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9/17 09:44:02
Name 흰둥
Subject [질문] 의사들이 박사가 많은 이유?
뼛속까지 문돌이고 해서 의대 쪽은 잘 모릅니다.

병원에 가면, 흔히 의대 졸업으로 끝난, 즉 학사만 가지고 진료하는 의사도 있지만 많은 경우 석사 박사까지 한 경우가 많더군요.

의대6년에 석사, 박사에 인턴이니 레지던트니 남자는 군의관 공보의 등 군복무까지...

질문1. 이러한 의사가 되는 일련의 과정이 궁금합니다.

검색해봐도 잘 모르겠네요.

질문2. 의사가 되는 과정에서 박사까지 하는 경우가 일반적인가요?
의사도 영어로 닥터고 박사도 닥터인건 뭔가 이유도 있을거 같은데...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류지나
20/09/17 09:48
수정 아이콘
https://mdphd.kr/100
궁금해서 검색해보니 이런 포스팅이 있네요. 간단히 요약하자면

"의사"는 면허고, '학사, 석사, 박사'는 학위라서 범주가 다름.
의학 석사와 의학 박사는 의사 중에서도 '의학에 대한 학문적 연구'를 원하는 의사들이 따는 학위로 의사 면허와는 아무 상관없음.
뒹구르르
20/09/17 09:49
수정 아이콘
타과는 석박사를 하려면 다른 취직 등의 기회를 버리고 추가로 수 년의 시간과 비용을 들여서 인생을 갈아넣어야 합니다.
주위 의사 친구들을 보면
의사들은 레지턴트 하면서 석박사 과정을 진행하기 때문에 어차피 갈리는거 정신만 조금 더 갈리면 되는거라
그냥 레지턴트하면서 박사까지 같이 진행을 많이 하더군요
테크닉션풍
20/09/17 10:00
수정 아이콘
석박통합과정이 생긴이후에는 군의관 또는 전역후 펠로우까지 하면 무난하게 박사딸 수 있긴합니다.
물론 박사논문의 경우는 심사가 생각보다 까다로워서 날로먹기는 쉽지않습니다.
20/09/17 10:06
수정 아이콘
석.박사를 위해 학교에 더 남아야하는자
vs
어짜피 안해도 학교에 더 남아있어야하는자...

후자가 학교에 있는김에 할 확률이 더 높겠죠 흐흐흐
興盡悲來
20/09/17 10:24
수정 아이콘
똑똑하니까....?
20/09/17 10:25
수정 아이콘
인턴 레지던트 하는 김에 따는 경우가 많고 과에 따라 대학원다니기를 권유(강요?) 받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디어트
20/09/17 10:37
수정 아이콘
그것은 doctor니까...(끄덕)
유목민
20/09/17 11:02
수정 아이콘
기왕에 갈아넣는거
분쇄육이냐 육회용이냐의 차이가 있을 뿐
갈리는거는 마찬가지라.
몽키매직
20/09/17 11:50
수정 아이콘
대학병원 남고 싶으면 최소 석사학위는 따놔야 되고, 박사 진행 중이어야 합니다. 요즘은 대학병원이 일도 많고 책임도 많고 소송도 잘 걸리는데 월급은 대기업 과장 정도라 인기가 떨어져서 학위 많이 안 따는 추세입니다.
여왕의심복
20/09/17 12:27
수정 아이콘
학교에 교직으로 남으려면 PhD가 있어야합니다. PhD없이 임용되더라도, 꼭 요구하는 경우가 많아요. 교직 남을 생각이 없으신 분들은 대학원가는것 자체를 귀찮아하시는 경우도 많습니다.
달달한고양이
20/09/17 13:22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 연구하는 자연계열에서 MD PhD가 최고라고 생각하는데 임상쪽에서도 전문의하려면 공부를 더 해야하니까 학위까지 따는 게 아닐까욧
20/09/17 13:46
수정 아이콘
요즘은 대학병원 남을 생각 없으면 잘 안 합니다
해도 석사 정도까지만...
그리고 의전 나오면 자동 석사라서 대학원 간다고 하면 박사과정으로 가게 되지요
유료도로당
20/09/17 13:50
수정 아이콘
공대 박사보다 훨씬 과정이 간편하고 쉽습니다. 논문 쓴다고 스트레스만 살짝 더 받으면 되는 정도..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공지 댓글잠금 [질문] 통합 규정(2019.11.8. 개정) jjohny=쿠마 19/11/08 114409
공지 [질문] [삭제예정] 카테고리가 생겼습니다. [10] 유스티스 18/05/08 137496
공지 [질문] 성인 정보를 포함하는 글에 대한 공지입니다 [38] OrBef 16/05/03 187744
공지 [질문] 19금 질문은 되도록 자제해주십시오 [8] OrBef 15/10/28 221086
공지 [질문] 통합 공지사항 + 질문 게시판 이용에 관하여. [22] 항즐이 08/07/22 273801
182098 [삭제예정] 분양권 구매해보신 분들 어떻게 구입하셨나요? 콩순이324 25/11/05 324
182097 [질문] 지게차 운전 관련 업무 문의 [2] 너이리와봐745 25/11/05 745
182096 [질문] [크킹3] 상속자 지정이 자동해지되는 문제? [2] Mance988 25/11/05 988
182095 [질문] 카리나 장원영 안유진보다 국내에서 인지도높은 유튜버가 누가있을까요? [23] 이게무슨소리2137 25/11/05 2137
182094 [질문] 이직시 연봉협상 관련 조언을 구합니다. [1] 밥주는남자1423 25/11/05 1423
182093 [질문] 랜섬웨어 방어하는법 [7] 카오루1353 25/11/05 1353
182092 [질문] 1월말 2월초 갈만한 여행지 추천 부탁드립니다. [7] Grundia1085 25/11/05 1085
182091 [질문] 대만 여행 관련 추가질문드립니다.환전 및 일정 관련 파쿠만사753 25/11/05 753
182090 [질문] 50대가 해볼만한 RTS 게임이 있을까요? [26] 민서1357 25/11/05 1357
182089 [질문] 갤럭시 스마트폰 화면이 자주 안 켜집니다 [2] 빼사스1834 25/11/05 1834
182088 [질문] 노트북 스펙 평가 좀 부탁드립니다 [3] 플래시1706 25/11/05 1706
182087 [질문] 게임업계 재무쪽에서 일하시는 분들 계실까요? [4] 스웨트3054 25/11/04 3054
182086 [질문] 폰 교체시 지원금은 요즘 어디서 알아보나요? [3] 연필깍이2491 25/11/04 2491
182085 [질문] 통신선로 무상교체를 해준다고 합니다. [10] 어센틱2920 25/11/04 2920
182084 [질문] 유니버셜 스튜디오 재팬 즐기는 방법 [18] 일신1841 25/11/04 1841
182083 [질문] 유치원 선택 질문입니다. [9] 윈터2006 25/11/04 2006
182082 [질문] 차이파이류 이어폰? 중에 추천할만한거있나요? [15] 포커페쑤2440 25/11/04 2440
182081 [질문] 11월말 국내 여행지 추천 부탁드립니다. [11] 이리세3066 25/11/03 306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