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10/04 15:45:41
Name 달달한고양이
Subject [질문] 희귀질환 의료비 지원 등에 대한 정보를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친지분이 장림프관확장증 진단을 받으셨습니다(제가 직접 뵙고 온 게 아니고 엄마에게 전해들었는데 대략 이 병명 같습니다).

외국에서 오래 생활하셨던 터라 개인적으로 보험에 가입하신 건 없고
검색해 보니 희귀질환으로 지정되어 있어 산정특례..? 에 따라 지원을 받아 본인부담금이 많이 줄어들 수 있는 듯 합니다.

이런 일이 처음이라; 지원받으려면 어떤 절차를 밟아야 하는지 어디서 정보를 얻으면 되는지도 무지하네요.

보건복지부에서 이것저것 검색 중인데 좀 큰 2-3차 병원에 가면 알아서 연계가 되는 건지,
아니면 지정 병원에 가서 신청을 해야 하는 건지 혹시 아시는 분 계실까요?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고란고란
20/10/04 15:52
수정 아이콘
치료받은/을 병원에 가서 산정특례 신청하시면 됩니다. 해당이 된다면 절차는 병원에서 안내해줄거에요. 희귀병이지만 해당 안 되는 경우도 많아서요..(질병 코드에 따라 산정특례가 되냐 안 되냐가 결정됩니다.)
달달한고양이
20/10/04 15:56
수정 아이콘
내일 병원에 다시 모시고 간다는데 진단 받으시고 병원 쪽에 바로 얘기해야 겠네요 정말 감사합니다! 저도 정확한 병명을 들은 게 아니라서 그게 좀 걱정이네요...ㅠ
고란고란
20/10/04 16:0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산정특례 받겠다고 말을 안 하면 병원에서 먼저 권유하진 않을거에요. 지인이 암진단 받았을 때는 병원에서 먼저 말 안해줬다고 하더라고요. 제가 말해줘서 그쪽도 신청했었어요. 의사한테 진단서나 처방전 받으셨으면 질병코드가 나와 있거든요. 그걸로 https://helpline.nih.go.kr/cdchelp/ph/infNoti/selectAnnFrmDetail.do?menu=G0100&pageIndex=&schNtbdCcd=01&ntbdSno=660&schGubun=tit&schText= 여기 파일 다운 받으셔서 검색해보시면 될 거에요.
지금 생각났는데, 질병 코드가 같아도 저 표에 질환이름이 없으면 산정특례 안되더군요. 뭐, 병원에서 알아서 해주니 상관없긴 하지만요.
달달한고양이
20/10/04 16:19
수정 아이콘
자세한 정보 감사드립니다!
거짓말쟁이
20/10/04 15:53
수정 아이콘
자세히는 모르겠습니다만 저도 가족 때문에 산정특례 신청을 한 적이 있는데 제가 알아보고 한게 아니라 입원시켜놓고 접수처가니 다 해결해주더군요
달달한고양이
20/10/04 15:56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ㅠㅠ 내일 병원에 다시 모시고 간다는데 진단 받으시고 병원 쪽에 바로 얘기해야 겠네요 정말 감사합니다!
몽키매직
20/10/04 19:04
수정 아이콘
담당의사가 진단명 확진 넣으면 자동으로 신청 진행됩니다.
다만 심평원에서 인정하는 산정특례 기준이 있어서 추가 검사 하셔야 될 수도 있고요.
달달한고양이
20/10/04 19:30
수정 아이콘
도움 감사합니다!
카푸치노
20/10/04 21:47
수정 아이콘
희귀질환 등록 기준이 있어서 기준에 맞는 검사를 하고 확진을 받으면 보통 병원에서 알아서 산정특례 신청 이야기 먼저 할꺼에요.
보통 먼저 말해주긴 하는데 질환 종류 및 상태에 따라서 (예를 들면 암도 PET,MRI만 가지고 등록 해주는경우가 있고 생검등으로 조직검사까지 해야 확진이 확실한 경우가 있고. 이건 담당의사선생님이 보고 판단해주실꺼에요) 등록 시기가 차이가 있을 수도 있어요.
달달한고양이
20/10/04 22:13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진단이 제일 중요하네요 ㅠ 에고 부디 기준에 맞았으면 좋겠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80871 [질문] 백일때 부모님 친지들 모시고 갈만한 부산 남구 해운대 식당 좋은곳 있을까요 [4] 옥동이2804 25/06/15 2804
180870 [질문] ios26 시각지능지원을 다운로드 중입니다 [4] 영호충2414 25/06/15 2414
180869 [질문] LPL 스플릿 1,2는 우승으로 안친다는 말이 있는데 진짜에요? [8] 마술의 결백증명2480 25/06/15 2480
180868 [질문] 컴퓨터 전원부가 너무 헐겁습니다 [2] 밥과글2671 25/06/14 2671
180867 [질문] 야구에서 구종의 피안타율의 분모는 무엇인가요? [3] SaiNT2415 25/06/14 2415
180866 [삭제예정] 여친이 귀찮을 때 어떻게 하시나요? [23] 삭제됨4810 25/06/14 4810
180865 [질문] 무과금으로 할만한 모바일 rpg류 게임 추천 부탁드립니다 [16] 55만루홈런5015 25/06/13 5015
180864 [질문] 일반 스피커에 비해 듀얼 센스에 있는 스피커를 사용하면 게임에 있어 이점이 있나요? [3] 카페알파3880 25/06/13 3880
180862 [질문] [해축] 이번 시즌부터 이피엘, 챔스 둘다 보려면 이중 지출 맞나요? [9] WhiteBerry3381 25/06/13 3381
180861 [질문] [축구] 손흥민은 세계 모든 나라에서 국대가 될 수 있을까요? [18] IPhone 17 pro4796 25/06/13 4796
180860 [질문] [KBO] 이 두 팀중에 페넌트레이스 리그 기준으로 누가 더 강팀이었나요? [7] 요하네스버그2657 25/06/13 2657
180859 [질문] 공유기 질문 드립니다. [3] LightBurn1768 25/06/13 1768
180858 [질문] 스위치2 사신분 악세사리 뭐 사셨나요?? [16] 본좌2117 25/06/13 2117
180857 [질문] 이별한 사람을 좋게 기억하기 VS 나쁘게 기억하기 [20] Polkadot3041 25/06/13 3041
180856 [질문] 인터넷 공유기 추천 부탁드립니다. [10] 카리나2392 25/06/13 2392
180855 [질문] 안국역 인근에 6개월 아기랑 갈만한 식당이 있을까요?? [2] 테오도르2713 25/06/12 2713
180854 [질문] 피싱 사이트에 카드 정보를 입력하고 정지했는데 괜찮을까요? [2] 안녕!곤2325 25/06/12 2325
180853 [질문] 지금 거주중인 반전세 집을 매수할까 고민중입니다. [48] 사계4631 25/06/12 4631
180852 [질문] 강남, 서초에서 고기 배달 맛있는곳 찾습니다 [7] Mele2722 25/06/12 2722
180851 [질문] '스위치로 이 게임은 꼭 해봐라!' 질문아닌 질문입니다 [79] drighk4633 25/06/12 4633
180850 [질문] [노안수술] 렌즈 혹은 인공수청체 삽입 수술 고민하고 있습니다. [6] canoppy3105 25/06/12 3105
180849 [질문] 힘줘도 배가 안들어가면 내장지방일까요?? [5] 스핔스핔2826 25/06/12 2826
180848 [삭제예정] 부천시나 고양시에 추천해주실만한 정신과 의원 있으면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1] 4월2524 25/06/11 252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