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6/18 02:22:34
Name 블루레인코트
Subject [질문] 생활체력을 기르러면 웨이트 유산소 어느쪽이 좋을까요?
40대가 되다보니 일하는것도 체력이 달려서 너무 힘드네요.

운동을 좀 해볼까 하는데 어깨가 안좋아서 무게는 못칩니다.

해도 가볍게 해야할것 같아요.

유산소와 웨이트 어떤것이 좋을까요?

요즘은 가벼운 경사만 올라도 숨이 헐떡이는것이 늙어서 곧 죽을것만 같네요 ㅡㅡ

경험자분 좀 알려주세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콩사탕
20/06/18 02:27
수정 아이콘
둘중 하나만 한다면 웨이트하세요. 어차피 웨이트 할 때 숨 쉬니 유산소에 포함이죠. 글구 근육이 붙어야 몸에 글리코겐이 저장이 많이 되어 체력이 늡니다.
20/06/18 02:34
수정 아이콘
일상체력에는 유산소 >>>> 웨이트입니다
qpskqwoksaqkpsq
20/06/18 03:01
수정 아이콘
유산소는 한달만 제대로해도 체감됩니다. 유산소해도 체력에 중요한 근육은 다붙구요 자전거 러닝 수영 전부..
동네형
20/06/18 03:13
수정 아이콘
당연히 둘다죠
데로롱
20/06/18 08:04
수정 아이콘
효과는 유산소가 압도적으로 좋습니다
ioi(아이오아이)
20/06/18 08:04
수정 아이콘
웨이트를 쇠질로 표현하는 걸 말하시는 거라면 굳이 안하셔도 됩니다만

제가 알기론 웨이트에 스쿼트, 런지, 플랭크 같은 것도 포함 되는 거라, 둘 다 하셔야 할 겁니다.
소이밀크러버
20/06/18 08:34
수정 아이콘
둘 다 하시면 되죠. 거창하게 생각하지 마시고 일단 하루에 팔굽혀펴기 힘들때까지 해서(비록 조금이라도) 3세트, 달리기 5분해서 15일 해보세요.
조말론
20/06/18 08:37
수정 아이콘
시간 투자를 얼마나 하실지는 몰라도 아마 하루에 한번만 한다면 체력과 근력 올인 시키기 전까지 얼마 안걸릴겁니다 둘다 하세요
20/06/18 08:43
수정 아이콘
제가 유산소 1, 웨이트 99 비중으로 하는데
웨이트 해도 말씀하시는 체력 좋아진다는 느낌 거의 안듭니다.
웨이트 할 체력만 늘어나는 느낌?
유산소 하세요
마리오30년
20/06/18 09:09
수정 아이콘
사실 웨이트만으로도 무게나 반복수 설정을 통해 유산소로 만들수도 있는거라...
밥오멍퉁이
20/06/18 09:25
수정 아이콘
기능성운동을 하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스포츠클라이밍,등산,수영,자전거 이런거요.
체형과 상관없이 기초체력은 이런 운동들을 하다보면 자연스레 늘어있더라고요.
비슷한걸로 주짓수, 복싱, 태권도, 유도, 레슬링 성인반들도 있겠구요.
의외로 댄스도 상당히 운동됩니다.
stoncold
20/06/18 09:52
수정 아이콘
일상생활에서 '체력'이라 하는건 99% 심폐지구력이기 때문에 당연히 유산소 운동 쪽이 훨씬 체감이 잘 되실 겁니다.
人在江湖身不由己
20/06/18 10:03
수정 아이콘
버피를 하십시오
김곤잘레스
20/06/18 10:15
수정 아이콘
둘 다긴 한데...유산소, 그중에서도 인터벌이 최곱니다.
시니스터
20/06/18 10:24
수정 아이콘
컨디셔닝이나 인터벌
20/06/18 10:29
수정 아이콘
유산소, 그중에서도 인터벌이 최곱니다.(2) 크로스핏 하세요 말씀하시는 체력 붙는건 직빵입니다.
20/06/18 15:30
수정 아이콘
어느정도 무거운 가방 + 발목에 무거운 모래주머니 조합으로
등산이 제일 현실적으로 좋더라고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6057 [질문] 핸드폰내 사진 (대량) PC로 옮기는 법 [12] 토니파커5757 20/06/22 5757
146056 [질문] 스포없이 롤 다시보기 어떻게 하세요? [9] WHIPLASH7272 20/06/22 7272
146055 [질문] 입문 음악작업용 노트북 견적 확인 좀 부탁드립니다. [13] 김유라7172 20/06/22 7172
146054 [질문] 아이코스 사용자분께 여쭙니다. 리퍼교환 관련 [2] Part.35156 20/06/22 5156
146053 [질문] 공유기 추천 부탁드립니다. [10] 1절만해야지7678 20/06/22 7678
146052 [질문] 메모리폼과 라텍스는 많이 차이날까요? [3] 분당선5905 20/06/22 5905
146051 [질문] 스마트폰 상태바에 이상한 아이콘이 생겼습니다.. [1] 콜라제로4822 20/06/22 4822
146050 [질문] 개발자 컴퓨터 새로 맞추는거 관련 질문 [7] 오클랜드에이스4977 20/06/22 4977
146049 [질문] 피파20 질문입니다. [2] 교자만두4612 20/06/22 4612
146048 [질문] 영어 논문 읽을 때 단어 찾아주는 프로그램 [2] Nightwish6155 20/06/22 6155
146047 [질문] 운전면허 기능시험 속성 강의 문의 [8] 삭제됨4866 20/06/22 4866
146046 [질문] 이런 몸을 가지려면 얼마나 운동해야할까요? [10] 갓럭시6836 20/06/22 6836
146045 [질문] 스팀 게임 최저 사항 질문입니다. [1] 고도칸황5154 20/06/22 5154
146044 [질문] 모쏠에 관한 짤을 찾습니다. [2] 쿨럭4628 20/06/22 4628
146043 [질문] 엄마 고양이가 가끔 새끼 고양이 물던데 왜 그럴까요? [8] norrell6058 20/06/22 6058
146042 [질문] 혹시 마사지 주치의(?) 같은 개념의 서비스가 있을까요 [1] SaiNT4007 20/06/22 4007
146041 [질문] 매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관련 질문이여 [9] 중복체크7136 20/06/22 7136
146040 [질문] [클래식]슈만 좋아하시는분 계신가요? [3] 불대가리5132 20/06/22 5132
146039 [질문] 왜 한국사람이나 아시안의 영어 발음이 더 잘 들리는 걸까요? [10] 트와이스정연5839 20/06/22 5839
146038 [질문] 위스키 추천좀 해주세요!!! [18] 비둘기야 먹쟛6240 20/06/21 6240
146037 [질문] 65인치 삼성 티비 구매 [6] 두딸아빠5416 20/06/21 5416
146036 [질문] 컴퓨터 견적 질문드립니다! [7] 멘칼리난4999 20/06/21 4999
146035 [질문] 아기방에 설치할 홈cctv 추천해주실분계신가요? [5] 공노비5080 20/06/21 508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