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5/25 11:13:08
Name 반성맨
Subject [질문] 게임 고수vs게임 고인물
친구와 대화중에 고수와 고인물

어느 표현이 더 잘하는 사람을 지칭하는가 나름 설전이 있었습니다

고수가 당연히 잘하는 사람을 지칭하지만 최근 고인물의 쓰임새가 달라졌다고 생각하기에

고인물에 한표를 뎐졌지만

결국 고수 3 고인물 2표를 하는 상황이...

여기계신 다른분들 생각은 어떤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카페알파
20/05/25 11:19
수정 아이콘
저는 '고수' 가 잘한다는 표현에 더 적합하다고 생각합니다. '고인물' 은 그 게임을 오래 했고, 당연히 오래하다 보면 웬만큼 잘하는 '고수' 가 되기 마련이긴 한데, 고인물이라고 무조건 '고수'냐? 면 그건 아니라고 생각하거든요. 게임 시작한지 얼마 되지 않았어도, 노력 여하에 따라 얼마든지 그 게임을 잘하는 '고수' 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사실 요새는 '고인물' 이라는 표현이 '게임을 오래 하다 보니 무지막지하게 잘 하게 된 사람' 을 일컫기는 하는데, '게임을 잘한다' 는 본질에 가까운 것은 '고수' 라고 생각합니다. 요사이 쓰는 '고인물' 이라는 표현은 조금 말을 바꾸면 '그 게임을 오래 하고 열심히 해서 초고수가 된 유저' 라는 뜻이라고 생각합니다.
20/05/25 11:21
수정 아이콘
강철중 대사가 생각나네요..
그 애가 커서 된 게 나다, 이 X만한 X끼야.

저는 고인물 한 표
요슈아
20/05/25 11:21
수정 아이콘
제 자신을 예로 들자면

롤을 북미 오픈베타 때 부터 한 '고인물' 이지만 실력은 간신히 골드 상위-플레 정도이니 '고수' 반열은 안 되는거죠.

그래서 저도 고수 한 표 입니다.
지니쏠
20/05/25 11:22
수정 아이콘
저는 고인물쪽이 더 잘한다고 느껴지네요. 고수는 그냥 게임을 잘하는 사람을 지칭한다면, 고인물은 너무 많이 파고 들어가서 넘을 수 없는 사차원의 벽을 넘어버린 느낌.
20/05/25 11:22
수정 아이콘
고수 - 트리키하게 잘함
고인물 - 의욕은 크게 없지만 너무 오래해서 모르는게 없고 못하는 것도 딱히 없음

몬헌으로 치면 딜각 개쩔게 잡고 빠지면서 동영상 찍어도 그림이 나올것같은 플레이어가 고수, 팬티바람으로 고룡 잡으러 가는서 설렁설렁 치는데 어떻게든 잡고 오는게 고인물이라는 느낌? 여튼 고수에 한표입니다
카페알파
20/05/25 11:24
수정 아이콘
님 표현이 정확한 것 같습니다.
류지나
20/05/25 11:22
수정 아이콘
고수는 실력적으로 우월한 사람, 고인물은 짬밥이 높아서 농락을 잘 하는 사람이라는 개인적 이미지가 있습니다.
20/05/25 11:26
수정 아이콘
고인물요. 고수는 은근 반어법 느낌도 들어서 그렇게 안느껴지더군요.
차라리 그냥 "잘한다" 라고 하는게더 잘하는것 같습니다.
20/05/25 11:27
수정 아이콘
고인물은 그냥 그바닥에 오래있다는걸 표현하는 단어지실력이 좋다와 동일어는 아닌거같네요.
지니쏠
20/05/25 11:36
수정 아이콘
요즘은 기간은 크게 중요하지 않은 것 같아요. 나온지 하루 이틀 된 게임도 기가 막힌 플레이가 나오면 ‘벌써 고였다’ 같은 표현을 하거든요.
아웅이
20/05/25 11:30
수정 아이콘
고수같은데요.
철권 하는사람은 대부분 고인물이지만
그중에서 철권 고수라고 불리는 사람은 소수잖아요?
20/05/25 11:34
수정 아이콘
고수죠...

롤에서도 진입장벽이 높은건 고수들떄문이라기보다 고인물들이 많아서 어렵다는거지.. 더 잘하는건 고수란 표현이 맞다고 봅니다.
Horde is nothing
20/05/25 11:36
수정 아이콘
(수정됨) 고수가 좀더 프로에 가까운 단어 인거 같고
둘다 최고의 대한 한계는 없다보니 비교할수 없지만
고수 뜻자체가 잘하는 사람이고
고인물은 신기한거 나 잘모르는 게임시스템 쓰는사람도 고인물이라고 하죠
미카엘
20/05/25 11:36
수정 아이콘
고수=고인물 < 초고수=썩은물
캡틴리드
20/05/25 11:38
수정 아이콘
핵고수 죠
아슈레이
20/05/25 11:39
수정 아이콘
고수는 잘한다는 의미 그자체이고 고인물은 오래했다는 표현도 겸해서 고수 한표
포메라니안
20/05/25 11:56
수정 아이콘
이게 이견이 많은 이유가 '고수'는 뜻이 명확한데, '고인물'은 사람마다 이해하고 있는 뜻이 다르기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고수는 단순 실력의 우월함만을 나타내지만, 고인물은 그렇지 않죠. 이 댓글만 읽어도 1) 단순 구력이 오래되었거나 그 구력으로 인해 노하우/정보를 많이 알고 있는 사람(실력과는 상관 없는 경우), 2) (일단 구력이 완전 뉴비는 아니고) 짬에서 오는 바이브가 상당하여 다른 이를 실력적으로 농락하거나 감탄시키는 사람(실력이 절대적 지표)으로 나뉘니까 문맥상 어떤 의미로 고인물이라는 단어를 사용했냐에 따라 다른 거겠죠. 그러니 이건 사람마다 다르게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문제 같습니다.
나이스후니
20/05/25 12:01
수정 아이콘
게임을 잘한다는 고수이죠. 고인물은 좀더 포괄적인 의미입니다. 오래전부터 게임을 하던 사람들만 남아 신규유입이 거의 없어 정체된 상황을 말하는거죠. 그러다보니 평균 실력은 높은축에 속하게 되고, 채팅등도 그들만의 대화로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고요.
게임외적으로는 커뮤니티도 오래 있다보면 댓글도 쓰는 사람만 쓰고, 그게 보입니다.
카바라스
20/05/25 12:08
수정 아이콘
요즘은 고인물을 더 자주 쓰는거 같긴하네요.
Rorschach
20/05/25 12:18
수정 아이콘
고인물은 꼭 게임 자체를 잘 하는게 아니라도 특정 부분에 고여있으면;; 쓸 수 있는 표현이라서 순수하게 게임을 잘한다는 쪽은 역시 고수가 더 적절한 것 같아요
20/05/25 12:24
수정 아이콘
잘하는건 고수죠. 고인물은 하다못해 pgr21에 오래전에 가입했어도 얻을 수 있는 칭호죠
20/05/25 12:25
수정 아이콘
고수 pvp
고인물 pve
이런 느낌도 조금
Lord Be Goja
20/05/25 12:27
수정 아이콘
고인물이라는 표현이 쓰이기 시작한게 뉴비들의 진입을 가로막는 텃세쟁이 비슷한 부정적인 의미에서 출발한것도 있고
(실력 칭찬의 의미보다 부정적인 의미가 앞선용례)
그냥 엄청 오래했을뿐 아주 잘하지는 못하는 사람도 많아서.. (6달했다는 시청자한테 털리는 케인인님이라던지)
고수가 더 맞는표현같습니다.
반성맨
20/05/25 12:59
수정 아이콘
의사표현을 정확히 해주신분 정도로만 댓글 파악 하면
고수 12 : 4 고인물 정도 되네요
꿍이꼼이
20/05/25 13:05
수정 아이콘
고수요~~
고인물은 오래했다. 그래서 평균 수준이 높다 정도의 느낌
고수는 말 그대로 잘한다 느낌.
Nasty breaking B
20/05/25 13:1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요샌 고수라는 표현이 덜 쓰이고 고인물이란 표현이 윗분들 말씀대로 포괄적으로 쓰이는 경향이 있긴 한데
그래도 게임을 잘한다 = 심플하게 고수죠. 잡기술에 능통하고 짬에서 나오는 해박한 지식을 자랑하는 이런 사람들더러 고인물이라곤 하겠지만 꼭 고수는 아닐 수도 있거든요. 고인물은 소위 말하는 구력이랑 같은 맥락인 듯
BlueTypoon
20/05/25 13:12
수정 아이콘
고수가 잘한다는 뜻은 맞지만 전달력은 많이 약한 느낌입니다.
그렇다고 고인물도 실력을 나타내는 용도도아닌듯 하고요.
개인적인 느낌으로는 이렇네요.
고수<고인물<핵고수(등의 *고수)<노사람
러블세가족
20/05/25 13:17
수정 아이콘
고수는 1-10까지 봤을 때 7이상이면.. 고인물은 9이상은 되어야 얻는 칭호 느낌.
In The Long Run
20/05/25 13:31
수정 아이콘
고인물은 게임을 오래한 사람, 잘하는 사람 등 다의어라고 봐야하고 고수는 뭔가를 잘한다는 명확한 쓰임새가 있어서 고수라고 봅니다!
LucasTorreira_11
20/05/25 13:32
수정 아이콘
케인만 봐도 그냥 오래만 한 사람이라...(중수 이상은 되지만)
진정한 실력은 고수, 비하인드는 물론이고 숨은 요소까지 꿰고 있고 실력도 출중하면 고인물이라고 봅니다.
저격수
20/05/25 13:41
수정 아이콘
구분 1.
망겜을 잘하면 고인물
흥겜을 잘하면 고수

구분 2.
원사는 고인물
대위는 고수
배주현
20/05/25 13:52
수정 아이콘
플레이를 보고 “고였다”하고 하는건 잘한다의 의미가 더 크다고 보는데, 유저를 보고 고인물이라고 하는건 실력과 관계없이 오래했다라고 받아드려집니다

그래서 저도 고수에 한표
요기요
20/05/25 14:09
수정 아이콘
리니지를 예를 들면

고인물 : 십수억은 박은 현실 부자 상류층. 섭에서 절대 깡패짓을 하며 군림하는 유명혈맹의 고렙.

고수 : 캐릭터 육성을 효율적으로 하고 각종 팁과 노하우를 깨우쳤고 컨트롤도 좋아서 상대적으로 고렙들과 전투해도 잘 농락하는 인방 BJ들..

이런 느낌이네요
20/05/25 14:13
수정 아이콘
고인물 한 표
사나없이사나마나
20/05/25 14:18
수정 아이콘
고수가 잘하는 사람, 고인물은 쓸데없는 거까지 다 알고 활용하는 사람 정도로 생각합니다.
로즈엘
20/05/25 14:57
수정 아이콘
최근에는 고인물이 맞는거 같네요.
고수는 게임내에서 잘한다라면 고인물은 긍정적으로 쓰인다면 규격을 벗어나서 플레이 하는 느낌.
파랑파랑
20/05/25 15:38
수정 아이콘
고수는 실력이 뛰어난 사람,
고인물은 한가지를 극한으로 파고든 장인같은 느낌이라
제 기준에선 고인물이 더 위입니다.
이정재
20/05/25 15:45
수정 아이콘
고인물의 의미가 예전하고 많이 달라졌죠 예전엔 적폐 썩은물 이느낌이었는데 요즘은 고수로

그래도 전자 고릅니다
티모대위
20/05/25 15:46
수정 아이콘
고수는 게임을 잘하는 사람,
고인물은 '그' 게임 안에서 이뤄놓은 것과 경험이 엄청 많은 사람... 이라고 봐서

해당 게임 자체에 대한 애정이나 게임 내에서의 자산?같은건 고인물이 앞선다고 보고
게임 내에서의 조작 능력은 고수 쪽이 더 나을것 같아요.
최강도리
20/05/25 16:15
수정 아이콘
고수는 실력이 뛰어난 사람 (이영호)
고인물은 실력,게임기간,스토리잡지식 등이 많은사람 (출시부터 지금까지 게임하는 아마추어 아재고수)

순수하게 게임을 잘하는건 고수 아닐까요
시무룩
20/05/25 16:55
수정 아이콘
저는 고수요
개인적으로 고인물은, 실력도 있지만 그보다는 한 게임에서 짬을 많이 먹어서 이것저것 많이 알다보니 보통의 고수들은 모르는 잔기술이나 교묘한 시스템 등을 잘 아는 사람이라는 느낌이 더 강해서요
리듬게임으로 치면 동체시력과 신체 피지컬을 이용해서 잘 하는 사람이 있고, 떨어지는 피지컬을 많은 경험과 연구로 손배치를 따로 짠다던지 해서 잘 하는 사람이 있고.. 뭐 이런 차이가 있는 것 처럼요
근데 또 이게 고수와 고인물이 구분 없이 거의 동일하게 가는 게임이 있고 좀 단순한 고수와 고인물의 성향이 차이가 제법 나는 게임이 있고 그래서 1:1 비교가 어렵지 않나 싶네요
세이시로
20/05/25 18:00
수정 아이콘
고수 = 우승을 위해서라면 3연벙 같은 전략이라도 쓰는, 승리에 굶주린 게이머

고인물 = 수백, 수천, 수억번 게임을 해서 그 게임의 모든 것을 이해한 게이머
반성맨
20/05/25 18:05
수정 아이콘
앗...아아
소이밀크러버
20/05/25 18:24
수정 아이콘
한창 스타 인기있을때는 외국인들도 gosu를 알았죠. 저도 고수요.
불구속입덕
20/05/25 18:45
수정 아이콘
고수는 실력, 고인물은 기간.
에 덧붙여 개인적인 느낌으로는 고수는 빡겜러, 고인물은 즐겜러.
20/05/26 04:05
수정 아이콘
pvp = 고수
pve = 고인물 이런 느낌이군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5272 [질문] 회사 서버용 컴퓨터 견적 부탁드립니다. [4] 아이유_밤편지5008 20/05/26 5008
145271 [질문] 조립컴퓨터 살려고 하는데... [6] Colorful3660 20/05/26 3660
145270 [질문] 이승환 화려하지 않은 고백은 왜 노래가 바뀐건가요? [3] 강미나5019 20/05/26 5019
145269 [질문] 컴퓨터 견적 질문입니다 [16] galax5011 20/05/26 5011
145268 [삭제예정] 삼성바이오로직스 근무여건 어떨까요? [5] NaturalBonKiller5861 20/05/26 5861
145267 [질문] 삶이 무료하고 따분합니다 [43] 삭제됨4937 20/05/26 4937
145266 [질문] 주식 관련 모바일앱이 심플한 좋은 증권사 추천좀 해주세요 [12] MelOng4349 20/05/26 4349
145265 [질문] 커스탬 수랭(수냉) 인터넷 카페나 커뮤니티가 있을까요? [7] 카페알파3489 20/05/26 3489
145264 [질문] 인터넷 가입 문의 [1] 유유할때유4301 20/05/26 4301
145263 [삭제예정] 정신과 치료 잘 아는 분 계시는지요?(약물 자살시도자 정신치료 관련) [20] 삭제됨5155 20/05/26 5155
145262 [질문] 서울대 버들골 지금 개방하고 있나요? [4] 데오늬4394 20/05/26 4394
145261 [질문] 워터픽 VS 아쿠아픽? [11] 클로로루실후르5861 20/05/26 5861
145260 [질문] 아이폰 6s 배터리가 부풀었습니다 [6] 시무룩4039 20/05/26 4039
145259 [질문] 김어준이 최근에 정의연문제로 입장을 낸게 있나요? [16] 펠릭스30세(무직)6209 20/05/26 6209
145258 [질문] 재능부족, 노력부족 뭐가 더 기분 나쁜가요? [48] 키류6097 20/05/26 6097
145257 [질문] 경기지역화폐 [4] 어센틱3503 20/05/26 3503
145256 [질문] 아이폰 관해서 질문 몇가지 드립니다! [2] 니나노나4031 20/05/25 4031
145255 [질문] 삭제안되는 파일에 대해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 [1] 류지나4377 20/05/25 4377
145254 [질문] 컴퓨터 문제있는걸까요 [2] Socceroo3683 20/05/25 3683
145253 [질문] 신용카드 주유 할인 질문입니다. [6] 찬양자3920 20/05/25 3920
145252 [질문] tv 질문입니다 pc연결 콘솔연결 인풋렉 및 속도관련 [5] 신예은팬5411 20/05/25 5411
145251 [질문] 영어 문장 해석 좀 해주세요 [2] 삭제됨3884 20/05/25 3884
145250 [삭제예정] 확정급여형 퇴직연금 질문입니다. [3] 삭제됨3669 20/05/25 3669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