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9/17 13:13:53
Name 득이
Subject [질문] NBA 현역으로 드래프트를 한다면? (feat. 뻘질문)
자게 NBA 퍼스트팀 결과를 보고 문득 드는 생각이 있어서 질문글 올립니다.

만약 현역 선수들을 가지고 드래프트를 한다면 1~5픽 어떻게 뽑힐까요?

단, 전제조건이 있습니다. 나이는 모두 20살로 동일, 커리어 임팩트는 제외(되려나 모르겠찌만..) 입니다.

현재 뽑힌 퍼스트/세컨에서 1~10픽이 다 나오겠죠?

여러분 생각은 어떠신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회색추리닝
20/09/17 13:19
수정 아이콘
퍼스트는 다 나올꺼같은데 세컨에서 다 나올지는 모르겠네요.
저도 세컨에서 보다는 탐슨을 뽑을거같아서요 캐치앤슛의 가치를 굉장히 높게봐서 크크크
20/09/17 13:21
수정 아이콘
20살때 기대치가 아니라 커리어 풀린거 다 보고 20살때 누구뽑을지 정하는거죠?

1. 르브론
2. 커리
3. 듀란트
4. 돈치치
5. 하든
20/09/17 13:29
수정 아이콘
지금 부상 중인 듀란트 정도 들어가지 않을까요?
커리는 조금 애매할 것 같고...
20/09/17 13:36
수정 아이콘
시아캄은 밀리고 20살로 맞추면 돈치치도 위험하죠. 타 베테랑들보다 내구성이 덜 검증되서
르브론 / 듀란트 커리 / 나머지 라고 봅니다
픽 : 르브론 듀란트 커리 하든 폴
양념반자르반
20/09/17 13:39
수정 아이콘
1. 르브론 2. 듀란트 3. 커리 4. 하든 5. 쿰보
엔타이어
20/09/17 13:45
수정 아이콘
몸도 건강해지고 부상도 당분간 없다고 하면 듀란트 1위로 뽑고 싶네요.
유리몸 해결이 안된다면 르브론 1위, 듀란트 2위.
3,4,5위로는 AD 쿰보 하든 순으로 뽑겠습니다.
러프윈드
20/09/17 21:03
수정 아이콘
릅 거 듀..??? 어떤 기준이 있으신건지 궁금하네요!
20/09/17 13:51
수정 아이콘
역시릅신이네요
20/09/17 14:45
수정 아이콘
이건 르브론...
듀란트/AD/쿰보/하든/커리정도
20/09/17 19:01
수정 아이콘
르브론
듀란트 하워드
AD 커리 하든 폴


전성기면 하워드가 서로 원맨팀으로 르브론도 잡았던 적 있는 완벽한 수비 빅이죠
골밑 혼자 다 따면서 리바되면서 어찌됐건 볼 주면 20+득점 가능한 뛰는 빅맨이 하워드였습니다
인저리프론 확률이 높은 커리랑 AD는 살짝 내렸다고 치고 저는 이정도요.
러프윈드
20/09/17 21:05
수정 아이콘
서로 원맨팀이라고 퉁치기엔 당시 팀메이 수준은 하늘과 땅차이였는데요....
르브론 시리즈 스탯이 38.5득점 8.3리바운드 8어시스트 1.2스틸 1.2블락 이었습니다;;;

전성기하워드가 어마무시한 선수였지만 현 관점으론 더 가치가 떨어질여지가 농후하고 AD위로 두는건 많이 무리수라 봅니다...
20/09/17 23:36
수정 아이콘
(수정됨) 팀메이트라고 해도 둘다 본인에게 최적화시키려는 멤버였고
하워드는 4조던인 팀이었는데
침대조던 프랑스조던 터키조던 연봉조던이었어요. 하나는 아예 대놓고 먹튀라서 연봉조던이라고 불렸고 당시 레딕은 샤프슈터는 맞는데 창조적인 능력은 전무한 캐치앤슈팅 최적화인 선수였고 이 4명의 조던 중 수비가 가장 좋은게 피에트러스일 정도로 수비도 형편없었던 멤버였어요, 그나마 최고의 파트너가 터키조던인 터클루인데 마찬가지로 수비의 약점이 있었고, 그나마 넬슨이 잘해줬는데 전형적인 기복왕이었습니다
즉 남은 멤버들 모아두면 전형적으로 3점을 쏠 수 있으나 전반적으로 기복이 많은 멤버들이고, 수비가 약점으로 지적된 선수들이었습니다.
근데 이걸 하워드가 혼자서 보드를 사수하면서 그 기복들을 더 많은 3점 시도로 만들어주는 동시에 누가 뚫려도 골밑에서 바로 컨택이 되는 수비범위와 블락능력으로 올랜도의 수비력을 책임졌습니다. 그냥 혼자서 팀의 수비레벨을 2단계는 끌어올렸던 선수였어요.
팀메이트로 따지면 르브론 쪽은 Z맨, 모윌, 바레장 등이었는데 당시 동부 1위팀이었습니다. 팀로스터로 보면 서로 슈퍼스타 한명씩 제외하고 봤을 때 애초에 클리블랜드가 그렇게 쓰레기 취급받을 선수 구성이 아니었어요. 최소한 올랜도랑 비교했을 때 너무 허약한 로스터다는건 아닙니다. 애초에 올랜도 구성도 "하워드가 보드 장악할거 믿고 기복이고 나발이고 3점 던질수있는 선수 4명이랑 하워드 뛰게 하기" 가 메인이었던 팀이거든요.

물론 르브론의 재능에 모든걸 기대는 도구로서의 선수들로 구성되어 있었기에 르브론을 갉아먹는 팀이었다는걸 부정하지는 않습니다. 근데 그거는 올랜도도 동일해요. 심지어 르브론은 옆에 웨이드 보쉬를 붙여놔도 도구로서 기능시키는게 르브론의 재능을 최대로 뽑아내는 것이라는 결론을 찾았던 선수였습니다. 전해 최고의 슬래셔였던 웨이드가 커터와 트레일러로 바뀌고 페이스업으로 20득점이상 뽑아내던 보쉬는 3점 슈터로 바뀌게 만든게 르브론의 재능을 제일 끌어올리는 방법이었으니까요.
다만 클리블랜드는 르브론을 제외하고 슈퍼스타가 아니라 아예 재능의 총합이 너무 낮았던건 사실이고, 이 결론으로 르브론은 이후에 팀을 만들 때 1명이라도 본인을 제외한 개인 공격력을 가진 선수를 포함시키고자 노력했죠. 웨이드/어빙처럼요.


또한 그 해에 올랜도한테 지고 노장 샤킬오닐을 영입했었죠. 그냥 드와이트하워드 못막아서 졌다라고 생각했단 소리고, 그 못막았다는건 하워드 자체의 공격력뿐 아니라 보드 장악력이 문제였다는 반증이었죠.

당시 하워드는 뭐라고 해도 볼을 투입하면 20득점이상을 솔리드하게 해주면서 수비에서 혼자서 팀레벨을 바꿔버리는 선수였습니다. 르브론의 재능에 몰빵한 클블이 동부 1등을 했듯이 하워드 재능에 몰빵한 올랜도는 컨파에 갔죠.
당시 하워드는 리그에서 유일하게 르브론과 1:1로 트레이드가 될 수 있는 선수로(물론 하워드가 조금 딸리지만) 취급받았던 선수입니다. 전성기 르브론이랑요. 허리 부상 크리티컬하게 터지면서 망가졌지만 그 전까진 건강하고 오래뛰어주는 빅맨이었죠.
오죽하면 4대센터 시대에 하워드가 있으면 5대센터냐 아니면 하워드는 안되냐 반대로 하워드가 1명 밀어내냐 이런 이야기 나왔던 선수에요.
그리고 AD는 솔직히 앞으론 어떨진 모르겠지만 지금까진 전성기 하워드가 우위죠.. 디펜시브 3연패에 혼자 힘으로 컨파올리고 퍼스트팀도 아직 하워드가 수비퍼스트도 하워드가 더 많습니다.
심지어 팀구성도 감독이 무능해서 그렇지 앞선에 수비 1타로 꼽히는 즈루 데리고 있던 AD에 비해 오히려 하워드는 앞선에 믿을 수비수 하나 없던 팀인데도 컨파는 올렸죠.
러프윈드
20/09/17 21:09
수정 아이콘
갓티어: 르브론

1티어: 듀란트 - 커리
2티어: 하든 - CP3 - AD - 카와이 -쿰보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8640 [질문] 책상이 사고 싶습니다! [12] 회색사과5902 20/09/21 5902
148638 [질문] 에어프라이어를 좀 찾아보다가 생긴 궁금증 [3] Rorschach6873 20/09/21 6873
148637 [질문] 여친과 데이트 비용 문제 [63] 호아킨12198 20/09/21 12198
148636 [질문] 60~70대 어르신들에게 어떤 선물 드리면 좋아하실까요? [9] bifrost5491 20/09/21 5491
148635 [질문] 요즘 가성비 좋은 안드로이드 태블릿 어떤 게 있나요? [10] 부기영화5827 20/09/21 5827
148634 [질문] 비데 추천 부탁드립니다. [4] 덴드로븀5262 20/09/21 5262
148633 [질문] 롤은 서구권, 북미권에서 어떤 인상인가요? [7] 박수갈채7752 20/09/20 7752
148632 [질문] cpu i5 3570에 램 16기가 x 2 가 인식이안되나요?? [16] 유머게시판7662 20/09/20 7662
148631 [질문] 군단에서 일리단과 티란데가 만난적이 없나여?? [4] 인간흑인대머리남캐6889 20/09/20 6889
148630 [질문] Xbox X 사려는데 괜찮을까요 [14] 기다5844 20/09/20 5844
148629 [질문] 컴퓨터 견적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1] 유머게시판5162 20/09/20 5162
148628 [질문] 동양 역대 최고 축구선수는 일단 한국인인건가요? [15] 박수갈채7986 20/09/20 7986
148627 [질문] 컴퓨터 저장 드라이브를 교체하려고 합니다. [1] Googlo4202 20/09/20 4202
148626 [질문] SK 브로드밴드로 넷플릭스 보시는 분 계신가요? [13] 상남자5169 20/09/20 5169
148625 [질문] 수제 떡볶이가 어떤 건가요? [10] 인간흑인대머리남캐6652 20/09/20 6652
148624 [질문] 중고나라 질문입니다 [9] DAUM5043 20/09/20 5043
148623 [질문] 곤지암리조트 주변 질문입니다! [6] 정직한사람5867 20/09/20 5867
148622 [질문] 2년된 단백질 보충제 먹어도 될까요 [4] s-toss6410 20/09/20 6410
148621 [질문] 상영중인 영화중 혼자 보러가기 괜찮은 작품 추천부탁드립니다. [7] 집돌이5272 20/09/20 5272
148620 [질문] 칼은 어떻게 가시나요? [8] 므라노5267 20/09/20 5267
148619 [질문] 게임 추천 부탁드립니다. [5] 영혼4940 20/09/20 4940
148618 [질문] PuTTY로 VPS에 접속하지 않아도 프로그램이 돌아가도록 하고 싶습니다. [4] 약쟁이4291 20/09/20 4291
148617 [질문] 신축아파트 중간점검합니다. [7] HEM156407 20/09/20 640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