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5/19 10:27:29
Name 월급네티
Subject [질문] 제테크, 내 집마련 조언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평생 얼마나 벌건지 대충 윤곽이 잡히는 직종입니다.
지금 한달에 100만원 모으고 있고(적금+주식)
나머지는 생활비, 집세 등등으로 쓰고 있습니다.

대충 계산해보니 55세까지 이렇게 모으면 3억~4억 정도겠더라고요.
임금이 오를 수도 있고 결혼, 출산 후 지출이 커질수도 있으니 대략적으로 계산했습니다.

지금도 3억으로 어디 집 구하기 힘든 세상인데 20년 뒤에 3억으로는 더 못구하지 않겠습니까?

그래서 차라리 결혼할때 모은 돈 최대, 갚을 수 있는 돈 최대로 해서 집을 매매하면 적금이나 주식으로 모으는 것 대신 실물도 생기고 좋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했습니다.

반대로는 전세나 월세로 집에는 최소한의 투자를 하고 나머지 유동성있는 자산으로 주식이나 적금에 계속적인 투자를 하면 20년뒤에는 복리가 붙어 상황이 더 나아지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있습니다.

많은 분들은 어떤 식으로 제테크 하십니까?
아 그리고 제 목표가 중요하겠지요?
제 목표는 내 집, 내 차, 내 부인 차까지 마련하는 것입니다. 평범하죠? ㅠㅠ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몽실이
20/05/19 10:41
수정 아이콘
지역이 어디이신지가 중요할것 같습니다. 수도권이냐 지방이냐...
월급네티
20/05/19 11:06
수정 아이콘
지역은 수도권입니다.
당장 돈 모아서 아파트는 힘들 것 같다고는 생각하고 있습니다.
제테크의 달인이 되지 않는 이상...
20/05/19 10:43
수정 아이콘
요새 초저금리 시대라 대출안고 내집 마련이 제일 좋아보입니다. 5억짜리 2억대출 30년 상환하면 월 80만정도 상환하면 되겠네요. 100만원씩 갚는다고 치면 2.5억까지 대출 할 수 있겠습니다. 물론 투자 잘만하면 년 2.5 이상은 분명히 먹겠지만 내집이 주는 안정성이 더 크다고 생각해요.
회색사과
20/05/19 10:44
수정 아이콘
집값에 대한 전망을 어찌 보냐에 따라 다르겠지만...
떨어지지는 않는다고 보고 계신 것 같으니...

은행 이자보다 재테크 잘할 자신이 있냐 없냐 로 보시면 되지 않을까요.

지르고 갚는 테크는 일반인 기준으로 갚으며 사는게 모으며 사는 게 목표가 같아도 조금 더 타이트하게 조여지는 효과는 덤입니다.

+ 월세 지출분까지 갚는데 쓸 수 있다는 효과도 있네요
그말싫
20/05/19 10:50
수정 아이콘
내 집 마련이 주는 안정감은 상상 그 이상입니다.

기회비용이 있을지는 몰라도 집 마련 추천 드립니다, 지금 금리도 많이 낮으니까요.
하우두유두
20/05/19 11:31
수정 아이콘
다 맞는말인데 옥석가리기로 좋은집을 골라 사십시요. 아무거나 싼거 사면 오히려 떨어질 가능성도 있으니 역세권 학세권 대단지 신축 일자리 많은곳 에서 우선순위 정하서서 최대한 많은곳이 점하는곳으로 산택하십시요
김곤잘레스
20/05/19 11:56
수정 아이콘
대출만 나오면 실수요 소형아파트는 항상 옳습니다.
브라이언
20/05/19 11:57
수정 아이콘
부동산책 - 부동산블로거 - 부동산강의
순서로 추천드립니다
20/05/19 11:57
수정 아이콘
금리는 제로금리에 시중에 풀리는 유동성은 어마어마해서 최대한 빚내서 자산 투자하는게 맞긴해요.
주식 직접투자는 개미가 빚내서 하긴 너무 위험하고요, 그나마 할만한게 부동산 그중에 아파트긴 한데.. 지금 올라도 너무 올랐죠.
1-2년전 수도권 신축4-5억 하던데는 10억됬고 2-3억 하는데는 6억 됬으니까요.
시기가 좋진 않습니다. 암튼 현찰은 들고 있으면 그냥 똥됩니다.
몽키매직
20/05/19 13:40
수정 아이콘
현금 가치가 떨어지기 때문에 이론적으로 현금 들고 있으면 손해지만, 그렇다고 대출 받아 주식에 넣기도 그렇고, 집도 오른 상태라 사기에 버겁죠. 그렇다고 창업... 할 상황도 아니고... 결국 유동성으로 부풀려 놓은 시장은 실물 회복 안되면 꺼질 가능성이 높아서 현금 들고 있는 게 안전한 선택일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무주택자라면 영끌해서 자가 마련하면 실패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으니 이 정도는 해볼 수 있겠네요...
20/05/19 13:42
수정 아이콘
네 말씀하신것도 일리는 있구요 근데 저라면 정말 현금을 들고 있을거라면 달러를 살거 같네요
20/05/19 12:50
수정 아이콘
부채도 능력입니다. 집 매매에 투자해서 얻는 레버리지 효과는 다른 금융자산으로 쫓아가기 힘듭니다. 자가 추천드려요.
하이아빠
20/05/19 13:45
수정 아이콘
저도 자가 추천드려요.
20/05/19 13:48
수정 아이콘
대출받아서 무조건 신축 아파트 사세요... 저도 많이 올라서 이래서 대한민국 부동산이구나 싶네요..
Albert Camus
20/05/19 13:56
수정 아이콘
오른다는 가정하에서는 부동산이 레버리지 효과가 너무 커서 따라가기 힘듭니디.

빚내서 집사고 존버는 가능하나, 그만한 빚내서 주식투자는 매우 어려우니까요.
월급네티
20/05/19 13:59
수정 아이콘
압도적으로 자가 추천이네요.
종잣돈마련 몇년만 더 하고 빚내야겠습니다.
부동산 공부도 열심히 해야겠군요.
슈카아재 유튜브만 보고있었는데 크크
20/05/19 14:31
수정 아이콘
오르기도 많이 올랐고 코로나 여파도 있고요. 슈카아재 왈 당분간 횡보장이 올 것 같기도 하더군요. 크크 열심히 종잣돈 마련하셔서 내집마련 하시길 바랍니다. 일단 월세시면 전세부터 고고
몽키매직
20/05/19 14:42
수정 아이콘
부동산은 한 사람말만 들으면 안되고요. 부동산은 유튜브 자칭 전문가들 얘기는 적당히 걸러서 들으세요... 그 바닥 잘 알면 부동산 중개로 떼돈 버는데 유튜브 하고 있을 이유가 없죠. 강남 같은 경우는 한 번 거래에 중개료로 몇천만원씩 왔다갔다 하는데... 부동산은 목표로 하는 지역, 그 지역에서 잘 나가는 부동산 중개인에게 정보를 얻는 게 가장 정확합니다.
회색사과
20/05/19 16:26
수정 아이콘
요거 훌륭한 팁입니다.

부동산에 수수료 장사 마인드로 계시는 분들이 계시고
드물게 본인이 투자자 마인드로 계시는 분들이 계시는데 (특히 흐름은 보이는데 캐쉬가 없넹 하시는 분들)

후자이신 분들 만나는 게 큰 도움이 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5106 [질문] 피아노 반주 연습 [3] 늅늅이3659 20/05/20 3659
145105 [질문] 제주도 단체 숙소 추천 부탁드립니다. [3] bymi4198 20/05/20 4198
145104 [질문] 성인남성 직장인 영양제 질문드립니다. [18] 장첸5475 20/05/20 5475
145103 [질문] [스타2] 예전 리플레이 볼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1] 사과즙3697 20/05/20 3697
145102 [질문] GTA V 온라인 친구랑 재밌게 즐기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3] 덴드로븀10235 20/05/20 10235
145101 [질문] 윗배가 아파서 진료받으러 가야하는데 검사 뭐 받으면 될까요? [7] 삭제됨4328 20/05/20 4328
145100 [질문] LCK 시청자수가 LEC나 LCS보다 더 많겠죠? [5] 아지매4457 20/05/20 4457
145099 [질문] 쏘나타 K7 그랜저 [29] 흰둥7222 20/05/20 7222
145098 [질문] 서피스 고2 써보신 분 계신가요? [2] ipa4663 20/05/20 4663
145097 [질문] 차 에어콘을 틀지 않아도 퀘퀘한 냄새가 납니다. [3] 브라이언4188 20/05/20 4188
145096 [질문] 엑셀 유용한 기능 질문! [3] 흰둥4011 20/05/20 4011
145095 [질문] 배터리제품 해외배송 질문입니다. 에베레스트3037 20/05/20 3037
145094 [질문] 오피스 설치 문제 및 컴퓨터 사양 질문입니다. 이라세오날3840 20/05/20 3840
145093 [질문] 사무실에서 사용할 블루투스 키보드 추천 [1] 싸구려신사3936 20/05/20 3936
145092 [질문] i5 6500 현역인가요? [8] 밥오멍퉁이8331 20/05/20 8331
145091 [질문] 차 에어컨에서 달달달달 소리 [3] Liverpool FC5627 20/05/20 5627
145090 [질문] 엑셀 관련 질문드립니다. [4] 니나노나3667 20/05/20 3667
145089 [질문] 서울시 공무원 계신가요?(소상공인 지원 관련) [2] 신촌로빈훗4310 20/05/20 4310
145088 [질문] GTA5를 멀티플레이할 때 플랫폼(스팀/에픽게임스)이 서로 달라도 같이 가능한가요? [2] Mindow14883 20/05/20 14883
145087 [질문] 롤토체스 튜토리얼 같은건 없나요 [6] 삭제됨9377 20/05/20 9377
145086 [질문] 올림픽을 왜 국제체육대회라고 할까요? [5] 로켓4928 20/05/19 4928
145085 [질문] 요즘노래같은데... 노래찾습니다! [9] Secundo4060 20/05/19 4060
145084 [질문] 아이폰 사용자분들 필름 / 케이스 쓰시나요? [21] 유나6332 20/05/19 633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