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5/28 04:58:40
Name 구경남b
Subject [질문] 여러분에게 2천만원 정도 목돈이 생긴다면 어떤 제테크를..?

약 2천만원 정도 생긴다면요.

걍 저축은행 같은데다 얌전히 넣어 놓을까 싶기도 하고...

여러분이라면 뭘 먼저 하실 것 같나요?

제테크 하려는 금액 치곤 너무 적긴 하지만;;

이 분야에 대해 평소 생각 해 본 적도 없고 그래서 경험도 없고 해서 나이에 비해 세상물정을 너무 모르고 있긴 한 듯...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환경미화
20/05/28 05:15
수정 아이콘
(수정됨) ...
지니쏠
20/05/28 07:27
수정 아이콘
폰지사기 조심하세요..
폰지사기
20/05/28 08:47
수정 아이콘
저요?
나눔손글씨
20/05/28 07:47
수정 아이콘
폰지사기 조심하세요..(2)
내일뭐하지
20/05/28 07:55
수정 아이콘
그러다 일이 잘 안되서 얼마 더 넣어주면 한번에 주겠다. 반복하다보면 몇백이 억단위 갑니다..
콩사탕
20/05/28 08:25
수정 아이콘
연이율180%
20/05/28 09:03
수정 아이콘
이걸 조금만 생각해보면 얼마나 말이안되는건지 아실텐데. 요즘처럼 저금리로 돈빌리기 쉬운때가 없는데 신용대출 1년 이자 3%... 지인 이자 1년시 180%.. 빨리 연락하셔서 원금 확보하시길.
감전주의
20/05/28 09:51
수정 아이콘
이런거 뉴스에서 많이 나오던 레파토리네요
In The Long Run
20/05/28 10:46
수정 아이콘
;;;뭔지는 몰라도 불법적인 일에 원금 묶여있을 가능성 100%니까 원금 돌려받으세요...
환경미화
20/05/28 10:50
수정 아이콘
(수정됨) 1
사나없이사나마나
20/05/28 11:10
수정 아이콘
2천만원 빌려주면 다달이 300을 이자로 준다는건데, 일반적인 경우에 그게 가능할 리 없으니 사기소리가 나오는거죠.
강미나
20/05/28 11:24
수정 아이콘
원래 사기는 가까운 사람에게 당하는겁니다. 조심하셔서 나쁠 거 없습니다....
srwmania
20/05/28 15:04
수정 아이콘
친구분이 환경미화님에게 정말 각별한 우정을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이럴 가능성은 거의 없습니다.
걍 은행에서 돈 빌려다 쓰면 이자가 1/10 도 안 되는데 뭐하러 친구한테 이자를 10배나 줘가면서 돈을 빌리겠습니까?
20/05/28 15:39
수정 아이콘
요새 일반적인 이자율이 연간 2~3%잖아요.
좀 불리하게 빌려도 연간 5%구요
그럼 정상적이라면 친구분이 연 이자를 40~100만원만 내면 되는데
님께서 말씀하신 월 15%라고 하면, 님의 친구분이 연간 3600만원을 님한테 준다고 말씀하신 겁니다.

말이 단기 대출이자지..실질적으로 님한테 꽁똔을 3400만원 그냥 주는거랑 똑같은건데요. 폰지사기 소리 듣는게 당연하죠;;
20/05/28 11:49
수정 아이콘
(수정됨) 한달 빌려주고 15%면 아주 낙관적으로 생각해서 90%정도 폰지사기고 10%정도 대박 아이템이겠네요.
어떤 비지니스며 어떻게 수익이 창출되는지 구체적으로 확인이 되지 않는다면 빨리 원금 회수하시는걸 추천합니다.
LinearAlgebra
20/05/28 11:57
수정 아이콘
딱 봐도 폰지 맞는데 얼른 돌려 받으시길...
20/05/28 14:57
수정 아이콘
(수정됨) 남들이 이상한소리한다 싶으면, 함꼐 아는 지인의 지인에게 연락해서 누구 돈 빌려준적 없냐고 물어보세요.
99.999퍼 장담하는데 아는 사람 돈은 다 빌렸을겁니다.
친구 입장에서 생각해보면 은행에서 뭘로 빌리던 이자율 5퍼 안쪽, 제2에 가도 20퍼 안쪽, 법정최대이자가 35%였나 하는데 그거 놔두고 월 15%주고 빌릴 이유가 없죠..
한편 제주위에 돈빌려주면 이자준다던 친구들은 백이면 백 토토하고있더라구요. 그런데 여기는 일 특성상 돈이 필요하다고 했으면 폰지사기라고밖에 볼수 없어요,
매일매일
20/05/28 06:27
수정 아이콘
부동산은 어려울거같고 이 기회에주식 공부해서 해보시는게어떨까요? 저도 저축만 하다 얼마전에 공부 시작해봤더니조금이라도 일찍 할걸 하고 후회중이네요 흐흐
껀후이
20/05/28 09:10
수정 아이콘
저도 여기에 한표요
2천만원이 잃으면 뼈아플 돈이다 싶으면 그냥 저축해두고, 잃어도 교육받았다 생각으로 넘길 수 있을 정도다 하면 주식을 시작해볼거 같아요
20/05/28 06:41
수정 아이콘
그냥 여행이라도 다녀오시는게 좋으실거같은데...
부기영화
20/05/28 07:37
수정 아이콘
미국상장 ETF 에 올웨더 스타일 레버리지ETF 로 구성한 자산배분 할 거 같습니다.
하늘이아빠
20/05/28 07:45
수정 아이콘
코인할거 같습니다
도라지
20/05/28 08:11
수정 아이콘
아무것도 하지마세요.
투자하는 순간 모든 신경이 그쪽으로 쏠릴겁니다.
저같으면 필요한거 사고 나머지 입금한다음, 마음 편히 있을거 같습니다.
20/05/28 08:43
수정 아이콘
어느정도 잃어도 관계 없는 돈이라면, 공부도 하고 경험해볼겸 주식 해보는것도 나쁘지 않을듯
20/05/28 08:46
수정 아이콘
빚을 먼저 갚습니다
강미나
20/05/28 08:55
수정 아이콘
대출 상환....
20/05/28 09:00
수정 아이콘
저는 리스크가 너무 무서워서 은행이요!
탐나는도다
20/05/28 09:02
수정 아이콘
지금말고 있다가 하세요
이시국에는 굳이.... 싶습니다
여행가요
20/05/28 09:10
수정 아이콘
맥쿼리 주식에 넣을거 같습니다
20/05/28 09:39
수정 아이콘
이런 경우는 상황에 따라 다 다르지만 대충 일반적인 경우는:
1. 이자 높은 빚이 있으면 갚는다. 2-3% 모기지 같이 저이자는 가지고 가는게 이득일 경우가 많음.
2. 6개월 정도 버틸 수 있는 현금 확보
3. 남은 돈으로 포트폴리오. 나이에 맞추서 젊을 수록 주식비중이 높고 나이들 수록 채권 비율이 높아지도록. (미국 주식/채권, 우리나라 아님)
4. 남는거 다 갑자기 몰빵하기 보다 나눠서 꾸준히 투자.
김곤잘레스
20/05/28 10:15
수정 아이콘
적금드시고 본업에 충실하셔요. 2천이래봐야 연 5프로나 수익내도 월 십만원이 안되는데, 괜히 주식 들아가서 좀 손해보면 잠도 안오고 본업에 소홀해집니다.
Lord of Cinder
20/05/28 10:23
수정 아이콘
고배당주 위주의 미국 주식 ETF 투자...?
꿍이꼼이
20/05/28 11:03
수정 아이콘
풀 주식 매수합니다.
20/05/28 11:54
수정 아이콘
부동산쪽이 그나마 할만한데 시드머니 2천가지고는 애매하죠..주식쪽은 잘 모르면 말리고 싶네요
파랑파랑
20/05/28 12:20
수정 아이콘
QQQ
월급네티
20/05/28 13:34
수정 아이콘
저라면 주식!
구혜선
20/05/28 15:05
수정 아이콘
주식 투자하세요.
겨울愛
20/05/28 15:29
수정 아이콘
저는 그 보다는 소액으로 주식하고 있습니다. 주알못으로 그냥 저냥 2달째 하고 있는데 주가 자체가 회복되는 시기라 그런지 욕심만 안내면 소소하게 소득이 나는 중입니다.
알라딘
20/05/28 16:14
수정 아이콘
대출있으면 그거갚는거요. 아니면 우량주에 묵혀두기.
20/05/28 17:43
수정 아이콘
주식하고싶어요 네이버 카카오 왕창~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5366 [질문] 고릴라가 헬스를 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22] 파랑파랑10220 20/05/29 10220
145365 [질문] 휴대폰 조건좀 봐주세요 jpg6 [5] 전설의황제4367 20/05/29 4367
145364 [질문] 이 영상은 어떤 프로그램을 이용한 걸까요 [2] 카오루3875 20/05/29 3875
145363 [질문] 블루가재가 오래 살도록 조언 부탁드립니다. [3] 熙煜㷂樂4095 20/05/29 4095
145362 [질문] AIRDOID 같은 편리한 앱 있을까요? [4] 잡식토끼4500 20/05/29 4500
145360 [삭제예정] 부동산 상속 관련 질문 드립니다. [4] 노젓는뱃사공4334 20/05/29 4334
145358 [질문] 롤 중고컴 사양 문의입니다. [4] 위미4295 20/05/29 4295
145357 [질문] 지금보다 한국의 미래가 더 개인에게 살기 좋을 수 있을까요? [19] 구혜선5471 20/05/29 5471
145356 [질문] 자동차 옵션에 대해 (K7 하이브리드) [26] 흰둥4925 20/05/29 4925
145355 [질문] 엔진경고등 떠보신 경험 있으신지요? [17] 껀후이6936 20/05/29 6936
145354 [질문] 제노블레이드 크로니클? 재밌나요? [12] 제드5687 20/05/29 5687
145353 [질문] 시 제목을 알고 싶습니다. [2] 만원의행복4277 20/05/29 4277
145352 [질문] 허리가방, 러닝가방, 러닝백팩 등 쓰신분들 후기가 궁금합니다. [5] 치열하게5358 20/05/28 5358
145351 [질문] 동영상 재생에 문제가 있으면, 하드웨어 어디에 문제가 있는 걸까요? [22] 올래4951 20/05/28 4951
145350 [삭제예정] 회사에서 하는 회식비용이 각자 부담이라면? [37] 삭제됨6568 20/05/28 6568
145349 [질문] 구형 컴퓨터 가치가 있을까요? [10] 한국이좋아요4798 20/05/28 4798
145348 [질문] 모바일 식권업체중 가장 큰곳은 어딘가요..? [2] 할부지상어4732 20/05/28 4732
145347 [질문] 30대 초반인데요 패션 세트템 살펴보고 옷 구매까지 보기 편한 사이트 어디가 있을까요? [6] 보로미어4397 20/05/28 4397
145346 [질문]  [LoL]포탑골드2칸 남기고 전령을 푸는 이유? [6] 아리아8141 20/05/28 8141
145345 [질문] 아파트에서 피아노는 몇 시까지 쳐도 될까요? [42] 크리스 프랫7214 20/05/28 7214
145344 [질문] 토익에 관해서 몇가지 질문드립니다. [2] 니나노나3548 20/05/28 3548
145343 [질문] 스위칭 허브 사용했을 때 동일네트웍으로 잡히는건가요? [2] 아돌3861 20/05/28 3861
145342 [삭제예정] 초등학교 아이 다쳤을 때 상황이 궁금합니다. [15] 삭제됨5310 20/05/28 5310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