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9/04 14:12:55
Name 내년에반드시결혼
Subject [질문] 다발성 근염에 대해 주변 사례를 보신 분 있으신가요?
요즘 건강 관련 글로 질문을 많이 드리네요.. -_-);;; 몸이 별로 안좋아서 고민이네요.

19년 12월 글 :
https://pgr21.com/qna/140635
[질문] 혹시 다리에 힘이 없어서 걷는게 힘들거나 계단 오르내리는게 힘든 분..

19년 12월 글 :
https://pgr21.com/qna/140693
[질문] 어제 디스크 추정 환자인데.. 고관절쪽 염증이라고 합니다. 질문 있어요.. (사진 유)

로 글을 올려서 근육병 의심되어 1월에 보라매병원에 일주일 입원하여

근육병 검사 진행하였고

2차 유전자 혈액 검사 : 문제 없음
근전도 검사 : 이상 소견 있으나 exactly 하진 않음
근육 생검 : 이상 소견 있으나 exactly 하진 않음

으로 '상세 불명의 근육병 진단'을 받았습니다.

그때 류마티스 내과를 갔어야 했는데... ㅡ_ㅡ;;;

올해 1월에 받은 혈액 검사와 8월에 받은 혈액검사 결과는

CK(CPK) 수치 : 비정상(1000~2500 수준, 항상)
LDH 수치 : 비정상(500 수준, 항상)
AST, ALT 수치 : 비정상(70~100 수준, 항상)
Aldolase, Myoglobin 수치 : 비정상(정상 수준의 3~5배 가량)

모두 근육 쪽 검사 수치에서 문제를 보이고 있고, 이는 반 년 동안 동일한 결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그동안 약물이나 재활 치료를 하지 않았는데, 신경과에서는 다발성 근염이라는 질병에 대해서 의심을 안하더라고요.

계단을 못 걷고, 뛰지 못하고, 오래 못 걷는게 다발성 근염의 가장 기초적인 증상인데..

일주일 전에 상급병원 진료 의뢰 걸어놓고 서울대병원 차차주 방문 예정인데,
만약 다발성 근염 확진을 받는다 하더라도 이후 예전처럼 달리기나 등산, 계단 오르기, 빠르게 걷기 등을
할 수 있을지 잘 모르겠습니다. 또 희귀질환이라고 하니깐요, 장애인이 되는건지 -_-);

혹시 주변 사례가 있다면 공유 부탁드리거나 정보에 대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100만명 중 5명이 걸리는 질환이라고는 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09/04 16:32
수정 아이콘
제가 알기로는 조직검사까지 하셔야 알수있을거에요. 저 정도 피검사는 전날 운동만해도 오를 수 있어서, 저것만 가지고는 의심해 볼 수는 있지만 확진할 수는 없어요. 근전도도 명확하지 않고요. 혹시 어디 피부 붉어진 곳 있으세요?
내년에반드시결혼
20/09/04 17:59
수정 아이콘
피부근염쪽은 아니고요, 1월과 8월 검사 결과가 운동 하지 않은 상태에서 동일하게 나온걸로 보아 항상 그런걸로 생각됩니다.(1월에는 3번 검사했으나 동일 결과) 근전도 검사는 다시 해보려고 합니다. 계단을 오르지 못하고 달리지 못하는건 1~2년 동안 쭉 그래왔습니다.
사탕바구니
20/09/04 21:41
수정 아이콘
(수정됨) 다발성근염은 proximal m. weakness 가 중요하다고 교과서에 나와있지만, 무엇보다 실제 임상에서는 '염증이 동반되었는지' 즉 근육의 압통, 발열, 염증수치 상승이 동반되었는지 등이 감별 포인트가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 관절침범 여부, 간질성폐렴 동반여부 등도 중요하고요. 만성적으로 cpk ldh가 높고 위약감을 유발하는 다른 병들도 있거든요. 약물에 의한 것일수도 있고, metabolic myopathy 같은것도 있고, 말씀 들으신 근육병증도 가능하고요. 근염은 한양대병원 유대현 교수님께서 우리나라에서 제일 권위자이시니 참고가 되셨으면 하네요.
내년에반드시결혼
20/09/05 11:02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유대현 교수님은 어제 만나뵈려고 하니 굉장히 오래 기다려야 하더라고요. 늦었지만 빠른 판단과 약물 치료가 우선시 되어야할 듯 하여 서울대병원 먼저 들리려고 합니다. 발열을 제외한 모든 증상들이 일치하여 비슷한 류로 진단될 것 같네요..
다부짐
20/09/05 08:24
수정 아이콘
류마티스내과 가시면 되고 MRI나 근육조직검사는 다시 할 수도 있겠네요
그래도 보라매병원 MRI CD랑 조직검사 슬라이드 챙겨서 가세요
상당히 큰 병원이라도 근육조직검사가 병원 병리과 상황에 따라 상세한 진단에 제한이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내년에반드시결혼
20/09/05 11:03
수정 아이콘
네 왜 진작 류마티스 쪽으로 갈 생각을 안했는지.. 신경과로 가라는 말에 매몰되어 신경과 쪽에서 근육병 쪽으로만 계속 진단을 받았네요. ㅜㅜ 아까운 시간들.. 9개월 일찍 갈 수 있었는데.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8248 [질문] 물병 내부 닦는 도구 추천 부탁드립니다 [4] s-toss5645 20/09/07 5645
148247 [질문] 만약 무한도전같은 예능을 만든다면 멤버를 어떻게 구성하시겠나요? [5] 레너블6169 20/09/07 6169
148246 [질문] 컴퓨터 책상 및 의자 추천부탁드립니다. [5] kaerans9384 20/09/07 9384
148245 [질문] 살면서 소장할만한책 추천좀 해주세요 [12] 삭제됨8889 20/09/07 8889
148244 [질문] 인스타그램 탈퇴시 다른 사람 계정에 남긴 댓글, 좋아요 [1] 웃음대법관8111 20/09/07 8111
148243 [질문] (주식) 삼성전자 vs 삼성전자우 [8] 공부맨8256 20/09/06 8256
148242 [질문] 카카오뱅크 비상금대출로 주택청약 담보대출을 막는게 나을까요? [1] 회전목마6046 20/09/06 6046
148241 [질문] 어플개발 도서추천 [7] 교자만두5940 20/09/06 5940
148240 [질문] 샤로수길 근처 맛집 [7] 오하영6089 20/09/06 6089
148239 [질문] 실비보험사를 자동차보험사랑 같은걸하면 이득이 있나요? [3] 회전목마6801 20/09/06 6801
148238 [질문] 갤럭시탭s6 / 갤럭시탭s7+ 성능 차이가 큰가요? [14] 기억의습작8369 20/09/06 8369
148237 [질문] 외장하드 추천 좀 해주세요 [2] 린 슈바르처5585 20/09/06 5585
148236 [질문] 영화나 드라마 추천좀 해주세요 [3] TAEYEON5545 20/09/06 5545
148235 [질문] 구형 플스4가 소음이 심해졌습니다.. [4] -PgR-매니아5992 20/09/06 5992
148234 [질문] 랑야방:권력의 기록 볼때마다 좀 깨는게 있는데요 [6] 삼성전자6653 20/09/06 6653
148233 [질문] 맥북에어 게임 질문입니다 [2] Clayton6068 20/09/06 6068
148232 [질문] 예전에 읽었던 추억의 학습만화를 찾고 있습니다. 강미나4962 20/09/06 4962
148231 [질문] 부팅이 안되는데 한번 봐주시겠어요?ㅜㅜ [7] 유니꽃7004 20/09/06 7004
148230 [질문] 스콘이랑 에그타르트 밀봉포장 없이 하루 지나도 괜찮을까요? [1] 아카데미5086 20/09/06 5086
148229 [질문] 아이패드 배터리 약간 부푼거 사용해도 되나요?? [1] 삭제됨5330 20/09/06 5330
148228 [질문] 스마트폰 갤러리 구글 포토 연동 질문입니다. 부기영화6441 20/09/06 6441
148227 [질문] 조수석 바닥매트에 커피를 쏟았습니다. [1] 계란말이6377 20/09/06 6377
148226 [질문] 마이너한 구파일방이 주인공인 무협 추천해주세요 [8] 세종7431 20/09/06 7431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