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6/18 08:58:05
Name AKbizs
Subject [질문] 깡을 기르려면 뭘하는게 좋을까요?




여느날과같이 멍때리며 월급루팡하던중에 문득 의식의 흐름대로 사고가 진행이 됐는데

1. 누군가와 시비가 붙었다.
2. 현대문명인으로서 시비가 털렸을땐 튀는게 제일이나 차선은 안전하게 처맞고 법적승리를 하는것이다.
3. 어? 맞을생각하니 무섭네?

하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크크크크크크

한번도 '맞는다'란 생각을 해본적이 없다보니 누군가에게 맞을 생각을 하니깐 '잘 맞을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들면서 겁이나더군요.

속칭 깡따구가 모자란거 같은데 이 깡을 키우려면 뭘하는게 가장 좋을까요? 당장 생각나는건 복싱을 한번 배워볼까 하는 생각이 들긴하는데

조언 부탁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06/18 09:02
수정 아이콘
무수한 드립의 향연이 펼쳐질 곳이군요. 딱 맞는 것에만 한정하자면 잘 맞는 방법은 많이 맞는거죠.
페로몬아돌
20/06/18 09:05
수정 아이콘
자신감을 키우는게 젤 좋죠. 내가 어느 방면을 잘 하게 되면 무서운게 줄어들져. 그게 운동이든 일이든 공부든
어랏노군
20/06/18 09:31
수정 아이콘
일단 가장 중요한 것은 자신감이다. 자신감이 없으면 깡을 만들려 해도 할 수 없다. 평소에는 과묵하고 내성적이며 소심해 보이는 사람이라 할지라도 깡이 꽤 되는 부류가 있는데, 이건 그 사람의 외적인 부분과는 별도로 그의 내면에는 자신이 비판을 받거나 불이익을 보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 자신감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흔히 깡이 있는 것을 싸가지 없는 것으로 착각하기 쉬운데, 차라리 자신이 싸가지 없어진다 생각하고 계속 깡을 키워 놓으면 어떤 것도 오기 있게 할 수 있을 것이다.

- 나무위키 펌 -
그말싫
20/06/18 09:31
수정 아이콘
위빙 연습을 하십쇼.
권투 선수가 그러는데 일반인이 휘두르는 펀치는 거의 슬로우모션급이라더군요.
아웅이
20/06/18 09:41
수정 아이콘
김동현 컨텐츠에서 일반인 펀치도 피하기 힘든걸로..
표절작곡가
20/06/18 14:51
수정 아이콘
여러 패널티가 있었죠.

일단 일반인이 스텝을 하면
프로는 그거 보고 다 피한다고...
윌모어
20/06/18 09:33
수정 아이콘
예기치 않게 인중이나 명치 같은 급소 잘못 맞으면 정말 큰일 벌어질 수 있기 때문에.. 깡을 키우는 것이 무조건 능사인 것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차라리 호신술, 호신용품을 알아보시거나 가급적 도망가되 불가피하게 맞아야 한다면 최대한 안전하게 맞을 수 있도록, 맷집 키우기 + 격투 전문가에게서 피해 최소화하는 법 등을 배워두심이...
폰지사기
20/06/18 09:41
수정 아이콘
반복된 경험이 제일 좋은데, 그 경험 만들려다가 큰일날수도 있습니다. 그냥 하지마세요...
김곤잘레스
20/06/18 10:11
수정 아이콘
시비가 털리면 바로 핸드폰 카메라를 켜십쇼.
타란티노
20/06/18 10:13
수정 아이콘
머리에 고프로 달고 다니기(?)
차기백수
20/06/18 10:21
수정 아이콘
답은 1일 3깡입니다
興盡悲來
20/06/18 10:24
수정 아이콘
한국다람쥐
루카쿠
20/06/18 10:39
수정 아이콘
음. 쥐어 터질 각오하고 자신 있으면 때려보라 하세요.
거기서 상대방이 머뭇거리면 "쳐보라고 XXXX야" 라고 욕도 해주시고요.
어지간한 장소엔 CCTV가 다 있고 블랙박스에 목격자에..
손찌검 하는 순간 얻을 게 하나도 없는데..
솔직히 쳐보라 했을때 자신있게 칠수 있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요.
주먹 휘두르기 쉬운 세상 아니니 자신있게 나가세요.
그리고 정말로 주먹을 좀 쓴다 하는 사람은 괜히 시비걸지 않습니다.
뭣도 아닌 사람들이 가호 잡고 싶어서 그러는거죠.
맞아도 별거 없을 가능성이 크단 거예요.
이런 경험 한번 하고 나면 없던 깡이 생기실거라 생각합니다.
참고로 제 경험담이었습니다.
Supervenience
20/06/18 23:37
수정 아이콘
그러다 이빨 두어개 날아가면 자기 손해죠
이혜리
20/06/18 10:58
수정 아이콘
일단 정상적인 사람이면 시비 붙을 일이 없습니다.
그럼에도 시비가 붙는 다면 그냥 도망 가세요. 깡이 뭐가 필요하나요.
This-Plus
20/06/18 11:07
수정 아이콘
일단 체중을 30kg정도 키우세욧
20/06/18 11:23
수정 아이콘
왜 맞습니까.. 달리기를 연습하십쇼 도망가면 됩니다
20/06/18 11:38
수정 아이콘
대처할 방법을 키우는게 가장 좋다고 생각합니다
써주신대로 복싱도 좋을것 같고요
저는 대학교때 미식축구 하면서 자신감이 많이 늘었습니다
20/06/18 11:48
수정 아이콘
mma체육관가서 1년만 구르셔도 일반인 상위 5퍼는 갈겁니다..
20/06/18 12:11
수정 아이콘
어릴 때부터 많이 부딪쳐보는 게 가장 좋긴 한데.. 복싱, 주짓수 등 무술을 배우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티파남편
20/06/18 12:27
수정 아이콘
전 광주 수완지구 폭행사건 보고 무조건 도망쳐야겠단 생각이...
20/06/18 13:05
수정 아이콘
반복밖에 없죠. 복싱 1년 스파링 최대한 많이 하기 추천드립니다.
스윗N사워
20/06/18 14:23
수정 아이콘
음... 격투기로 자신감을 키울 수 있다고 생각하는건 상대방보다 싸움을 잘 할 수 있을 때 나오는 자신감을 키우라는 말인데 그러면 비등비등한 사람 앞에서는 조금 도움이 될 지 몰라도 결국 본인보다 체격이 많이 크거나 운동경력이 오래 된 사람 앞에서는 깨갱하게 됩니다.

물론 운동을 해서 정신력과 체력을 키우는 것은 뭘 하더라고 도움은 됩니다.

다만 진짜 깡과 자신감은 대단한 운동경력이나 근력에서 나온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일상생활과 삶의 중요한 순간에서 꾸준히 차근차근 키워나가보시길 바랍니다.
나막신
20/06/18 14:31
수정 아이콘
진짜 잃을게 없어지니까 깡이라고 해야되나요 그냥 겁이없어지긴 하더라구요. 끽해야 죽기밖에 더해? 마인드
20/06/18 16:25
수정 아이콘
타고 나야 한다 생각합니다.
20/06/18 20:44
수정 아이콘
복싱인것 같아요. 때리는것도 맞는것도 피하는것도..
FreeSeason
20/06/19 01:47
수정 아이콘
새우깡 먹는것도 괜찮죠.
아델라이데
20/06/19 17:13
수정 아이콘
주짓수 + 헬스 하시면 없던 자신감도 생기실듯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6029 [질문] 장례식 질문입니다 [5] 마제스티5138 20/06/21 5138
146028 [질문] (야구)MLB의 어떤 상황인데 이해가 안갑니다. [10] 트린다미어7274 20/06/21 7274
146027 [질문] 누군가의 잘못에 대해서 어떻게 판단하시나요? [13] 삭제됨4972 20/06/21 4972
146026 [질문] mac os 터치 기능 끄는 법.. [1] 행복의시간4762 20/06/21 4762
146025 [질문] 자동차를 첨사는데.. 사게되면 무엇무엇을 해야하나요? [13] 크로미4965 20/06/21 4965
146024 [질문] 화장품 왜 이렇게 비쌀까요 [20] 아니이걸왜들어가6781 20/06/21 6781
146023 [질문] [LOL] 채팅 차단 질문 [8] Lewis4779 20/06/20 4779
146022 [질문] 로봇청소기 사용 궁금합니다. [2] 熙煜㷂樂4706 20/06/20 4706
146021 [질문] 중고차 하이패스단말기는 그냥사용하면되나요? [5] 비니루다8207 20/06/20 8207
146020 [질문]  오라클 이랑 mySQL 이랑 차이가 있는거 같은데.. [2] 도이5282 20/06/20 5282
146019 [질문] 흰둥이, 까미 < 영어로 번역하면 뭘까요? [11] 밸런스11652 20/06/20 11652
146018 [질문] 자취방 드럼세탁기 악취 [5] Cavok6547 20/06/20 6547
146017 [질문] 버즈 플러스 음질이 너무 안 좋습니다. [10] 귀여운호랑이5073 20/06/20 5073
146016 [질문] 기억 속의 웹툰을 찾습니다 [10] 프롬5393 20/06/20 5393
146015 [질문] 에어 서큘레이터 쓸만한가요? [4] 농심신라면5196 20/06/20 5196
146014 [질문] 나무위키 팬 서비스란을 보고 질문 드립니다... 잘가라장동건4040 20/06/20 4040
146013 [질문] 모니터 구입 질문있습니다. [3] 나코는진리5334 20/06/20 5334
146012 [삭제예정] 지금 대구 방문해도 될까요? [10] 삭제됨5976 20/06/20 5976
146011 [질문] 영화)결백, 사라진시간 뭐가 볼만한가요? [5] DAUM4554 20/06/20 4554
146010 [질문] 결혼하신 유부남 또는 오랜연인관계를 유지하는 분들에게 질문 [31] 잠만보스키8406 20/06/20 8406
146009 [질문] 험블번들 질문이에요. [11] 교자만두4699 20/06/20 4699
146008 [질문] [질문] 수면에 도움이 되었던 영양제가 있을까요? [17] 등짝을보자5713 20/06/20 5713
146007 [질문] 중고차 관련한 선택 문의 [2] 삭제됨4557 20/06/20 455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