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9/17 09:44:02
Name 흰둥
Subject [질문] 의사들이 박사가 많은 이유?
뼛속까지 문돌이고 해서 의대 쪽은 잘 모릅니다.

병원에 가면, 흔히 의대 졸업으로 끝난, 즉 학사만 가지고 진료하는 의사도 있지만 많은 경우 석사 박사까지 한 경우가 많더군요.

의대6년에 석사, 박사에 인턴이니 레지던트니 남자는 군의관 공보의 등 군복무까지...

질문1. 이러한 의사가 되는 일련의 과정이 궁금합니다.

검색해봐도 잘 모르겠네요.

질문2. 의사가 되는 과정에서 박사까지 하는 경우가 일반적인가요?
의사도 영어로 닥터고 박사도 닥터인건 뭔가 이유도 있을거 같은데...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류지나
20/09/17 09:48
수정 아이콘
https://mdphd.kr/100
궁금해서 검색해보니 이런 포스팅이 있네요. 간단히 요약하자면

"의사"는 면허고, '학사, 석사, 박사'는 학위라서 범주가 다름.
의학 석사와 의학 박사는 의사 중에서도 '의학에 대한 학문적 연구'를 원하는 의사들이 따는 학위로 의사 면허와는 아무 상관없음.
뒹구르르
20/09/17 09:49
수정 아이콘
타과는 석박사를 하려면 다른 취직 등의 기회를 버리고 추가로 수 년의 시간과 비용을 들여서 인생을 갈아넣어야 합니다.
주위 의사 친구들을 보면
의사들은 레지턴트 하면서 석박사 과정을 진행하기 때문에 어차피 갈리는거 정신만 조금 더 갈리면 되는거라
그냥 레지턴트하면서 박사까지 같이 진행을 많이 하더군요
테크닉션풍
20/09/17 10:00
수정 아이콘
석박통합과정이 생긴이후에는 군의관 또는 전역후 펠로우까지 하면 무난하게 박사딸 수 있긴합니다.
물론 박사논문의 경우는 심사가 생각보다 까다로워서 날로먹기는 쉽지않습니다.
20/09/17 10:06
수정 아이콘
석.박사를 위해 학교에 더 남아야하는자
vs
어짜피 안해도 학교에 더 남아있어야하는자...

후자가 학교에 있는김에 할 확률이 더 높겠죠 흐흐흐
興盡悲來
20/09/17 10:24
수정 아이콘
똑똑하니까....?
20/09/17 10:25
수정 아이콘
인턴 레지던트 하는 김에 따는 경우가 많고 과에 따라 대학원다니기를 권유(강요?) 받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디어트
20/09/17 10:37
수정 아이콘
그것은 doctor니까...(끄덕)
유목민
20/09/17 11:02
수정 아이콘
기왕에 갈아넣는거
분쇄육이냐 육회용이냐의 차이가 있을 뿐
갈리는거는 마찬가지라.
몽키매직
20/09/17 11:50
수정 아이콘
대학병원 남고 싶으면 최소 석사학위는 따놔야 되고, 박사 진행 중이어야 합니다. 요즘은 대학병원이 일도 많고 책임도 많고 소송도 잘 걸리는데 월급은 대기업 과장 정도라 인기가 떨어져서 학위 많이 안 따는 추세입니다.
여왕의심복
20/09/17 12:27
수정 아이콘
학교에 교직으로 남으려면 PhD가 있어야합니다. PhD없이 임용되더라도, 꼭 요구하는 경우가 많아요. 교직 남을 생각이 없으신 분들은 대학원가는것 자체를 귀찮아하시는 경우도 많습니다.
달달한고양이
20/09/17 13:22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연구하는 자연계열에서 MD PhD가 최고라고 생각하는데 임상쪽에서도 전문의하려면 공부를 더 해야하니까 학위까지 따는 게 아닐까욧
20/09/17 13:46
수정 아이콘
요즘은 대학병원 남을 생각 없으면 잘 안 합니다
해도 석사 정도까지만...
그리고 의전 나오면 자동 석사라서 대학원 간다고 하면 박사과정으로 가게 되지요
유료도로당
20/09/17 13:50
수정 아이콘
공대 박사보다 훨씬 과정이 간편하고 쉽습니다. 논문 쓴다고 스트레스만 살짝 더 받으면 되는 정도..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8710 [질문] 왓챠랑 넷플릭스 중에 어디가 더 TVN 예능이 많은가요? [3] 강미나7250 20/09/23 7250
148709 [질문] 유효한 송장번호가 아니라는데요..(로젠택배) [12] StondColdSaidSo6955 20/09/23 6955
148708 [질문] 통신사/정유회사 직원들이 특별히 고연봉인 이유가 뭘까요? [30] 솔라7545 20/09/23 7545
148707 [질문] 단식중입니다.. [8] 꿈은없고놀고싶어6822 20/09/23 6822
148706 [질문] 아이폰 얼굴인식과 공기청정기 [11] Ragamuffin4733 20/09/23 4733
148705 [질문] 오버워치 그래픽카드 질문드립니다 [9] Demi6017 20/09/23 6017
148704 [삭제예정] [선대? 영어?] 질문 하나 올립니다. [3] 회색사과5927 20/09/23 5927
148702 [질문] 해외에서 구입한 갤럭시 국내에서 삼성페이 가능한가요?? [11] 힙합아부지6355 20/09/23 6355
148701 [질문] 결혼식 신랑 신부 셀프 축가 추천받습니다. [34] 신류진9643 20/09/23 9643
148700 [삭제예정] 스팀 세차 차량 손상 문의드립니다 [1] 삭제됨6764 20/09/23 6764
148699 [질문] JDM 중고차 가격? 돈의 가치가 떨어진걸까요? [16] 엔지니어7528 20/09/23 7528
148698 [삭제예정] 주식)미수거래해결방법 부탁드립니다.. [3] 삭제됨6824 20/09/23 6824
148697 [질문] 알러텍을 하루에 5-6개 먹고 있네요. 이래도 되나요? [10] 천국와김밥6889 20/09/23 6889
148696 [질문] 컴린이입니다 컴 견적 이륙허가 해주세요..! [6] Splendid6772 20/09/23 6772
148695 [질문] 밴드 멤버 소개 시 드럼과 베이스 같이 연주할만한 곡? [6] LeNTE4812 20/09/23 4812
148694 [질문] 지포스 gtx 260이 다렉 10까지만 지원하나요? [6] 다크 나이트5357 20/09/22 5357
148693 [질문] 독감백신이 원래 이런가요? [6] GRANDFATHER__6530 20/09/22 6530
148692 [질문] 베일 vs 손흥민 전성기 기준 스피드는 누가 더 빠른가요? [27] 양념반자르반8955 20/09/22 8955
148691 [질문] 유행성 각결막염 걸려보신분 계실까요 [2] Secundo5117 20/09/22 5117
148690 [질문] 마티니는 무슨 맛으로 먹나요?? [8] 커티삭8969 20/09/22 8969
148689 [삭제예정] ........................................................................................................................ [7] 삭제됨6244 20/09/22 6244
148688 [질문] 휴대폰 오래 쓰고 싶은데 ap칩셋이 중요한가요 램이 중요한가요? [12] 사슴벌레집단5636 20/09/22 5636
148687 [질문] 저 중소 다녔을떄 월급이 퇴직금 포함 연봉/13개월로 받았는데 [4] 삭제됨6894 20/09/22 689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