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9/16 21:37:06
Name 醉翁之意不在酒
Subject [질문] 야구배트에 관한 질문
야구는 뉴스에 나오는 하이라이트만 보는 야알못입니다.
어느날 선수들이 쓰는 배트가 다 디자인이 다르다는걸 발견했습니다. 축구화도 선수마다 스폰서가 다 다르고 하니 야구도 그러려니 하다가 티비프로에서 선수들이 자기만의 배트를 오더메이드하고 그 배트를 만드는 장인들도 엄청난 기술이 있다 뭐 이런 내용을 봤는데 여기서 의문이 생겼습니다.
야구배트는 규격이 정해져있나요?
무게 크기 재질 같은거 당연히 규격범위가 있을거 같은데 더 나아가서 배트에 일부 상표나 디자인적인 도색도 돼있는거 같던데 이런건 규격이 있나요?
특수한 재질의 코팅같은걸로 뭐랄까 성능향상 같은걸 할수도 있나요?

두서없는 질문 죄송합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스타나라
20/09/16 21:46
수정 아이콘
https://namu.wiki/w/%EC%95%BC%EA%B5%AC%EB%B0%A9%EB%A7%9D%EC%9D%B4?from=%EC%95%BC%EA%B5%AC%EB%B0%B0%ED%8A%B8#s-3

야구배트의 규정은 위를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무게는 물론 도색에도 규정이 있습니다. 심지어는 배트에 묻히는 끈끈이에도 규정이 있고요.
마둘리
20/09/16 21:49
수정 아이콘
3.02 배트
⒜ 배트는 겉면이 고른 둥근 나무로 만들어야 하며 굵기는 가장 굵은 부분의 지름이 2.61인치(6.6cm) 이하, 길이는 42인치(106.7cm) 이하이어야 한다.
배트는 하나의 목재로 만들어져야 한다.
⒝ 커프트 배트(cupped bat·끝부분을 움푹하게 도려낸 배트) 배트의 끝부분을 도려낼 때는 깊이는 1¼인치(3.2cm) 이하, 지름은 1~2인치(2.5~5.1cm) 이내로 해야 하며, 움푹하게 파낸 단면은 둥글어야 한다.
또 이때 다른 물질을 붙여 둥글게 해서는 안 되며, 배트의 소재를 도려내는 것으로 그쳐야 한다.
⒞ 배트의 손잡이 부분(끝에서 18인치(45.7cm)까지)에는 단단히 잡는 데 도움이 되도록 어떠한 물질을 붙이거나 어떤 물질로 처리하는 것은 허용된다. 그러나 그 범위가 18인치(45.7cm)를 넘어선 배트는 경기용으로 사용할 수 없다.
⒟ KBO에서는 규칙위원회의 허가 없이 유색배트를 사용할 수 없다.

배트 표면에 표시되는 소인(燒印)과 같은 내용 및 크기는 다음과 같이 정한다. 배트의 앞부분에는 배트 모델, 배트의 품명, 제조번호, 재종 등만 표시하여야 하며 마크류는 표시할 수 없다. 이러한 표시는 배트의 길이에 따라 세로 5cm 이하, 가로 9.5cm 이하이어야 하며 문자의 크기는 각각 세로 가로 2cm 이하로 한다. 손잡이에 가까운 부분에는 제조업자 또는 제조 위탁업자의 명의를 포함한 상표를 표시하되, 그 표시는 배트의 길이에 따라 세로 6.5cm 이하, 가로 12.5cm 이하로 한다. 위와 같은 상표 등은 모두 배트의 같은 면에 표시하여야 한다.

야구규칙에서 나온 배트에 관한 설명입니다.
醉翁之意不在酒
20/09/16 22:00
수정 아이콘
두분 답변 고맙습니다. 역시 공이 맞는 부분은 나무재질 그대로고 코팅같은건 안되는군요.
염치없이 추가 질문 들어갑니다.
배트가 이상한데 공이 맞는다거나 선수가 일부러 꺽어버린다거나 이런 경우가 없을때 어느정도 쓸수 있나요? 시즌 평균이나 공 몇개 같은 지표가 있나요?
어떤 선수들은 보면 일부러 배트를 짧게 쥐고 치는데(번트같은 경우가 아니고 그냥 칠때) 이건 특정 시츄에이션에서 이러는건가요? 아니면 이 선수들은 원래 이렇게 잡는건가요?
골프도 항상 클럽을 짧게 잡고 치는 선수들이 있어서 왜지 하면서 궁금해했는데 야구도 그런 경우가 있는거 같아서요. 그냥 짧게 만든 배트를 쓰면 되는거 아닌가요?
마둘리
20/09/16 22:34
수정 아이콘
짧게 잡으면 회전반경이 줄어듭니다.
짧게 잡는다는건 배트 스피드가 증가한다는 것이고, 강속구 대처가 길게 잡았을 때보다 좋습니다.
강속구 뿐만 아니라 회전반경이 줄어들다보니 공을 맞힐 컨텍 능력도 올라가고요.
다만, 파워는 떨어집니다. 회전반경이 줄어들다보니 에너지가 부족해지지요.
반대로 길게 잡으면 회전반경이 커지다보니 배트 스피드는 저하되고 컨택 능력도 떨어집니다.
대신 파워가 늘어납니다.
그래서 홈런치는 타자는 대부분 길게 잡고 홈런보다는 단타성을 추구하는 타자들은 짧게 잡습니다.
상황에 따라서 길게 잡을수도 짧게 잡을수도 있고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8616 [질문] 크킹3 암살 방어 질문입니다. [1] 니케8996 20/09/20 8996
148615 [질문] 다른 제국주의 국가의 식민지배는 '적법'했나요? [33] 박수갈채6109 20/09/20 6109
148614 [질문] 던파 12 강화 어디다가 쓰는게 좋을까요? [10] 한쿡5602 20/09/20 5602
148613 [질문] 태조왕건 에피소드 중에서 질문 있는데요... [3] 잘가라장동건5168 20/09/20 5168
148612 [질문] 신지드 영상보는데 요즘은 E평 일부러 안쓰나요 [7] 나데시코5870 20/09/20 5870
148611 [질문] 허리디스크로 인해 의자 추천을 받고 싶습니다. [12] 리로이 스미스6543 20/09/20 6543
148610 [질문] 나이를 먹어가며 감이 잘 맞아떨어지는것 같지 않나요? [14] 삭제됨5445 20/09/20 5445
148609 [질문] 인스타 탐색에 페이지에 원치 않는 좋은(?) 분들이 자꾸 뜨네요. 좀 바꿀 수 없나요? [7] 공실이6596 20/09/20 6596
148608 [삭제예정] . [5] 삭제됨4936 20/09/20 4936
148607 [질문] 스포티비는 피씨로는 못보나요? [6] Dwyane5065 20/09/20 5065
148606 [질문] 아파트 호가를 알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15] 그냥가끔5705 20/09/19 5705
148605 [질문] 9월 현재 밤 11시 동쪽하늘에서 밝게빛나는 별은 금성인가요? [6] 한종화6645 20/09/19 6645
148604 [질문] 최신영화를 가장 빠르게 볼 수 있는 방법은 뭘까요? [14] F.Nietzsche5620 20/09/19 5620
148602 [질문] 핸드폰 바꿀때 성지(?)매장 가서 뭐라고 해야하나요? [6] AKbizs6747 20/09/19 6747
148601 [질문] 전자피아노 추천부탁드립니다. [6] 쌍둥이아빠4942 20/09/19 4942
148600 [질문] 한자와 나오키 시즌 2 를 보고 싶습니다! [8] InYourHeart6189 20/09/19 6189
148599 [질문] 자취방 청소기는 어떤거 사야되나요? [33] 포이리에13675 20/09/19 13675
148597 [질문] 반포 소개팅 장소 추천부탁드립니다 [4] 살려는드림5786 20/09/19 5786
148596 [질문] 듀얼모니터 구성 질문 [1] 늘지금처럼5633 20/09/19 5633
148595 [질문] 컴퓨터 부품을 미국에서 한국으로 배송할 때 관세 질문 [4] SQA6606 20/09/19 6606
148594 [질문] 램 업그레이드? 오버? 체감 [6] Cazellnu5311 20/09/19 5311
148593 [질문] 가테 리세계정 질문있습니다. [7] 윤하love6810 20/09/19 6810
148592 [질문] 삼성 스마트폰 직구한 부품 AS센터가져가면 교체해주나요 ? [5] 미메시스4959 20/09/19 495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