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6/22 14:34:20
Name 김유라
Subject [질문] 입문 음악작업용 노트북 견적 확인 좀 부탁드립니다.

예전에 삼촌집 컴터 고쳐줌 - 갑자기 고기 사줌 - 막내사촌 노트북 견적좀 봐달라 - 고기값으로 오키

이런 순입니다.

그래서 가격별로 적당히 추렸습니다. 다들 컴맹이시니 브랜드는 AS 쉽도록 삼성/LG는 픽스했고 그래픽카드는 아예 선택지에서 제외했습니다.


그런데 제가 잘모르는 분야가 있어 난항을 겪고 있습니다.

제목에도 있듯이, 막내 사촌동생(중1)이 신디사이저로 음악 작업같은걸 조금 하고 싶다하더라고요. 그런데 제가 이쪽으로 문외한이라서요.

이게 사양을 어느정도로 타는건지 감이 잘 안옵니다. 나이가 중학생이니 전문적으로 한다기보다는 입문/취미쪽일 확률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지금 견적은,

1. (379) 4세대 i5 / 4G / 500HDD / 1.6kg
2. (569) 6세대 i5 / 8G / 256SSD+500HDD / 1.8kg
3. (779)  7세대 i5 / 8G / 128SSD / 1.3kg
4. (879) 8세대 i5 / 8G / 256SSD / 1.9kg

이 정도인데... 괜찮을지 모르겠네요. 적당할까요?

그리고 최소 비용으로 적정선은 어느 정도가 좋을까요? 램을 4GB로 가져가도 괜찮을까요?


궁금한게 많네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06/22 14:50
수정 아이콘
음악 작업하는데는 CPU보다는 램이 좀 더 중요합니다.. 6세대 + 16G정도가 적당해 보이네요.
jjohny=쿠마
20/06/22 15:1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전문가는 전혀 아니고 취미로 여기저기 기웃거려본 경험에서 말씀드립니다)

+1 램 중요하고, 사실 사양 못지 않게 어느 소프트웨어를 쓸지도 중요합니다. 혹시 사용을 희망하는 소프트웨어가 정해져 있다면 거기에 맞출 필요가 있습니다.
잘 모른다면, 사실 입문용 소프트웨어로는 가라지밴드(무료, 혹은 5불 정도)가 압도적으로 좋습니다. 나중엔 상위(전문가용)버전인 로직 프로 X(25만원)로 넘어가기도 좋고...
다만 둘 다 맥OS에서만 쓰는 거라 맥북이 필요합니다. 다만 맥북 신품은 무조건 100만원 넘으니까, 예산범위에 맞춰서 중고 맥북을 구해볼 수도 있겠네요.
윈도우에서도 이것저것 써보긴 했는데 요즘 윈도우 쪽에서 취미용으로 뭘 많이 쓰는지는 잘 모르겠네요. 역시 제일 유명한 건 큐베이스일텐데, 전문가용이고 너무 비싸서... 유료 툴의 무료버전(studio one prime 등)도 쓸만할 수도 있는데, 일단 본인이 어떤 작업들을 하고 싶은지에 따라 다를 겁니다. 몇 년 전에 유명 SW인 케이크워크가 무료로 풀렸는데, 저는 잘 안 맞아서 별로 안써봐서 어떤지 잘 모르겠습니다
지켜보고있다
20/06/22 15:50
수정 아이콘
쿠마님 댓글도 그렇고
저도 문외한이지만 음악쪽은 맥이라 알고 있는데
2016 맥북 12인치 어떨까요?
https://support.apple.com/kb/SP741?viewlocale=ko_KR&locale=en_AL
20/06/22 16:00
수정 아이콘
일단 DAW 를 뭘 쓰고 싶은지가 중요합니다.
로직이나 에이블턴이면 맥북프로 중고를 사는게 좋고
fl이면 윈도우 랩탑이 좋겠네요.
요즘 신디사이저 vst (daw 안에서 돌리는 소프트웨어)들은 cpu 사양도 많이 요구합니다.
윗분이 말한대로 맥에서 제공하는 가라지밴드로 시작해서 -> 로직이나 에이블턴으로 가는것도 방법입니다.
20/06/22 16:12
수정 아이콘
음악 작업을 하고 싶은거라면.. 맥북 사주는게 가장 좋습니다... 평균적으로는...

일본 녹음실들도 그렇고. 한국 녹음실들도 맥 쓰는곳이 훨씬 많아서..
(최근 놀면뭐하니에서 작곡가들 사무실 들른것만 봐도 다 맥...)

단지 정말 가볍게 끄적.. 이고 싶은거라면 윈도우 랩탑에 램 + CPU에 힘 빡 주시면 좋습니다. (램에 비중 더 높게)
부기영화
20/06/22 16:28
수정 아이콘
음악 작업은 실시간으로 처리하는 것도 많고, 나중에 믹싱, 마스터링 시 CPU 도 많이 사용합니다. 그래픽카드 빼고는 거의 게이밍 노트북 급으로 성능/사양이 좋아야 합니다.
맷데이먼
20/06/22 18:03
수정 아이콘
DAW와 가상악기 뭘 쓰는지에 따라 조금 다르겠죠.. 꼭 로직 때문이 아니더라도 이래저래 편하게 쓸 수 있는건 맥인 것 같구요..
omnisphere 같은거 악기 여러개 걸면 어쩔 수 없이 딜레이가 있긴 하더라구요. CPU/메모리 높은 것에다 오디오 인터페이스 함께 도입해서 사심 될 것 같습니다.
맷데이먼
20/06/22 18:05
수정 아이콘
아 큰 비용 없이 우선 입문으로 시도해보고 싶으시면 Cakewalk가 무료로 풀린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DAW).당장 이것 저것 해보실 수 있으니 보유하고 계신 컴퓨터에 깔아서 한 번 해보시면 어떨지요?
김유라
20/06/22 18:33
수정 아이콘
음... 어렵네요 @.@.

결론은 맥북사라 / 아니면 CPU+램 빵빵하게 요 정도인가보군요. 일단 가성비로 추린 저 리스트주고 음향작업은 따로 말씀드려야겠네요! 다들 감사합니다.
20/06/22 19:32
수정 아이콘
소프트웨어를 뭘 쓸지를 먼저 정하셔서 애플로 갈지 윈도우드로 갈지 결정해야합니다
20/06/22 22:55
수정 아이콘
입문용이잖아요. 제가 맥으로 음악작업 끄적끄적 작업하는데 가라지밴드만한게 없습니다. 그걸로 곡 하나라도 만들고 나면 이후에 가도 됩니다. 무료이기도 하고 일단 악기도 충분합니다. 입문용으로 음악 만들기에는요.
20/06/23 11:11
수정 아이콘
램 무조건 최소 16에 웬만하면 맥북으로 추천합니다
jjohny=쿠마
20/06/23 13:00
수정 아이콘
첨언하자면, 윗분들 말씀처럼 사양(특히 램)은 다다익선인 게 맞는데, 너무 높은 사양을 추구하다보면 진입장벽이 너무 높아지다가 아예 입문을 포기하게 될까봐 조금 걱정되기는 합니다.

- 저는 문방구에서 파는 싸구려 마이크를 넷북 마이크 단자에 연결해서 목소리/기타 녹음하는 것으로 처음 음원작업에 입문했습니다. 이후 몇 년 동안 이것저것 만져보다가 램 4GB짜리 중고 2011년형 맥북프로에서 가라지밴드 돌리는 걸로 맥북 입문했습니다. 맥OS 자체가 낯설었음에도 불구하고 가라지밴드가 너무 우수해서 윈도우에서 쓰던 어떤 프로그램보다 만족도가 높았습니다. 이후 같은 컴에서 로직프로X 구매해서 돌리면서 지금까지 취미 뽕은 충분히 뽑았다고 생각합니다. 자기만족할 만한 작업물도 많이 만들어냈구요.

- 물론 작업량이 커진 프로젝트 같은 경우는 램이 부족해서 종종 프로그램이 뻗기도 하는데요, 뻗으면 그냥 다시 켜서 돌립니다. 사양에서 한계를 느끼니 업그레이드를 해볼까 싶은 생각이 들다가도, 저는 취미에 더 돈 쓰고 싶은 생각은 아직 없어서 그냥 둡니다. 다만 저는 이런저런 경험이 많아서 그냥 '뻗으면 뻗나보다' 하는 생각으로 다시 켜곤 하는데, 처음부터 그렇게 사양 때문에 고생하게 되면 그것도 진입장벽이 될 수도 있겠죠.

- '신디사이저로 음악 작업같은걸 조금 하고 싶다'라고 하셨는데, 이게 구체적으로는 상당히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본문에서 말씀드렸듯이 가장 좋은 건 '본인이 구체적으로 뭘 하고 싶어하는가'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물론 이제 막 시작하는 단계에서 뭘 어떻게 하고싶은지가 구체화되지 않았을 수도 있는데, (그렇다면 더더욱 맥북/가라지밴드를 추천합니다!) 일단 사촌분한테 이 글 댓글들을 보여주고 같이 생각해보시는 것도 방법일 것 같습니다.

- 그리고 가지고 계신 신디사이저가 어떤 모델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원활한 음악작업을 위해서는 아마 저렴한 것으로라도 미디 인터페이스나 오디오 인터페이스도 함께 구매하시는 게 나을 겁니다. 물론 없어도 이케저케 할 수는 있는데, 있으면 훨씬 편합니다. (위에서 말씀드린 진입장벽을 낮출 수 있습니다)

[결론]
- 웬만하면 맥북 해주세용. 신품이 가능하면 신품하면 좋겠지만, 예산범위상 애매하면 상태좋은 중고라도?
- 사양은 높을수록 좋지만, 그러다 가격부담 때문에 포기하지는 않는 선에서 해주세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6146 [질문] 미니 에어컨을 사용해보신 분들의 후기가 궁금합니다! [12] 싸우지마세요6114 20/06/25 6114
146145 [질문] 만화영화 하나만 더 찾아주세요! [14] 쏘군5021 20/06/25 5021
146144 [질문] 라오어2 엔딩보신분들께 질문(스포x) [11] 김소현5226 20/06/25 5226
146143 [질문] LOL 듀오 하실 분 있나요? [1] 시한부잉여4282 20/06/25 4282
146142 [질문] 청약정보 어디서 얻나요? [4] 밥잘먹는남자5663 20/06/25 5663
146141 [질문] 치아보험 질문입니다. [1] 삭제됨3741 20/06/25 3741
146140 [질문] 국가의 경제 형태(?)를 파악하기 위한 항목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1] 오늘보다 나은 내일4650 20/06/25 4650
146139 [질문] 이 곡 제목은 무엇인가요???(악보첨부..) [10] 표절작곡가4615 20/06/25 4615
146138 [질문] 강남역이나 학동역 근처 소개팅장소 추천 부탁드립니다 [10] 고장난라디오6227 20/06/25 6227
146137 [질문] [골프] 초보용 아이언 추천 부탁드립니다. + G410 풀세트 [6] 한량기질5041 20/06/25 5041
146136 [질문] 노트북과 구형 TV를 동글이로 연결 가능할까요? [8] 마지막좀비6717 20/06/25 6717
146135 [질문] 세입자의 관리비체납 [6] 물멱6329 20/06/24 6329
146134 [질문] 화학 관련 커뮤니티나 질의응답할 수 있는 곳이 있을까요? [6] 쌍둥이아빠6121 20/06/24 6121
146133 [질문] Pc-fi 설정 질문(오디오) [6] 검암동위즈원5632 20/06/24 5632
146132 [질문] 카카오페이지 무협소설 추천부탁드립니다. [14] Restar6403 20/06/24 6403
146131 [질문] 스카이림 모드 플레이에 대해 질문드려요 [4] 코시엔4975 20/06/24 4975
146130 [질문] 보증금문제요 [3] 푸들은푸들푸들해4315 20/06/24 4315
146129 [질문] 일본에서 가장 맛있는 스시집은 어디인가요? [3] 웅진프리5581 20/06/24 5581
146128 [질문] 꼭 해봐야하는 게임 추천 좀 해주세요. [19] 시그마7163 20/06/24 7163
146127 [질문] 겸직 관련 법? 공인중개사 명의 대여 관련 질문 [10] 이혜리6139 20/06/24 6139
146126 [질문] 발이 너무 저린데 이유가 무엇일까요...? [12] 똥꾼5149 20/06/24 5149
146125 [질문] 이 조립pc 견적 어떤가요?(feat. 쿠팡) [7] Liverpool FC6936 20/06/24 6936
146124 [질문] 중2 수학 관련 질문입니다 [22] iambori5275 20/06/24 527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