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6/26 16:04:16
Name 류지나
Link #1 https://www.yna.co.kr/view/AKR20200624195351002?input=tw
Subject [질문] 주식에 양도 소득세를 물리겠다는게 어떤 뜻인가요?
https://www.yna.co.kr/view/AKR20200624195351002?input=tw



사례 예시들을 보니까 주식으로 2천만원을 버는 선까지는 세금이 공제인데

2천만원 넘게 벌면 양도소득세를 물리겠다는걸 보면 세율 엄청 올리는거 같고


쪼개서 이익을 내는걸로 회피할 수도 없게 1년 주식 수익으로 세금을 물리겠다인데

1년에 2천만원 이상 수익을 내는 사람은 이미 개미가 아니니까 일반인들에게는 영향이 없는 법안일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06/26 16:19
수정 아이콘
일반적으로 연10%대 수익률이면 첨 볼때는 낮아보이기는 하는데 경실련이 주장하는 통계에 의하면 엄청나게 오른 서울 아파트 중위값이 3년동안 52%가 오른거니까 1.1*1.1*1.1=1.331 => 33%수익이면 서울아파트만큼은 아녀도 꽤 큰 수익이라고 볼수 있겠죠.

이러한 10%수익으로 계산할 때 수익을 2천만원 내기 위해서는 2억원을 투자해서 얻는건데 재산 중 2억원을 투자하여 10%대의 수익을 얻는 사람을 일반이라고 보기는 힘들지 않을까요.
블랙숄즈
20/06/26 16:20
수정 아이콘
실현수익이 2,000만원 이상이면 이상인 분에 대해서 과세를 합니다.
2,500만원을 벌면 500만원에 대해서만 20% 세율을 적용하니 100만원을 세금으로 내게 됩니다.
일반인의 기준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제 기준으로의 일반인은 걱정안해도 될 것 같아요..
그리고 "쪼개서 이익을 내는걸로 회피할 수도 없게 1년 주식 수익으로 세금을 물리겠다인데" 이부분은
사실 대부분의 소득세 이런식이라 주식에 대한 양도소득세만 특별하다고는 하기 힘듭니다.
한달에 100만원 버는거랑 일년에 10월달에만 1200만원 버는거랑 세금은 같으니깐요,,
20/06/26 16:21
수정 아이콘
다만 부동산 정책이 그렇듯이..이 정부가 하는 정책은 일단 지르고 나서 나중에 수정하는 경우가 너무 많아서..(임대사업자, 주택시장안정화) 나중에 일반인에게도 영향이 올 수는 있다고 봅니다.
20/06/26 16:35
수정 아이콘
손실분은 다음해 이월해서 공제받을 수 있다는 부분이 궁금하네요...몇년치까지 이월이 가능하려나 ;;;
기사 보면서 드는 생각은....양도세 많이 내고 싶다...네요 ;;;
coolasice
20/06/27 10:01
수정 아이콘
3년이라는 썰이 있습니다
20/06/26 16:43
수정 아이콘
아 본문 내용에 대해 말씀드리면
주식시장에서 년 2천만원 수익을 기준으로 개미를 구분 할 순 없을 것 같아요 (저도 마지막 투자가 2천 넣고 2천 벌었던거라)
개인적인 감상으론 일반인을 타켓으로 한건 아닌것 같지만 일반인도 종종 가능한 정도...라고 보여집니다
거래세는 좀 더 내려서 0.5면 좋겠네요 ;;
이혜리
20/06/26 16:51
수정 아이콘
소급해서 이월결손금 해달라,
올해만 벌써 천만원 손실이다.
브라이언
20/06/26 17:06
수정 아이콘
손해 10년보다가 한해 수입내면 바로 세금 크~
20/06/26 17:26
수정 아이콘
본문 링크된 기사 보시면 손실금 이월 된다고 하네요 몇년치까지 소급 적용될진 안 나왔지만요
20/06/26 17:09
수정 아이콘
1년에 2천 이상 버는 사람들이 한국 주식시장에서 발 빼면 개미한테도 영향이 간다..고 하더군요. + 공제 줄어들 가능성
매일매일
20/06/26 17:20
수정 아이콘
해외주식은 250만원 이상에서 양도소득세 부과하는데 2천만원 기준이면 뭐... 연 2천 벌면 기분좋게 세금 내겠습니다 크크
Lord of Cinder
20/06/26 22:18
수정 아이콘
주식에 큰 돈을 넣는 사람들이라면 굳이 한국 주식에 돈을 넣을 유인이 줄어들게 되겠죠. 자금 자체가 한국 증시에서 빠져나가면 주가의 흐름에도 제약이 생길 거고요. 세금을 감수하더라도 큰 수익을 노릴 수 있는 요즘 유행하는 바이오 테마주 같은 거 아닌 바에야 굳이 소위 말하는 한국의 저평가 고배당 우량주에 돈을 넣느니 그냥 미국 증시에 있는 저평가 고배당 우량주에 넣는 게 낫죠.
아르네트
20/06/27 01:38
수정 아이콘
사실 평범한 일반인에겐 조금이나마 이득이 분명하고요. 문제는 저기서 손해를 볼 상위 5%가 시장을 뜰 경우 전체 시장에 충격을 주니 문제인거죠. 그러니까 너도나도 미국주식으로 갈거같아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6257 [질문] 종로 일대 가성비 맛집 관련 여쭤봅니다. 정상을위해4264 20/06/30 4264
146256 [질문] 같은 팀 타부서건물 상사가 노트북을 가져와서 일하라고 하는데 가져가야하나요? [13] 이바라쿠6882 20/06/30 6882
146255 [질문] 미개봉 아이패드 프로4 애플케어플러스 가입? [2] 쭈루룩쭈루룩6866 20/06/30 6866
146254 [삭제예정] 전세대출 진행중인데 집 팔수가 있나요? [2] 삭제됨5095 20/06/30 5095
146253 [질문] 스타벅스 레디백은 아침 줄서기하면 받을 수 있나요? [3] zzzzz5485 20/06/30 5485
146252 [삭제예정] 예비부부 중 1인이 분양받은 아파트 명의 문제 [46] 삭제됨7930 20/06/29 7930
146251 [질문] 컴퓨터 견적 문의합니다. [7] 금천한량6456 20/06/29 6456
146250 [질문] 자전거는 가성비가 이뤄지는 지점이, 어느정도 가격대일까요? [14] 마르키아르6037 20/06/29 6037
146249 [삭제예정] "4대보험 별도"가 정확히 어떤 의미인지요? [3] 삭제됨5944 20/06/29 5944
146248 [질문] [하스스톤] 야생 뽑을 덱 질문드려요 [8] likeatel5638 20/06/29 5638
146247 [질문] 사무용 컴터 이걸로 구입해도 될까요? [8] 우그펠리온5315 20/06/29 5315
146246 [질문] 쓸개용종이 심각한 건가요? [5] 비싼치킨4859 20/06/29 4859
146245 [질문] 지금 시점에 아이폰 체험용 장난감으로 아이폰 8 괜찮을까요? [9] limitedaccess5256 20/06/29 5256
146244 [질문] (부동산)6월 28일자 주택구입 계약시 전입의무? [1] 흐규4328 20/06/29 4328
146243 [질문] 중고차 구입 질문입니다. [13] retera4810 20/06/29 4810
146242 [질문] CGV 영화 티켓 나눔 혹시 해도 될까요?? [19] 리버풀4184 20/06/29 4184
146241 [질문] 휴대폰 기변 관련해서 조언 부탁드립니다. [4] 위미4810 20/06/29 4810
146240 [질문] 컴퓨터 업그레이드 예정인데 한번만 봐주세요~ [16] 스위치 메이커5624 20/06/29 5624
146239 [질문] 극성수기에 처음으로 동해바다로 휴가예정인데 차 많이 막히나요? [31] 목캔디6069 20/06/29 6069
146238 [질문] 일본맥주 구입처 질문입니다. [7] 부처6388 20/06/29 6388
146237 [질문] 쉽고 시원시원한 핵앤슬래시 없을까요? [28] 모나크모나크6529 20/06/29 6529
146236 [질문] 용과같이 시리즈 질문입니다. [17] 카서스5636 20/06/29 5636
146235 [질문] 사무용 가성비 무선 마우스 키보드 추천 부탁드립니다. [14] aura5507 20/06/29 550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