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9/07 22:14:37
Name 박수갈채
Subject [질문] 한국의 프로 스포츠구단은 재벌가의 독단으로 운영되는 건가요?
한국 스포츠 구단 중 흑자를 내는 구단은 손에 꼽을 장도로 적은 걸로 알고 있어요. 프로 배구, 농구, 축구, 야구 등 4대리근 물론이고 비교적 최근 설립된 e스포츠 구단들도 대부분 적자를 면치 못한다구요.

저는 그간 이런 현상이 비록 외견적으론 스포츠 구단을 운영이 적자지만 홍보비용을 감안할 때 모기업에 이득이 되기 때문이 아닌가하고 납득해왔어요.

그런데 최근 두산의 경영위기를 해결하기 위한 채권단의 요구사항 중 두산 베어스의 매각이 있단 걸 알고나선 이런 생각이 흔들리기 시작했어요. 한국의 모든 스포츠 구단 중 두산 베어스의 홍보효과보다 앞선다고 자신할 수 있는 구단은 별로 없을거에요.

그런데도 불구하고 채권단이 이를 매각할 것을 권고했다면 사실 구단의 운영 적자가 모기업의 홍보효과보다 큰 것이 아닌가하는 생각이 들어요.

그렇다면 모기업은 왜 스포츠구단을 운영하는가? 전 그게 재벌가의 취미나 위신 때문 아닌가해요. 모기업의 이익과 무관하게요. 과거 넥센이 프로야구에 처음 도전했을 때 한 기업 구단주가 "격이 떨어진다"고 말했다죠. 이는 프로야구 구단운영이 격조 높은 소수 재벌가를 상징하는 일종의 위신재이기 때문 아닐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최종병기캐리어
20/09/07 22:19
수정 아이콘
두산그룹은 중공업위주의 기업간거래(B2B)가 사업의 핵심이기때문에, 비록 두산베어스의 광고효과는 크더라도 매각을 권고한 거라고 봐야합니다. 두산그룹의 주력사업은 일반 소비자들에게 광고나 홍보를 할 필요가 없는 사업들이거든요.
Je ne sais quoi
20/09/07 22:27
수정 아이콘
https://kini.kr/2073
두산이 키움 제외하면 모기업 보조가 제일 적은 구단이긴 하지만 그래도 100억이나 받았습니다. 광고에 대해서 잘 모르지만, 100억을 프로야구에 써서 홍보하는 거 보다는 다른 여러 매체나 수단을 이용하는 게 훨씬 효과가 클 거 같습니다. 결국 말씀하신대로 지금은 재벌가들의 일종의 과시용으로 보는 게 맞겠죠.
아케이드
20/09/07 22:37
수정 아이콘
인기많은 야구단은 홍보효과도 무시못할 정도라고 보는데, 나머지는 뭐... 그냥 사회공헌 차원에서 운영한다고 봅니다
스포츠단 운영하면 정부에서 일정 혜택을 주는 걸로 알아요
정지연
20/09/07 22:41
수정 아이콘
홍보효과라는게 명확히 수치화 할 수 없기 때문에 스포츠단의 운영이 들인 돈 대비 효과가 크다 적다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야구단 기준으로 보면 일년에 모기업이 주는 돈이 200억~300억 정도 되는데 키움 증권이 히어로즈와 네이밍 스폰서 계약을 연 100억에 하고 있습니다.
그 말은 키움은 1년에 100억 정도면 광고비로 쓸만한 돈이라고 생각하고 있다는거고 다른 기업도 그 정도는 쓸 수 있는 돈이겠죠..
거기다 키움과 히어로즈의 관계와 달리 다른 구단은 독점 계약관계이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로 홍보가 가능할테니 100억 이상의 효과를 보고 있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200억 정도를 써도 손해는 아닐 가능성이 높습니다.
거기다 기업의 주력 상품이 b2c사업이면 더 그럴거라 보고요..
그룹이 위태로운 경우만 아니면 유지해도 손해는 보고 있지 않을거라고 봅니다..
물론 이거는 야구 인기가 높아졌고 굿즈 판매, 입장 매출이 나아진 최근의 얘기고 예전에는 구단주의 취미생활로 유지되기는 했죠..
20/09/08 02:23
수정 아이콘
확실히 오너그룹 자체 홍보와 무관한 히어로즈가 딱 좋은 사례겠네요
스위치 메이커
20/09/07 22:53
수정 아이콘
B2C 기업은 분명히 효과 있다고 봅니다. 근데 B2B는 딱히...
20/09/07 23:13
수정 아이콘
두산은 오너가가 야구에 정말 애정이 많긴 하죠.
그룹이 망할거 아닌 이상 매각하지 말라는 얘기도 있었을 정도라....
예전 OB가 두산 소속 이었을때야 모르지만 지금이야 진짜 B2C가 없어서 홍보효과 없죠.
오죽하면 면세점 사업 시작하자마자 구장에 떡하니 광고를 .... 그거 보면서 정말 B2C가 없긴 하구나 싶었습니다.
지금 유지하고 있는 대기업들은 이래저래 오너가가 구단에 대한 애정이 많을 겁니다.
엘지도 구씨가의 야구 사랑 엄청 유명하고 ....
솔직히 한화도 B2C가 적은 편이라 큰 이득은 아닌데 그나마 한화 생명이 있긴 하죠.
새강이
20/09/08 03:19
수정 아이콘
창업주 혹은 현 오너가 어느 종목에 꽂혀있는지 + 약간의 홍보효과 입니다

K리그에서는 포스코 창업주 박태준 님이 축구에 꽂혀서 구단을 2개나 만들고 계속 유지하죠..
포스코그룹 B2C는 사실상 더 샾 아파트 하나이지만요
20/09/08 12:09
수정 아이콘
사실상 이제 국내기업들이 스포츠 구단 운영하는건 홍보 효과가 거의 없다고 보는게 맞죠. 그냥 오너의 종목 사랑 + 사회 공헌으로 봐야합니다.

그런 의미로다가 포스코 회장님 포항에 투자 조금만 더 해주십....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8364 [질문] SK는 왜이렇게 야구를 못해졌나요? [17] 불행6862 20/09/11 6862
148363 [질문] 노트북 질문 [3] 파이어군6056 20/09/11 6056
148362 [질문] 제주도 맛집 질문 2'o clock5681 20/09/11 5681
148361 [질문] 도로 노면 표시 질문드립니다. (대구 중구 중앙네거리) [4] 소드실드5070 20/09/11 5070
148360 [질문] 케이뱅크 신용대출/마이너스통장 괜찮은지요...? [2] nexon6028 20/09/11 6028
148359 [질문] 어릴 때 기억이 없는건 큰 문제 없겠죠? [18] CoMbI COLa7152 20/09/10 7152
148358 [질문] 자게 글 삭제해도 남아있는 경우와 아닌 경우? [3] 도연초4469 20/09/10 4469
148357 [질문] 함양 맛집(데이트코스)를 찾습니다. [9] 조따아파6327 20/09/10 6327
148356 [질문] 건대입구역 부근 괜찮은 중국집 있나요? [1] 회전목마6710 20/09/10 6710
148355 [질문] 현직 의사선생님들에게 질문 있습니다. [11] 맥크리발냄새크리7521 20/09/10 7521
148354 [질문] [나눔][종료] 신라스테이 서초 9.11(금) 1박 숙박권 양도합니다. [8] 삭제됨6529 20/09/10 6529
148353 [질문] 폴아웃 게임 질문입니다. [4] 샤르미에티미4934 20/09/10 4934
148352 [질문] 컴퓨터에서 0.999... [7] 와칸나이6537 20/09/10 6537
148351 [질문] 남자 비뇨기과 PCR 검사 결과 관련 문의드립니다. [12] 삭제됨7817 20/09/10 7817
148350 [질문] 카카오 스낵게임 비슷한 일본 게임 [2] 월급루팡의꿈4506 20/09/10 4506
148349 [질문] 암모니아 합성vs페니실린 발견 [19] 톰가죽침대7416 20/09/10 7416
148348 [질문] 어쌔씬 크리드 질문. [18] Philologist5903 20/09/10 5903
148347 [질문] 좋아하시는 걸그룹 노래 추천해주세요! [30] 도전과제6547 20/09/10 6547
148346 [질문] 플라이트시뮬레이트 2020 강제종료 문제 (메모리참조오류) [2] 기다리다똥된다7617 20/09/10 7617
148345 [질문] 퇴직금 중간 정산 관련 질문 [11] Agger6290 20/09/10 6290
148344 [질문] 건강 검진 결과 B형 간염 질문입니다. [5] 뭘하면좋을까5046 20/09/10 5046
148343 [질문] 오른쪽어깨 통증 [6] 당근병아리5676 20/09/10 5676
148342 [질문] 레버리지 반대매매 질문 [7] 따루라라랑6082 20/09/10 608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