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6/15 15:31:19
Name 똥꾼
Subject [질문] 깊이 있는 독서를 위해서 역사, 철학 공부는 필수일까요?

책을 읽으며 글을 남기고, 같은 책을 읽은 다른 이의 글을 찾아 보고는 하는데요
우연일 수도 있겠으나, 같은 책을 읽고도 넓고 깊은 사유로 좋은 글을 쓴 분들의 기록을 뒤져보면
역사와 철학에 대한 공부가 선행되었더군요.

어떤 종류의 책이든 깊은 독서와 글쓰기를 위해서는
언젠가는 철학 공부를 다지고 가야 할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06/15 15:46
수정 아이콘
책을 읽으시다가 그때끄때 찾아보시는게 좋을거같아요. 철학은 너무 방대한양이라 먼가 준비하기엔 너무 오래걸릴거같애요
20/06/15 16:49
수정 아이콘
최소한 개론서+알파 정도는 알아야 무슨 소리를 하는지 알 수 가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죠.

문제는 읽다보면 끝이 없다는거죠 ㅠㅠ

밥벌이가 해결되셨다면(갓물주라던가 공무원이라던가 전문직이라던가...) 몰라도, 취미로라면 별로 추천하고 싶지는 않네요. 들어가는 노력대비 아웃풋이 너무 적어서요.
20/06/15 17:04
수정 아이콘
독서를 위해서 먼저 뭔가를 갖춰야지 생각하면 평생 못읽어요
아는만큼만 보면 되죠 뭐
20/06/15 17:12
수정 아이콘
꼭 필요한지는 모르겠고 개론 수준의 서양철학사만 좀 읽어도 어디가서 아는 척(?) 할 수는 있습니다.
불같은 강속구
20/06/15 18:27
수정 아이콘
감히 저 따위가 주제넘게 이런 말씀드리긴 좀 그렇지만...
꼭 책이 아니라 영화, 음악, 미술 등에 대한 감상을 쓸 때 말씀대로 '넓고 깊은 사유'로 좋은 글을 쓰려면
인문학, 즉 문.사.철 에 대한 기본 소양은 필수입니다.

그러나 어려운 책을 골라 힘든 독서 할 필요는 없습니다.
먼저 서양사, 동양사의 기본 흐름을 개관하는 쉬운 책을 읽으시고 (ex. <종횡무진 서양사, 동양사>)
그 후에 관심이 가는 나라나 시대의 역사에 대해 더 깊이 다루고 있는 책을 찾아 읽으세요. <고대 그리스의 영광과 몰락>을 읽다가 더 세부사항이 궁금해지면 <페르시아 전쟁>, <살라미스 해전> 이런 책들 읽으시면 됩니다. 로마사쪽을 보다가 포에니 전쟁에 대해 더 상세히 알고 싶으면 시오노 나나미의 <로마인 이야기> 2권을 읽고 , 카이사르가 궁금해지면 <로마인 이야기> 4, 5권을 읽으시면 되고요.

그리스 신화와 비극도 서양문화를 읽는데 필수인데 <이윤기의 그리스 로마 신화>처럼, 그림도 보면서 쉽게 쭉쭉 읽을 수 있는 책과 <그리스 비극 걸작선>, <그리스 비극 깊이 읽기> 정도면 충분합니다.

철학도 이런 식으로 접근하면 되는데 <누구나 한번쯤 철학을 생각한다> 같이 서양철학사 흐름을 조감해주는 책을 우선 읽으세요. 아마 외국 유명 서양철학사를 권하는 분들이 많을텐데 그럴 필요가 없습니다. 번역서 특유의 문체나 어투가 걸림돌이 되는 경우가 많아요. 어차피 초보를 위한 책이니 그냥 애초에 우리 말로 우리 독자를 위해 쉽게 쓴 책이 더 좋습니다. 그런 다음에 근대이후의 철학은 <철학과 굴뚝청소부> 를 통해 다시 보면 어느 정도는 얼개가 잡힙니다. 그 후에 철학자 개인의 사상을 더 풀어주는 해설서를 읽거나 더 깊이 들어가고 싶으시면 그 해설서에 언급되고 인용되는 원전까지 같이 보시면 됩니다.
동영상 강의를 듣고 싶으시면 아트 앤 스터디 (http://www.artnstudy.com/) 같은 곳을 이용하셔도 좋죠.

이렇게 역사, 철학 공부를 하면서 서양미술사도 훓으시면 정말 좋습니다. 곰브리치 <서양미술사> 같이 두껍고 텍스트 많은 책 말고 서점에 가셔서 시대순으로 미술사의 흐름을 서술한 책 중에 빨리 볼 수 있겠다 싶은 걸로 고르세요. 곰브리치의 서양미술사는 정말 좋은 책이지만 많은 분들이 오해를 하고 있는데 초보용이 아니고 아는 만큼 이해가 됩니다. 초심자들은 곰브리치가 행간에 담아놓은 의미를 전혀 모르고 지나치게 되거든요.


* < > 안은 제가 예전에 봤던 책들이라 예를 들어 써놨을 뿐입니다. 요즘엔 제가 책을 안읽어서 더 좋은 책이 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20/06/15 18:3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철학은 근본적인 문제들을 파고드는 학문이라 공부를 하다보면 생각을 깊게하는 훈련이 됩니다. 근데 그 문제들은 삶의 문제들이고 삶에 대한 실질적인 지식은 철학 아닌 학문들이 주고 그 지식 없이는 철학을 잘 할 수 없습니다. 특히 역사와 사회과학 공부가 중요합니다. 에릭 홉스봄의 역사서들과 아놀드 하우저의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와 E. M. 번즈의 <서양문명의 역사> 정도는 기본 도서로 갖춰 놓으시고 주류 경제학, 마르크스 경제학 포함한 마르크스적 역사사회과학론(역사유물론) 입문해 두시길.. 다 읽고 입문한 다음에야 철학 공부를 시작할 수 있다는 얘기는 아니지만 적어도 병행은 해야 하고 철학 공부에는 반드시 고전을 발췌 해서라도 직접 읽는 것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출발은 플라톤의 <국가>의 1장과 7장과 10장으로 하시고 이어서 나이절 워버턴의 저작 년도가 오래되지 않은 책들 중 철학사 포함한 두 세권과 스티븐 D. 헤일스의 <이것이 철학이다>로 넘어가고 마지막으로 칸트 철학과 니체 철학의 윤곽을 파악하기에 도전하시길.. <철학과 굴뚝청소부> 같은 책은 절대 읽으면 안 됩니다. 그 윤곽을 1시간 동안 고등학생이 알아 들을 수 있게 설명할 수 있으면 철학입문이 '일'단락 된 것입니다. 칸트의 저작은 발췌해서라도 읽을 필요 없지만 니체의 <도덕의 계보>는 반드시, 영역본을 대조해서, 직접 읽어야 합니다. 그 다음은 본인 하고 싶은 대로 진행하면 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5976 [삭제예정] 노래 제목 질문 초 고난도 [7] 라붐팬임5259 20/06/19 5259
145975 [질문] 여성용 카드지갑 추천 부탁드립니다. [6] 색마4465 20/06/18 4465
145974 [질문] 성경 본문을 해석하는 방법에 있어서? [19] 김낙원4937 20/06/18 4937
145973 [질문] 금정역에 늦게까지 여는 카페 있나요? [1] EPerShare4742 20/06/18 4742
145972 [삭제예정] 명훼,모욕으로 고소를 당했는데요..이게 맞나요? [30] 삭제됨8087 20/06/18 8087
145971 [질문] 윈도우를 새로 설치했는데 유게 트위치 클립에 오류 메세지가 뜹니다. [6] 유포늄6251 20/06/18 6251
145970 [질문] 학사 졸업 논문 질문 드립니다.... [9] 삭제됨4481 20/06/18 4481
145968 [질문] 화장실 휴지통 관련 설문(?)입니다 [12] 시무룩4726 20/06/18 4726
145967 [질문] 일요일 일식관찰도구 질문드립니다. [1] 먼산바라기6320 20/06/18 6320
145966 [질문] 전세살고있는 오피스텔이 경매로 넘어갈경우 [7] 좋습니다4685 20/06/18 4685
145965 [질문] 아이폰 키보드 아래 부문 질문입니다. [2] 삭제됨4487 20/06/18 4487
145964 [질문] 여운이 남는 만화책/영화 추천 부탁드립니다 [27] 손연재5949 20/06/18 5949
145963 [질문] 버즈 플러스 주변 소리 듣기가 이상합니다. [6] 귀여운호랑이5932 20/06/18 5932
145962 [질문] 7살 아들 게임용으로 동물의 숲 vs 포켓몬스터 뭔가 좋을까요? [17] 설탕가루인형형7169 20/06/18 7169
145961 [질문] 대북 삐라 관련한 질문입니다 [16] klemens25641 20/06/18 5641
145960 [질문] 메리어트 sc 공기숙박 질문입니다. [5] 부처8088 20/06/18 8088
145959 [질문] 팝송인데 제목 좀 알려주세요~ [5] 표절작곡가4012 20/06/18 4012
145958 [질문] 특정 프로그램을 매크로화 할 수 있나요? [5] goldfish4895 20/06/18 4895
145957 [질문] 깡을 기르려면 뭘하는게 좋을까요? [28] AKbizs9288 20/06/18 9288
145955 [질문] 생활체력을 기르러면 웨이트 유산소 어느쪽이 좋을까요? [17] 블루레인코트5906 20/06/18 5906
145954 [질문] 침대를 한 번도 안 써봤는데 어떤 매트리스가 좋을까요 [7] LowTemplar5815 20/06/18 5815
145953 [질문] 탁상 선풍기 추천 부탁드려요 [5] delaffe5299 20/06/17 5299
145952 [질문] 코딩 독학... [17] 어...8316 20/06/17 831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