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11/20 08:05:10
Name Alynna
Subject [질문] 최근 경제 유투브를 감상하고 몇 가지 궁금증이 생겨서 질문합니다

슈카 나오는 유투브를 제외하고는 친정부 쪽 스피커가 나오는 유투브들은 많이 시청했습니다.

첫 번째 질문인데 요즘 소위 유동성이 넘친다는 얘기를 여기 저기서 듣는데, 저금리라 은행에서 돈을 많이 빌려서 그런 것 같은데 몇 년내로 미국발로 금리가 올라 갈 것 이라는 예상들은 많이 하더라고요. 금리 관련 그래프를 보니까 현재의 저금리는 최근 20년 내로는 대적할 상대가 없을 정도로 낮던데 이런 저금리 빚이라면 당연히 고정 금리를 선택했을텐데 차후에 고금리가 된 들 딱히 문제가 없을 것 같은데 왜 우려하는 걸까요?

두 번째 질문은 유투브 시청들 하면서 보니까 자산의 가치가 미친듯이 상승하는게 꼭 일본의 버블 터지기 직전 같다고 예측하는 유투브들과 경제 기사들로 미루어 보았을 때 빠르면 5년에서 10년 내로 터질 것 같은데 일본 버블 터진 후에 가장 이득 본 계층은 어떤 계층인지 궁금합니다. 예를 들어 현금을 많이 쥔 계층이 상대적으로 유리했다든가 하는

세 번째 질문은 현재 집값 상승에 대한 개인적인 의문입니다. 미국에 산지 조금 오래되어서 그런지 몰라도 현재 서울이나 여타 한국의 부동산 가격을 보니 폭등 했는데 이 가격이네 정도의 생각 밖에 들지 않는데 그 간 집값이 상승하지 않은 이유가 뭔가요?

마지막으로 미국 부동산, 미국 주식, 삼성 전자 중 하나를 선택해서 투자한다면 1,2 옵션은 어떤 것이 될런지 궁금합니다.

질문 자체에 잘못된 내용이 있을 수도 있는데 적절한 지적과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나스이즈라잌
20/11/20 08:26
수정 아이콘
저도 잘 모르는 사람중 한명이지만 의견을 달아보자면.. 첫번째에대한 의견은 현재 엄청난 유동성으로 주식시장이 펌핑되었는데 금리상승으로 인한 추가유동성 공급이 멈추면 추가 유입이 없으니 더 성장에대한 기대가 없을것이고 고점이니까 매도하기시작하고 주가하락이온다 아닐까요
20/11/20 10:00
수정 아이콘
아파트 담보대출 가계 부채에 한정해서는 그렇습니다. 신용대출이나 마통 등은 30년 고정금리대출이라는게 없죠.
기업부채도 그렇습니다. 경제라는게 톱니바퀴처럼 굴러가는 것이기때문에 금리가 올라가면 당연히 부채를 줄일려고
여기저기서 노력을 할 것이고 이자도 못갚는 가계나 기업도 나올 것이고 여러 파열음이 생길 수 밖에 없죠.

일본과 같은 상황은 생기기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생각하는 부동산 급상승 이유는 1.공급 감소 2.정책남발로 인한 시장 왜곡 이라고 생각합니다.

투자옵션은 투자금액과 어떤 종류의 돈이냐 투자기간에 따라 달라지지 않을까요?
20/11/21 06:58
수정 아이콘
의견 감사합니다. 잘 읽었습니다.
무지니닷
20/11/20 10:05
수정 아이콘
개인적인 생각을 대충 적어보자면
1. 현재 신규 대출 실행시 고정금리/변동금리 선택에서 변동금리의 비율이 더 높아지고 있습니다. 저금리니깐 지금 고정금리로 해놓겠다고 생각 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변동금리 2%, 고정금리 2.5%로 대출이 가능하다면 과연 어떤 것을 선택할까요? 대부분 고민되는 데라고 생각을 할 것입니다.
또한 일본 사례를 봤을 때 향후 고도 성장이 힘든 상황이 될 것이라고 판단하면 장기적으로 저금리 기조가 유지될 것으로 보여서 금리를 인상해도 크게 올리지 못할 것이라는 판단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저도 이쪽에 동의하는 편입니다)

2. 말씀하신것 처럼현금입니다. 단 현금을 가진 사람이 이득을 봤다기 보다는 자산가치의 하락보다 덜 손해를 보았다고 합니다. 일본 버블 붕괴로 인해서 일본 전반의 경제 타격으로 엔화의 위상이나 가치가 떨어져서 전체적으로는 다 손해를 보았다고 보시는 게 맞습니다. 그리고 진정한 부자들은 버블 붕괴상황에서 쏟아져 나오는 매물을 저렴하게 주워담았다고 하던데 그런 사람들이 이득을 본 계층이 아닐까 하네요. 개인적으로 일본 부동산 버블같은 상황은 일어나기 힘들지 않을까 합니다. 한국은 LTV가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습니다. 평균 60%대로 알고 있는데요. 일본 버블때 LTV는 당시 200%까지 가능했다고 알고 있습니다.

3. 2007년 부동산이 역대급 찍고 하락반전, 경제 위기(2008~2009년)에 대한 불안감으로 부동산 투자에 대한 회피. 뉴타운 열풍으로 미친듯한 신규 공급, 신도시 건설 등이 원인였다고 생각합니다.

4. 이건 개취라 딱히 드릴말씀이....
20/11/21 06:56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드립니다. 댓글 보고 여러 가지 추가 의문점이 생겨서 답글 다는데 조금 헤맸네요.
20/11/20 19:25
수정 아이콘
시간이 없어 1번에 대한 답만 드리면 현재 저금리라서 고정금리로 했다고 해서 차후에 고금리가 되더라도 영향이 없는게 전혀 아닙니다.
개인의 경우 신용대출은 1년 만기이기 때문에 1년 후에 금리가 오르면 당연히 금리가 올라가구요.
부동산 대출도 대부분 3~5년 정도만 고정이고(기금 제외) 그 이후는 변동으로 금리 상승에 영향을 미칩니다.
개인도 이정도인데 기업 같은 경우도 운전자금이 매년 만기가 돌아오죠. 금리가 오를 수록 매년 가용 자금에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습니다.
20/11/21 07:00
수정 아이콘
부동산 대출만 한 번 받아봐서 금리 선택에 이렇게 다양한 옵션이 있는지 미처 몰랐네요 고맙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81914 [질문] 은가누 vs 정찬성+최두호 [44] Pure Aero 985050 25/10/15 5050
181913 [질문] 자동차 구매 추천 부탁드립니다. [19] LeNTE4356 25/10/15 4356
181912 [질문] 헬로비전 인터넷은 어떤가요? [7] 탄야3539 25/10/15 3539
181911 [질문] 확률형 아이템이 최대한 배제된 로그라이크 게임 있을까요? [5] 라온하제3848 25/10/15 3848
181910 [질문] 배틀넷 런처 로그인 풀림 질문 [4] Love.of.Tears.3699 25/10/14 3699
181909 [질문] 컴퓨터용 의자 추천 부탁드립니다. [9] 보로미어3750 25/10/14 3750
181908 [질문] 회차반복을 싫어하는 사람이 활협전을 해도 될까요? [9] 카오루3876 25/10/14 3876
181907 [질문] 주식차트 질문 드립니다. 하율아범4870 25/10/14 4870
181906 [질문] PC에서 사용가능한 간단한 채팅 프로그램이나 웹사이트 추천부탁드립니다. [12] 꿀멀티3369 25/10/14 3369
181905 [질문] 첫 풀 마라톤 나갑니다.. 조언 있나요...!? [7] Alfine2413 25/10/14 2413
181904 [질문] 윈도우11 업데이트 질문입니다 [2] 아이브_안유진1921 25/10/14 1921
181903 [질문] 전기오븐 사용시 배전반 차단기 문의 [8] 초식성육식동물 1962 25/10/14 1962
181902 [질문] 에어팟프로2 보청기로서 성능 [8] 어센틱2214 25/10/14 2214
181901 [질문] 맥쿼리인프라와 KB발해인프라 중 추천 부탁드립니다 [11] 세아이아빠2484 25/10/14 2484
181900 [질문] 노트북 cpu, 그래픽카드 관련질문이 있습니다. [2] 개념은?1756 25/10/14 1756
181899 [질문] 코인 자동매매 프로그램? [4] 속보1968 25/10/14 1968
181898 [질문] 인생맛집, 인생메뉴 추천해주세요! [24] 히나3130 25/10/14 3130
181897 [질문] AI 어디다 쓰시나요? [10] 깃털달린뱀2569 25/10/13 2569
181896 [질문] 중세시대 배경 만화책 찾습니다. [5] 이쥴레이3051 25/10/13 3051
181895 [질문] 사무용 노트북 구매 추천 부탁드립니다. [9] stayclever2729 25/10/13 2729
181894 [질문] 현금을 주면서 세탁된 돈이라는 게 말이 되나요? [17] Aquaris4582 25/10/13 4582
181893 [질문] 제주도 포도호텔 다녀오신 분 어떠신가요? [4] 콩순이2568 25/10/13 2568
181892 [질문] 다 청산됬다고 하는데 뒤늦게 코인선물에 관심이 생겼어요 ㅠㅠ [23] 개가좋아요3105 25/10/13 310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