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11/14 17:43:09
Name 흥선대원군
Subject [질문] 한국인의 평균 지능지수는 계속 높아질까요?
얼마전에 본 뇌과학 책을 읽고 질문드려요. 일반적으로 인류 전체의 지능지수는 꾸준히 높아졌다고 해요. 특히나 영양상태의 개선, 질병의 극복이 평균지능의 상승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하구요.

헌데 저자는 미국에서 고지능자가 자식을 덜 낳고, 저지능자가 자식을 많이 가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고, 따라서 다음 세대는 근대 이후 처음으로 부모 세대보다 평균지능이 하락한 세대가 될 수 있다고 우려하더라구요.

그런데 우리나라도 미국과 같은 추세를 보일까요? 지능별 출산율은 모르겠지만 소득별로 살펴보면 우리나란 고소득층이 오히려 출산율이 높아요. 일반적으로 고소득층이 저소득층보다 평균지능이 높다는 걸 생각하면 우리나란 미국의 경우완 정반대이지 않나 해요.

어떻게 생각하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醉翁之意不在酒
20/11/14 18:22
수정 아이콘
책 제목이 뭔가요?
흥선대원군
20/11/14 18:24
수정 아이콘
"지능의 사생활"입니다!
醉翁之意不在酒
20/11/14 18:37
수정 아이콘
함 읽어봐야겠네요. 고맙습니다
술라 펠릭스
20/11/14 18:37
수정 아이콘
지능도 어느정도 학습되지 않나요?

그리고 궁금한게 원래 IQ 자체는 평균중에 자기가 속한 값인데 실재로 높아지는 거 말고 수치상으로 어떻게 높아졌다고 증명할 수 있는 걸까요?
20/11/14 18:43
수정 아이콘
네 한글이 오피라서 최소한 떨어지진 않을거라 봅니다.
투더문
20/11/14 18:56
수정 아이콘
TED 강연에서도 본 내용입니다만.. 교육 환경이 점점 좋아져서 어릴 때 좋은 교육으로 인한 IQ 상승이 상당한가 보더군요.
한국한정 유전자풀이 그대로일지라도 최소한 현재 태어나는 세대까지는 지능지수가 점차 높아질것 같구요.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몇세대는 더 계속될거 같네요. 환경적인 측면을 제외하고, 유전적으로도 IQ는 크게 모르겠습니다만 키라든가 매력도는 확실히 상승할듯? 미국이랑은 경향이 다르지 않을까 싶네요.
HA클러스터
20/11/14 19:22
수정 아이콘
우리나라 사람들 평균키는 영양상태가 좋아짐에 따라 과거에 비해 점점 커져왔습니다만 2000년 이후부터는 그 성장세가 거의 멈추었습니다. 과거에는 잠재력에 비해 영양이 부족해서 키가 작았지만 지금은 거의 한계치에 도달했다고 봐야겠죠.
IQ도 과거의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했던, 혹은 부적절한 교육을 받았던 세대가 점점 퇴진하고 현대의 양질의 교육을 거의 전국민이 받게 되면서 향상은 되겠지만 이것도 언젠가 한계치에 도달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회색사과
20/11/14 20:05
수정 아이콘
요새 조혼 (이래봐야 20대 중반) 다산 (이래봐야 둘셋) 은 부의 상징이라....

애도 낳을 만한 사람들이 낳고 있어서...
당분간은 더 오르지 않을까요??
조휴일
20/11/15 04:34
수정 아이콘
이디오 크러쉬란 영화가 생각나네요

참 어리석은 일반화일진 모르겠지만

제 주변에도 대기업+고학력 친구들이 기반이 없으면 결혼을 기피하거나 혹은 아이를 안가지는 반면

비정규+저학력 친구들이 결혼을 빨리하고 아이를 낳는경우가 꽤나 많아서..

쨎든 재밌는 얘기네요.. 인간지능은 시간의 흐름에따라 우상향할거라 생각합니다 일정치 이상은 못가겠지만..
Tyler Durden
20/11/15 09:58
수정 아이콘
???! 고소득자가 애를 많이 낳는다 한들
그 숫자 자체가 적지 않습니까?
또 오히려 요즘 세대들은 책을 안 읽습니다.
저만해도 책 읽던 시절이 더 똑똑했을 거 같다고 생각하는데, 인터넷은 잡지식만 늘어나고... 크크
뭐 고려해야 될 환경 변화가 많습니다..
아이수가 적어지면서 선생 한명당 담당해야 할 아이수가 적어지면서 좀 더 교육이 잘 될수도 있고 등등
미래는 AI발달로 많은 산업분야가 대체될수 있기에 공부의 필요성이 반대로 낮아질수도 있죠..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51233 [질문] 미국에있는 지인에게 선물을 해야합니다. [4] 라디오스타6277 20/12/17 6277
151232 [질문] 첫 한국사 전집 추천 부탁드려요 (6~7세용) [2] 발업질럿의인6628 20/12/17 6628
151231 [질문] 컴퓨터 견적 좀 봐주세요! [9] Everlas6350 20/12/17 6350
151230 [삭제예정] 와이프 속옷세트 크리스마스 선물질문 [5] 삭제됨6050 20/12/17 6050
151229 [질문] 택시에서 물품을 절도 당하였습니다. [15] lifewillchange6586 20/12/17 6586
151228 [질문] 최저임금 관련 문의 [15] 호떡집6218 20/12/17 6218
151227 [질문] 카톡에서 웹링크를 누를때 내폰의 브라우저로 열수가있나요? [5] 리나장6858 20/12/17 6858
151226 [질문] 보푸라리 제거기 추천 부탁드립니다 [5] 명경지수5827 20/12/17 5827
151224 [질문] 컴퓨터 견적 질문드립니다. [3] Phwary5653 20/12/17 5653
151223 [질문] 신중한 성격을 가진 여성분과의 소개팅 성공 방법이 궁금합니다. [45] 새강이15382 20/12/17 15382
151222 [질문] 갤럭시핏2 vs 미밴드5 [4] 호아킨6847 20/12/17 6847
151221 [질문] 쿠팡이츠 차량으로 하시는분 계신가요 [8] allin138653 20/12/17 8653
151220 [질문] 월급루팡... 팁 공유 가능할까요... [24] Lelouch7897 20/12/17 7897
151219 [질문] 깜빡이 안켜고 차선 변경 하는 분들은 다른사람이 그래도 상관 없어하나요? [20] 오렌지망고6827 20/12/17 6827
151218 [질문] 마우스 감도 질문입니다 (감도에 민감하다고 자신하는 분들만) [5] 삭제됨7607 20/12/17 7607
151217 [질문] 아아 인터넷이 이상해요...살려주세요... [10] 앗잇엣훙6087 20/12/17 6087
151215 [질문] 자동차 후면 썬팅 재시공 질문입니다. [2] 나무늘보6558 20/12/17 6558
151214 [질문] 제 컴퓨터 폴더에 이상한게 생겼습니다 [9] 틀림과 다름7410 20/12/16 7410
151213 [질문] 롤링 스쿼트 머신이란거 괜찮은가요? [4] 메디락스7791 20/12/16 7791
151212 [삭제예정] 소비자보호원에서 이런내용도 접수하나요? [1] 삭제됨5943 20/12/16 5943
151211 [질문] 세종정부청사 출퇴근 가능 지역은 어디까지일까요? [33] 개망이8966 20/12/16 8966
151210 [질문] 컴퓨터 견적 질문합니다. [21] 보아남편10628 20/12/16 10628
151209 [질문] 이 의자는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요? [5] F.Nietzsche6447 20/12/16 644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