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10/30 11:38:22
Name 호아킨
Subject [질문] 결혼 얘기가 슬 나오는데 대출 관련 궁금증
저랑 여친이 슬슬 결혼 얘기를 하고 있는데요.

저는 연봉이 세전 5천정도 되고 내년 되면 아마 5,700? 암튼 더 오를거 같긴하지만.

여자친구는 간호사인데 연봉은 못들었지만 저랑 비슷한 수준인거 같아요.

결혼한다고 하면 제일 중요한게 집이라고 생각하는데 서로 이 수준에서 대출이 어느정도 되는지 궁금하네요.

어떤식으로 대출 받고 그런 좋은 방법이 있을까요?

ps 저는 투자한게 좀 망하고 그래서 5천정도 현재 모아놨고 집에서는 말로는 1억정도 지원해준다고 했어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10/30 11:45
수정 아이콘
사고자 하는 집의 규제 상태를 봐야합니다.
20/10/30 11:46
수정 아이콘
매매인지 전세인지 모르겠는데 전세라고 가정하고
서울시 신혼부부 전세지원이 부부합산 전년도 연봉 9700만원 이하고 이 기준 충족시 1%대로 5억이하 최대 2억 받을수 있습니다. 저는 연봉 기준이 안되서 은행으로 갔는데 은행은 2%중반대에서 같은조건으로 대출가능합니다.

신용대출을 받으실거면 전세대출금 나오고나서 받으셔야합니다. 신용대출 받고 전세대출받으면 금액이 줄어서 나오는 경우가 있어서.... 은행가서 일단 상담한번 받아보시기를 추천드랴요
맥크리발냄새크리
20/10/30 12:08
수정 아이콘
지역이 어디세요?
호아킨
20/10/30 12:55
수정 아이콘
서울 서부 서남부입니다 !
20/10/30 14:01
수정 아이콘
https://redtea.kr/pb/pb.php?id=free&no=11079

현재 소득은 영끌신용 땡길때 주로 필요하지 중요한건 사고자 하는 지역과 현재 보유 자산입니다.
벨로티
20/10/30 14:54
수정 아이콘
매매인지 전세인지에 따라서도 다르고, 지역따라서도 달라서 얼마라고 딱 말씀 못드려요.

대출규제가 없다고 생각하시고 얼마까지 대출받아도 감당이 가능한지를 계산해 보는게 순서입니다. 그 금액으로 집을 한번 보시고, 대출규제를 적용해 보는 것이죠. 운좋게 대출규제 안쪽이다 싶으면 그렇게 Go하시면 됩니다. 근데 '이 이곳은 규제 때문에 안되는구나' 싶으면 이래저래 바꿔보는 겁니다. 집의 가격을 내려 본다든가, 지역을 바꿔 본다든가, 매매가 아니라 전세를 구한다든가 하는 식으로 말이죠.

그리고 집을 매매해서 장기대출이라면 아기가 생겨서 한명이 일의 공백이 생기는 경우를 꼭 고려하셔야 합니다. 특히나 대학병원 간호사의 경우 출산 이후 시프트가 없는 개인병원으로 옮기는 경우가 잦고, 이럴 때 급여가 크게 하락하거든요. 이런것까지 꼭 생각하셔야 탈 없이 대출할 수 있습니다.
20/10/30 15:44
수정 아이콘
서울이면 투기과열지역
일반적으로 매수한다고 가정하면
(9억이하집이라고 가정할게요)

1. 실거주가정
집값의 40%가 주택담보대출로 나옵니다.

6억 집값이면(이가격대도 없겠지만;;)
2.4억 주택담보대출이 나오고

나머지
3.6억은 현금 또는 가족도움 또는 회사지원대출 같은거나 등등으로 마련하면 됩니다.

2. 전세는
일반적으로 전세대출 80%까지 나옵니다.


일반적인 대출은 위와같고
특이조건으로

보금자리론이나
신혼부부특별대출상품같은거는 알아보시면 되겠습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9939 [질문] 파티룸 고를 때 고려할 점 있나요? [1] 삭제됨6151 20/11/04 6151
149938 [질문] 중앙값과 표준편차 질문입니다 [11] 삭제됨5957 20/11/04 5957
149937 [질문] 광고가 기억이 안나요 [2] kot6852 20/11/04 6852
149936 [질문] 유튜브 vr 음방 개쩌는거 추천 부탁드립니다. [1] Darkmental6188 20/11/04 6188
149935 [질문] 엑셀 수식 질문이 있습니다. [11] 퐁듀6243 20/11/04 6243
149934 [질문] 롤 세번째 계정 만들려고 하는데, 메일인증이 안오네요. [1] 파란무테5685 20/11/04 5685
149933 [질문] 석사 졸업을 포기해야 할까요 [19] 썰렁마왕6819 20/11/04 6819
149932 [질문] 이정도 긁혔는데 얼마나올까요? [14] DAUM6671 20/11/04 6671
149931 [질문] 포항에서 1박 묵을 만한 깨끗하고 괜찮은 호텔 추천해주세요. [2] im98n5399 20/11/04 5399
149929 [질문] 트위치 클립 올리는법 질문 드립니다 파쿠만사6017 20/11/04 6017
149928 [질문] 엑셀 고수분들 문의 드립니다. [4] 연애잘합니다4647 20/11/04 4647
149927 [질문] 발목골절 수술 2주후 통깁스 퇴원 통깁스 기간 6주였는데요. [9] 희원토끼6415 20/11/04 6415
149926 [질문] 부산에 하이엔드 음식점이 있을까요 [8] RyuDo8092 20/11/04 8092
149925 [질문] 개인PT를 받으려고하는데, 트레이너 잘 고르는(?)팁이 있을까요? [12] AKbizs6581 20/11/04 6581
149924 [질문] 통계 질문입니다. norrell5197 20/11/04 5197
149923 [질문] 가정이지만, 미국 대선 불복 시나리오는 어떻게 예상되나요? [6] SaiNT8094 20/11/04 8094
149922 [질문] 한자와 나오키를 리메이크한다면 누가 어울릴까요? [15] 똥꾼5158 20/11/04 5158
149921 [질문] 두가족이 놀러가서 함께 숙박할만한 리조트 추천부탁드립니다. [6] 목캔디5807 20/11/04 5807
149920 [질문] 일본문화 90년대에 대한 향수? [7] MakeItCount5644 20/11/04 5644
149919 [질문] 성균관대 근처에 조용하게 식사할 수 있는 레스토랑 혹은 장소 추천 부탁드립니다. [7] 삭제됨5261 20/11/04 5261
149918 [질문] 동해 맛집 추천 부탁드립니다 sun24776 20/11/04 4776
149917 [질문] 컴퓨터 하드디스크 교체? 질문드립니다! [2] 사슴벌레집단5606 20/11/04 5606
149916 [질문] 직장동료 축의금 질문 [37] 몽블랑집안8591 20/11/04 859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