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5/27 16:05:02
Name Lord Be Goja
Subject [질문] 다이어트에서 저염분을 해야하는 이유


제가 여기저기에서 수집(해서 정확하지못한)정보를 끼워맞춰보니,염분은 수분을 잡아두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몸무게가 쉽게 빠지지 않는다고 하더군요.
그런데 선수들이나 배우가 하는 단기감량이 아닌 3달이상의 중장기적 다이어트 식단도 최대한 저염분식으로 짜는 경우가 많던데..

지방소모에도 염분이 관여하는건가요? 수분은 마무리 단계에서 빼건 계속빼건 같을거 같은데..
운동으로 땀을 흘린다던지 하는 경우를 생각하면 중장기감량에서 저염분은 리스크만 있는거 아닌가해서 질문을 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페로몬아돌
20/05/27 16:09
수정 아이콘
저염은 대회나 바디프로필 막판에나 하는거고 운동 할때는 하면 오히려 마이너스죠. 선수들이나 배우는 몸과 정신을 갈아서 몸 만드니 가능하거겠죠. 지방소모와 저염은 관계없고 체중이랑은 관계있겠네요.
콩사탕
20/05/27 16:16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염식을 해야 음식이 맛없어 적게 먹잖아요.
피쟐러
20/05/27 16:32
수정 아이콘
답변 미쳐따리
매일매일
20/05/27 17:14
수정 아이콘
와 천재
참치성애자
20/05/27 16:23
수정 아이콘
입이 짜면 더먹는 것도 있고, 몸이 부어서 운동수행능력이 떨어지는느낌?
20/05/27 16:27
수정 아이콘
저염하면 음식이 맛이 없어서 결국 적게 먹게 되는 거 같더라고요. 일단 음식 간이 맞으면 입맛이 돌아서 많이 먹게되니 그걸 막고자함이 아닐지..
스토리북
20/05/27 16:31
수정 아이콘
저는 잘 모르기는 하는데, 수분은 잡아두는 게 좋은 거 아니예요 ....?
체중만 줄어든다면 늙어보여도 좋다는 사람은 없을 것 같은데;
20/05/27 16:41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정신승리 효과라고 봅니다
몸무게 안 빠져서 현타오려고 할 때 소금 안 먹어서 일시적으로 물을 빼는 거죠 그럼 신나서 좀 더 열심히 하기 때문에..
정지연
20/05/27 16:42
수정 아이콘
수치가 엄청 중요한 운동선수의 계체량이나 연예인의 화보용 다이어트가 아니고서야 일반인의 다이어트에 염분은 그렇게 중요한가 싶습니다.. 연예인들이 저염 다이어트 한다고 따라한다는 느낌이 들어요..
근데 저염이면 맛이 없어서 적게 먹게 되기는 하기 때문에 이런면에서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요..
로쏘네리
20/05/27 16:59
수정 아이콘
짠음식이 대부분 칼로리가 높고 식욕을 급상승시키기 때문에 다이어트할 때 저염식 위주로 식단을 짜는거지 애초에 나트륨이랑 살찌는거랑 직접적인 관련은 없죠.
20/05/27 17:11
수정 아이콘
다이어트의 목적이 결국 미용과 건강이라고 봤을때
저염식으로 덜부어보이고 또 장기에 부담도 적어지는걸 생각하면 좋죠.
물론 지속 가능한 범위 안에서 말입니다.
저염식 그거 소금기있는 음식 먹으면 도루묵된다고 생각할수도 있는데, 그건 어차피 칼로리도 마찬가지잖아요 크크
매일매일
20/05/27 17:19
수정 아이콘
지방을 줄이는데는 아무 의미가 없지만, 체중계의 숫자를 줄여줍니다 크크
저염식이 나쁜건 없는데 하기가 참 힘들어서 다이어트를 지속하는데 문제가 많을겁니다
저염식은 안 하면서 대회나 사진찍거나 아니면 여름에 바다 가기 전 수분을 좀 빼는 용으로 저염식을 해보는게 효율적이지 않나 싶네요
Lord Be Goja
20/05/27 17:35
수정 아이콘
여러분의 의견을 모아보니 지방연소에는 도움이 안되지만 심리적인 요인에 영향을 많이 줄수 있겠군요
감사합니다
20/05/27 17:54
수정 아이콘
염분과 지방과는 관련이 1도 없습니다. --> 대회 나가는거 아닌 일반인 입장에서는 염분 제한할 이유가 전혀 없습니다.

고지방, 고열량 음식은 염분이 높은 경우가 많습니다 --> 저염식으로 먹으려 노력하면 자연스럽게 식단이 clean 해져서 살빼기에 유리해집니다.
Lord Be Goja
20/05/27 18:07
수정 아이콘
제 경우는 전통적인 고단백 저지방 저탄수방식으로 하는중인데,계란이나 두부, 고기에 소금이나 소금이 많이 들어간 소스를 써도 되는건가가 궁금했었습니다.다른분들은 생으로 드시더군요.나무위키같은곳에도 고단백쪽에 염분피하라고 적혀있는데,이유를 모르겠더라구요..
20/05/27 18:12
수정 아이콘
대회 나가시려고 하는게 아니라면 (막판 수분까지 극한으로 뺴야하는)
일반인 입장에서 단순 다이어트라면 지방 줄이는데는 염분은 관련 없습니다.
물론 "체중"만 놓고 본다면 염분제한 식이보다 "체중"은 더 나갈 수 있겠지만, 이건 단순 물이지 지방과는 별개입니다.
20/05/27 22:33
수정 아이콘
무염닭가슴살 한번 드셔보시면 바로 이해가 빡 되실텐데 흐흐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5372 [질문] 에어부산 예매 시 긴급재난지원금 적용 되나요? [2] 루비스팍스4347 20/05/29 4347
145371 [질문] 보험해지시, 담당 보험설계사에게 마이너스인가요?? [6] 개미5120 20/05/29 5120
145370 [질문] 대장내시경 후 원상 복귀 기간? [10] 교자만두4764 20/05/29 4764
145369 [삭제예정] 보겸 보슐랭 가이드 bgm 제목 질문 [1] 라붐팬임5317 20/05/29 5317
145368 [질문] 형사 재판에서 판사가 선고할 경우 내가 받는 형량을 말하기전에 판사가 어떤식으로 말하나요?? [3] 잘가라장동건4991 20/05/29 4991
145367 [질문] 승용차에서 제일 온도차가 적은 곳은 어디일까요? [9] 유포늄4646 20/05/29 4646
145366 [질문] 고릴라가 헬스를 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22] 파랑파랑11386 20/05/29 11386
145365 [질문] 휴대폰 조건좀 봐주세요 jpg6 [5] 전설의황제4983 20/05/29 4983
145364 [질문] 이 영상은 어떤 프로그램을 이용한 걸까요 [2] 카오루4448 20/05/29 4448
145363 [질문] 블루가재가 오래 살도록 조언 부탁드립니다. [3] 熙煜㷂樂4762 20/05/29 4762
145362 [질문] AIRDOID 같은 편리한 앱 있을까요? [4] 잡식토끼5023 20/05/29 5023
145360 [삭제예정] 부동산 상속 관련 질문 드립니다. [4] 노젓는뱃사공5409 20/05/29 5409
145358 [질문] 롤 중고컴 사양 문의입니다. [4] 위미4936 20/05/29 4936
145357 [질문] 지금보다 한국의 미래가 더 개인에게 살기 좋을 수 있을까요? [19] 구혜선6361 20/05/29 6361
145356 [질문] 자동차 옵션에 대해 (K7 하이브리드) [26] 흰둥5858 20/05/29 5858
145355 [질문] 엔진경고등 떠보신 경험 있으신지요? [17] 껀후이7739 20/05/29 7739
145354 [질문] 제노블레이드 크로니클? 재밌나요? [12] 제드6618 20/05/29 6618
145353 [질문] 시 제목을 알고 싶습니다. [2] 만원의행복4870 20/05/29 4870
145352 [질문] 허리가방, 러닝가방, 러닝백팩 등 쓰신분들 후기가 궁금합니다. [5] 치열하게5968 20/05/28 5968
145351 [질문] 동영상 재생에 문제가 있으면, 하드웨어 어디에 문제가 있는 걸까요? [22] 올래5653 20/05/28 5653
145350 [삭제예정] 회사에서 하는 회식비용이 각자 부담이라면? [37] 삭제됨7570 20/05/28 7570
145349 [질문] 구형 컴퓨터 가치가 있을까요? [10] 한국이좋아요5527 20/05/28 5527
145348 [질문] 모바일 식권업체중 가장 큰곳은 어딘가요..? [2] 할부지상어5237 20/05/28 523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