을 수 있는 많큼 많이 듣고 +
최대한 외국인을 많이 만나서 말 할 기회를 만들어야 할 것 같습니다
전화영어 10분은 단기간에 스피킹 실력을 늘리기에 많이 부족한 것 같습니다
WhiteBerry
20/11/24 19:16
수정 아이콘
조금이나마 꾸준히 해보려고 전화영어는 회사 지원으로 하고 있습니다. 외국인은 많이 만나죠.. 고객으로ㅠ
다크서클팬더
20/11/24 12:31
수정 아이콘
스터디메이트 한명 구해서 프리토킹하는 시간을 가져보시죠. 주제 정해서.
스피킹이 필요한데 공부는 리딩 라이팅 편중인것 같네요.
WhiteBerry
20/11/24 19:17
수정 아이콘
리딩 라이팅 편중에 극히 공감합니다. 직딩에 유부라 메이트 구하기기 쉽지가 않네요.
20/11/24 12:41
수정 아이콘
'전반적인' 실력 향상을 통해 어느 상황에서도 적응 가능한 영어 숙련자가 되는 것은 굉장히 오래 걸리는 일입니다.
다만 '특정' 상황에서 필요한 영어 숙련자가 되는건 꽤나 단기간에 달성 가능합니다. 비지니스 영어를 하신다면, 진짜 본인이 비즈니스를 위해 영어를 많이 쓰는 상황을 스스로 가정하고 시뮬 돌리면서 연습하세요. 1) 회의/컨퍼런스 시뮬레이션 2) 셀프 영어 PT 연습해보기 등등...이와 같은 방식의 훈련이 적절할 거라 생각합니다. 해보면서 내가 몰라서 못쓰는 어법/어휘를 역으로 찾아서 공부하는 방식이 필요합니다. 유학 가면 가장 빠르게 느는 영어가 여행/공항 표현, 식당/쇼핑 표현이죠. 가장 많이 부딪히고 강제되는 상황이니까요.

기초/근본부터 해야겠다고 영문법 책, 단어장만 잡고 있으면 영어 시험 서적은 오르지만 스피킹은 절대 안늡니다...그건 내가 모르는 걸 찾아보기 + 보충 공부를 위한 수단이지 스피킹 느는 건 다른 차원의 이야기에요.
WhiteBerry
20/11/24 19:19
수정 아이콘
이미지 트레이닝으로 했던걸 소리내서 해봐야겠군요. 바쁜 와중에 어찌됐든 영어를 조금이나마 붙들려고 전화영어, 문법 공부 하는거 같습니다.

요즘엔 왜 어학연수 가는지 이유를 알것 같아요
20/11/24 12:55
수정 아이콘
스피킹은 2-3개월에는 어려워요....
긴 하루의 끝에서
20/11/24 13:34
수정 아이콘
(수정됨) 작문이 어느 정도 된다는 전제(쉬운 단어와 표현들로 구성된 단순한 형식의 문장일지라도 본인이 표현하고자 하는 바를 적절한 단어와 표현을 사용하여 문법에 알맞게 큰 어려움 없이 문장으로 만들 수 있다는 의미) 하에서는 말하기가 잘 안 된다는 건 단지 연습 부족으로 인해 익숙하지 않아서인 측면이 큽니다. 따라서 이때에는 말하기에서 요구되는 문장 완성 속도를 최대한 맞추려 노력하며 이리저리 문장들을 만들어 보는 연습을 하는 게 가장 좋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지금 하고 계신 전화영어 회당 10분씩 주 2회의 연습량으로는 너무나 많이 부족하고 틈틈이 계속해서 연습할 기회를 만들어나가야만 합니다. 정말 말하듯 소리를 내어 연습하는 것이 가장 좋지만 그러기 쉽지 않다면 입은 움직이되 소리는 내지 않는다든가 아니면 최소한 속으로 말하는 방식으로라도 연습을 최대한 해보세요. 예를 들어 출퇴근 시간의 경우에도 주위를 묘사한다든지 다양한 주제를 놓고 혼자서 생각을 정리한다든지 하는 식으로 활용할 수 있겠죠.

그리고 말하기에는 직접적인 말하기 연습이 가장 중요하지만 듣기도 간접적으로 도움이 상당히 많이 됩니다. 의식적으로 떠올려야 했던 단어, 표현, 문장들이 무의식적으로 자연스레 떠오르는 데에는 반복 연습 외적으로 듣기가 아주 큰 역할을 합니다. 말하는 속도도 듣기에서 접하던 속도에 맞춰 자연스레 빨라지죠. 듣기 실력도 부족하다고 하셨으니 필히 같이 연습하시면 되겠네요. 다만, 듣기는 공부하시다 보면 개인 차는 있겠지만 대체적으로 실력 향상이 체감이 잘 안 되거나 더딤을 느끼실 텐데 듣기는 최대한 많이, 집중해서 듣는 것 이외에는 뾰족한 수가 없습니다. 잘 안 들리는 부분은 반복해서 듣고, 그럼에도 잘 모르겠으면 영어 자막이나 지문을 통해 어떠한 단어 또는 구문인지를 확인한 다음 그것이 어떻게 소리되는지를 확실히 숙지하는 방식이 무작정 많이 듣는 것보다는 그나마 더 효율적입니다. 추가적으로 잘 안 들리던 부분은 본인이 직접 말로 따라해 보는 것도 좋고요.

마지막으로 가능한 속성으로 학습할 필요가 있다고 하신다면 본인이 당장 영어를 사용하는 구체적인 환경(분야나 업무)에 맞춰 학습하시길 추천드립니다. 읽기 자료든 듣기 자료든 영상 자료든 그와 직접적으로 연관이 되어 있는 자료들을 학습 도구로 삼는 겁니다. 단어나 표현도 별도의 단어집을 이용하는 게 아니라 그 자료들로부터 직접적으로 학습하는 거고요. 말하기 연습할 때도 본인이 영어를 실제 사용하는 환경을 상정하여 해나가시면 됩니다. 토론하는 상황도 상상해 보고, 발표를 하는 상황도 상상해 보고 하는 거죠. 기초적이고 보편적인 비지니스 상황을 대상으로는 토익 시리즈도 학습 도구로서 괜찮습니다.

혹여 전제 사항인 작문 능력이 애초에 부족한 상태라면 쓰기 연습부터 하시는 게 좋습니다. 각각의 것을 어떠한 단어와 표현를 사용하여 어떻게 문장으로 만드는 것이 문법에도 맞고 의미적으로도 적절히 통하는지를 계속해서 연습하는 것이죠. 말하기에 비해 쓰기는 문장 완성에 요구되는 속도가 느린데 쓰기부터 시작하여 최종적으로 말하기에 이르기까지 문장 완성이 점차 익숙해짐에 따라 그 속도를 높여나가는 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다만 앞서 언급한 말하기 연습이 별도로 수행되지 않는다면 쓰기 연습을 아무리 한들 말하기에 알맞는 속도로 발전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는 거고요.

참고로 쓰기에는 정답이라는 게 없습니다. 그래서 본인이 만든 문장이 올바르고 적절한지를 판단하고 수정해줄 수 있는 사람이 있는 게 중요한데 현실적으로 그러기가 쉽지 않죠. 이럴 때는 국문 기사와 영문 기사가 동일하게 있는 기사라든지 한글 자막과 영문 자막이 동시에 있는 영상 등을 활용하면 좋습니다. 국문 기사나 한글 자막을 보고 영어로 번역을 해본 뒤 영문 기사나 영문 자막를 일종의 모범 답안 삼아 비교해 보는 것이죠. 영상이야 워낙 자료가 넘치니 굳이 언급할 필요 없을 것 같고, 기사는 한국 신문사에서 출판하는 영어 신문을 참고하여 국문 신문 내의 기사와 동일하거나 비슷한 제목의 영문 기사가 있는지를 찾아 보시면 됩니다.

문법 공부는 쓰기의 경우 읽기와 달리 기본적인 문장 성분과 구조 파악 이외에 세부적인 문법 사항에 대한 확실한 숙지까지 필요로 합니다. 이에 대한 준비가 충분히 되어 있지 않다면 문법책 각 단원별로 나와있는 문장 만들기를 통해 쓰기 공부를 시작해야만 합니다. 물론, 이때에도 스스로 이것저것 문장으로 만들어보는 연습은 설령 문법이 틀린 문장들이라 하더라도 개의치 않고 지속적으로 해나가야만 하고요. 문장을 만들 때 계속해서 문법 사항들을 신경써야만 하는 만큼 그런 연습은 역으로 문법 공부에도 도움이 됩니다.


첨부: 예전에는 대학가나 번화가, 외국인 밀집 지역 등을 중심으로 언어 교환 카페나 스터디 등이 많이 활성화 되어 있었는데 요즘에는 코로나 때문에 어떠한지 모르겠네요. 활동 내용이라고 하면 특정 주제를 중심으로 영어로 대화 또는 토론하는 시간을 갖는 게 기본에 그 외적으로는 같이 어울리고 놀며 문화를 교류하는 것입니다. 외국인을 쉽게 만나거나 외국인 친구를 쉽게 사귈 수 있는 환경이 아니라면 외국어 사용 환경을 조성하기에는 이게 가장 나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무엇보다도 무료이기도 하고요. 주로 20대가 중심이 되는 활동이긴 한데 30대 이상의 직장인들이 없는 것도 아니고 사실 나이는 크게 중요하지 않습니다. 다만, 영어권 국가 출신 외국인들만 활동하는 모임도 아니고 한국인들 간에는 실력 격차가 꽤 있으며 한국인들 대부분은 실력들이 그리 좋지는 않기 때문에 내부적으로는 나름의 실력별 편성을 한다고 하더라도 본인의 실력이 일정 이상이라면 꾸준히 영어를 사용하는 환경을 만든다는 것 이외에는 큰 의미가 없을 수는 있습니다.
20/11/24 13:40
수정 아이콘
글 작성자는 아니지만 큰 도움 얻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WhiteBerry
20/11/24 19:20
수정 아이콘
너무나 자세하게 써주셔서 뭐라 답글을 달아야 할지...

우선 제 입장을 잘 알아주시고 친절한 답변 남겨주셔서 너무 감사 드립니다. 퇴근길 지하철이지만 집에가서 다시 한번 읽어보고 실력 향상에 노력하겠습니다.
껀후이
20/11/24 13:39
수정 아이콘
비즈니스 영어는 토익 리스닝 대본만한게 없습니다
보통 시험 보려고 문제 풀기 바쁜데 대본상황이 비즈니스 상황도 꽤 많아서 대본 잘 외워두면 쓸 일이 많습니다
방법은 문제 푸는건 선택이고 대본 보면서 모르는 단어 뜻 찾고 mp3 들으면서 발음 따라 읽고 문장 외우면 됩니다
한 번 믿고 해보세요!
WhiteBerry
20/11/24 19:21
수정 아이콘
예전에 받아놓은게 어디 있을텐데... 저도 토익 공부 당시 비지니스 영어가 많다는 생각을 많이 했는데 그 느낌이군요. 조언 참고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멍멍머멈엉멍
20/11/24 13:52
수정 아이콘
(수정됨) 리스닝이 같이 있다보니 바로 유창해지긴 좀 어려울것같고 저도 토익 리스닝 대본이랑 mp3 구하셔서 계속 줄창들어보시길 추천드려요. 1배속 이하부터 나중에 2배속 이상까지요~ 업무하는쪽 발음도 유의하시는게 도움되실듯합니다.

패턴 익혀서 어차피 활용하는거구 모르는것들은 그때마다 업데이트하시구요

그리고 대화의 반이 질문 (본인, 상대방) 이고, 작문 리딩은 잘하신다고 하시니 일반 평서문을 바로 의문문으로 바꾸시는 연습을 말로 계속해보시면 도움이 되실겁니다.
WhiteBerry
20/11/24 19:23
수정 아이콘
나이먹고 영어 한다니깐 꼴 사납긴 하더라구요ㅠ 어쨌든 영어 실력 향상이 필요하니 진득하니 계속 뭐라도 해보려고 하고 있습니다. 조언 참고해서 적용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0523 [질문] 직장인 신용대출 후 퇴사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2] 삭제됨10016 20/11/26 10016
150522 [질문] 안경알(렌즈) 선택할때 참고해야 할 점이 있을까요? [5] 안철수6004 20/11/25 6004
150521 [질문] 롤 질문) 냉정하게 한화가 데프트 영입이 좋은 한수 인가요? [44] 한양수자인7470 20/11/25 7470
150520 [질문] [노트북] CPU 펜티엄골드면 많이 느리나요? [12] Energy Poor6781 20/11/25 6781
150519 [삭제예정] 어머님 건강검진 항목 관련 질문입니다. [1] 삭제됨5738 20/11/25 5738
150518 [질문] 중국차를 선물받았는데 뭔지 몰라서 질문 드려요. [9] 신촌로빈훗5739 20/11/25 5739
150517 [질문] 현명한 나무젓가락 처리 방법? [13] 치카치카5900 20/11/25 5900
150516 [질문] 무맛 보충제 맛있게 먹는법 [8] 기나6207 20/11/25 6207
150515 [질문] 신규 입주 아파트 사전점검 업체이용 해보신 분 있을까요? [4] 피쟐러6459 20/11/25 6459
150514 [질문] 5평 원룸 입주청소하는거 오바인가요? [23] ryush32112268 20/11/25 12268
150513 [질문] 집주인의 보수공사를 세입자가 거절할 수 있나요? [4] 모찌피치모찌피치6781 20/11/25 6781
150512 [질문] 3대 운동 + 스트레칭 vs 달리기 .. 건강에 좋은 운동은.. [13] 마르키아르6042 20/11/25 6042
150510 [질문] 12월이 되면 플래시게임은 아예 못하는건가요? [3] 스물다섯대째뺨5122 20/11/25 5122
150509 [질문] 대전 VR 렌즈 잘하는 안경점 있을까요? [3] 지금이시간6403 20/11/25 6403
150508 [질문] 제주도여행 숙소 추천부탁드립니다. [6] kogang20015467 20/11/25 5467
150506 [질문] 사펑2077 플렛폼 질문입니다. [6] 굿샷6126 20/11/25 6126
150504 [질문] 5600x + 3070 컴터 견적 좀 봐주세요 [14] 김곤잘레스7007 20/11/25 7007
150503 [질문] 층간소음 측간소음(?) 질문 입니다. [6] 농심신라면6367 20/11/25 6367
150502 [질문] 콘퓨어 오울아이 대체할만한 마우스 있을까요? [6] 고요6858 20/11/25 6858
150501 [삭제예정] 부모님이 20년넘게 장사하시면서 장부를 한 번도 작성 안했다고 합니다. [22] 훈타7601 20/11/25 7601
150500 [질문] LCK 2군 시스템에 대해 잘 아시는분 계신가요? 돌아온탕아5341 20/11/25 5341
150499 [질문] cpu를 바꿨더니 부팅이 안됩니다.. [7] 커비6839 20/11/25 6839
150498 [질문] [가상화폐] 구조대가 오면 사람들이 팔까요? [20] AKbizs6219 20/11/25 621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