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9/17 14:05:44
Name 빠나나
Subject [질문] 주식에 대해 궁금한 부분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근래 주식에 관심이 있어 소액으로 용돈벌이만 하는 주린입니다.
주식 괜찮은 종목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는 아니고요;;

차트를 보면 간혹 피뢰침처럼 뾰족한 부분들이 있는데, 누가 왜 이런짓을 하는 걸까요?
저렇게 올리기 위해선 그만큼 산다는 건데, 그러고선 바로 내려오면 무슨 이득이 있다 하는 건가요?

또 호가창을 보면 1주씩 매수하는 분들이 있는데 이건 왜 하는 행동인가요?

너무 기초적인 질문인데 검색해도 이거에 대한 설명은 쉬이 찾을수가 없네요;
답변에 미리 감사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09/17 14:11
수정 아이콘
뾰족한 건 고점 물린 거죠. -_-;
왜 그런 짓을 하냐.. 하면 더 올라갈 거 같았는데 망한 거고..
티어루프
20/09/17 14:36
수정 아이콘
관점에 따라 해석이 다른게 차트판이죠..

1-1 세력의 주가 급등을 위해서는 본인 물량도 일정 부분 모아야 합니다. 피뢰침은 위로 긁어서 물량을 확보한 흔적 일 수도 있습니다. (시간적 여유가 없는경우)
이런 경우 대부분 거래량은 최근보단 많이 터지지만 역대급 수준은 아닙니다.

1-2 세력이 고점 부근에서 물량을 털기위해 단타 개인들한테 떠넘겨야 합니다. 자전으로 거래량 터뜨리면서 위로 올라가고 천천히 자기들 물량 투하 하면 피뢰침이 됩니다.
대부분은 이때 사상최대거래량 준하게 터집니다.

2. 매수1 매도1 이 번갈아가면서 나오는 경우에는
언뜻 보기엔 오늘의 핫한 주식은 얘다 하면서 개인들한테 관심을 받기 위한다 생각합니다.
이때 1 1 1 1 1 사이에서 대량체결량이 매수쪽이 쎄지냐 매도쪽에 쎄지냐에 따라 당일의 단기적인 방향을 예측 하기도 합니다.

제가 생각하는 관점이고 정답은 그들만이 알고 있겠죠..?
다른분들의 의견을 참고하셔서 빠나나님 만의 생각을 정리하시면 될 것 같아요
OnlyJustForYou
20/09/17 15:03
수정 아이콘
1번의 경우는 너무 다양해서 위에 티어루프님이 말씀하신 누가 시장가로 단번에 긁은 것일 수도 있고요.
뉴스가 나고 누군가 턴 흔적일 수도 있고요.
봉 모양도 중요하지만 그것보다 거래량을 보세요.

1111 이건 개미 꼬시려고 하는 거라고 볼 수도 있고 의미 없는 장난 일 수도 있고 한데요. 18181818 이런 것도 나옵니다 -_-;;
1111 이런 거 보지 마시고 매도,매수량을 보고싶으면 체결강도를 참고하시는 게 더 좋을 거 같아요.
감전주의
20/09/17 15:18
수정 아이콘
1111 나오는건 도망치라는 신호입니다
20/09/17 15:19
수정 아이콘
좋은 종목을 좋은 가격에 사서 길게 보면 됩니당
20/09/17 16:35
수정 아이콘
왜 뾰족하느냐... 그것은 떨어졌으니까... (끄덕)
빠나나
20/09/17 18:49
수정 아이콘
답변해주신 모든분들 감사드립니다!
블루레인코트
20/09/18 18:29
수정 아이콘
피뢰침은 갑자기 매수가 몰려서 그렇습니다.
차트상 의미있는 부분을 넘기면 매수세가 강하게 붙는데 힘이 약하면 실망매물이 나오기때문에 윗꼬리를 길게 다는 경우가 많습니다.
1은 그냥 관심유발입니다. 차트상 저점이면 매수신호 고점이면 매도신호로 보시면 됩니다.
블루레인코트
20/09/18 18:30
수정 아이콘
그리고 이득은 피뢰침에서 보는게 아니라 다음 파동에서 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8640 [질문] 책상이 사고 싶습니다! [12] 회색사과5902 20/09/21 5902
148638 [질문] 에어프라이어를 좀 찾아보다가 생긴 궁금증 [3] Rorschach6873 20/09/21 6873
148637 [질문] 여친과 데이트 비용 문제 [63] 호아킨12198 20/09/21 12198
148636 [질문] 60~70대 어르신들에게 어떤 선물 드리면 좋아하실까요? [9] bifrost5491 20/09/21 5491
148635 [질문] 요즘 가성비 좋은 안드로이드 태블릿 어떤 게 있나요? [10] 부기영화5827 20/09/21 5827
148634 [질문] 비데 추천 부탁드립니다. [4] 덴드로븀5262 20/09/21 5262
148633 [질문] 롤은 서구권, 북미권에서 어떤 인상인가요? [7] 박수갈채7752 20/09/20 7752
148632 [질문] cpu i5 3570에 램 16기가 x 2 가 인식이안되나요?? [16] 유머게시판7662 20/09/20 7662
148631 [질문] 군단에서 일리단과 티란데가 만난적이 없나여?? [4] 인간흑인대머리남캐6889 20/09/20 6889
148630 [질문] Xbox X 사려는데 괜찮을까요 [14] 기다5844 20/09/20 5844
148629 [질문] 컴퓨터 견적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1] 유머게시판5162 20/09/20 5162
148628 [질문] 동양 역대 최고 축구선수는 일단 한국인인건가요? [15] 박수갈채7986 20/09/20 7986
148627 [질문] 컴퓨터 저장 드라이브를 교체하려고 합니다. [1] Googlo4202 20/09/20 4202
148626 [질문] SK 브로드밴드로 넷플릭스 보시는 분 계신가요? [13] 상남자5169 20/09/20 5169
148625 [질문] 수제 떡볶이가 어떤 건가요? [10] 인간흑인대머리남캐6652 20/09/20 6652
148624 [질문] 중고나라 질문입니다 [9] DAUM5043 20/09/20 5043
148623 [질문] 곤지암리조트 주변 질문입니다! [6] 정직한사람5867 20/09/20 5867
148622 [질문] 2년된 단백질 보충제 먹어도 될까요 [4] s-toss6410 20/09/20 6410
148621 [질문] 상영중인 영화중 혼자 보러가기 괜찮은 작품 추천부탁드립니다. [7] 집돌이5272 20/09/20 5272
148620 [질문] 칼은 어떻게 가시나요? [8] 므라노5267 20/09/20 5267
148619 [질문] 게임 추천 부탁드립니다. [5] 영혼4940 20/09/20 4940
148618 [질문] PuTTY로 VPS에 접속하지 않아도 프로그램이 돌아가도록 하고 싶습니다. [4] 약쟁이4291 20/09/20 4291
148617 [질문] 신축아파트 중간점검합니다. [7] HEM156407 20/09/20 640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