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5/14 12:20:08
Name AKbizs
Subject [질문] 이번 전매제한 부동산정책 크게실효성있는 정책인가요?
(일단 부알못임을 밝히고 크크크)

이번에 정부에서 부동산정책으로 수도권+광역시 분양권 전매제한을 가지고 나왔는데, 예전에 어디서 본게

지금도 전매제한이 시행중인데 전매제한된 지역에서 거래하다가 걸려서 계약이 취소될거였는데

소송걸어서 전매제한을 위반했으니 과징금(?)을 내긴하나 거래를 막는건 헌법에 위반된다해서

벌금내고 거래가 유효한 판례가 있다고 어디서 주워들은거 같은데,

물론 아예 제한이없는거보다야 훨씬 효과있긴하겠지만,만약 제가 위에 본게 맞다면 결국 거래할 사람은 다 한다는 이야기 아닌지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05/14 12:31
수정 아이콘
판례가 있다고 모든 사람들이 그 귀찮은 방법을 선택해서까지 분양권을 불법전매하려고 하지는 않죠.
분양권 상태에서 팔면 양도 차익의 60%가 세금입니다.
(물론 다운거래 쓰는 곳도 많긴 하지만 그건 차치하고요.)
거기에 거래비용 빼면 실상 차익이 아주 큰것도 아닌데.. 저기에 과장금 소송에 걸리는 시간.. 그 걸 다 감수할만큼 이익이 크지 않아요.
20/05/14 12:50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미뉴잇
20/05/14 12:40
수정 아이콘
전매제한 지역에서 분양받아본적이 있는데요. 분양 받고 나서 물론 몰래몰래 계약서 쓰고 전매할 수도 있겠지만
부동산 업자도 믿어야 되고 상대 매수자도 믿어야 되고 하나 틀어지면 일이 너무 커져서 시도하기도 쉽지 않습니다.
하는 사람이 일부 있겠지만 판례 하나 믿고 할 사람은 다 한다는게 어렵습니다..
20/05/14 12:50
수정 아이콘
답변 감사합니다.
20/05/14 12:50
수정 아이콘
판례가 있긴하나 리스크가 상당히 큰가보군요 답변감사합니다.
강아랑
20/05/14 13:22
수정 아이콘
초p 2000 정도에 불법전매 했다고 했을때,
이게 손바뀜이 3-4차례 되고 p가 상당부분 올라 2억이 된 경우가 있다고 예를 들면요.
원 주인이 배가 아파서 전매를 안해주려고 연락도 안받는 경우가 있습니다. 좀 달라는거죠. 돈 벌었으니.
상당히 골치 아프다고 들었습니다. 부동산들도 잘 안하려고 할거에요.
해피팡팡
20/05/14 14:18
수정 아이콘
이번 부동산 정책이 크게 실효가 있는지? 물음에 대한 답만 드리자면 크게 실효가 없을 것 같습니다. 불법전매는 아에 다른 문제라고 생각되고.. 기존 수도권 분양 시장은 당첨만 되면 무조건 돈버는 구조였기 때문에 실입주할 능력이 없는 사람들이 너도나도 가세하는 바람에 경쟁률이 치솟은건데. 이제 그 부분은 좀 가라앉겠지만 또 다른 풍선효과가 바로 나타날겁니다. 이미 소유하고 있는 분양권 혹은 신축들 가격이 많이 오르겠죠. 더불어, 이번 대책에 해당 안되는 지역들중에 투자가치 있는 좋은 지역들의 분양에는 사람들이 더 몰리겠네요.
20/05/14 16:17
수정 아이콘
https://www.youtube.com/channel/UCl7_Zg4RdQbHx0kXaiKL-5g
채상욱 부동산 전문 애널리스트 유투브 및 페북 추천드립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5051 [질문] 6개월 정도 탈 차량 구매 관련 [4] 마샬스피커3926 20/05/18 3926
145050 [질문] 수의사 분들꼐 질문드립니다. [2] 정 주지 마!3831 20/05/18 3831
145049 [질문] 예전에 유게에서 본 유튜브 영상이 기억나질 않아요 [3] 야생의숨결5119 20/05/18 5119
145048 [질문] 치질일까요... [11] 일정4435 20/05/18 4435
145047 [질문] 워크래프트3 리포지드 지금은 할만한가요? [8] 구렌나루4982 20/05/18 4982
145046 [질문] 일본은 왜 코로나가 유럽처럼 퍼지지 않았을까요? [20] 탕웨이5844 20/05/18 5844
145045 [질문] 바이올린 또는 피아노 연주곡 추천 좀 부탁합니다. [5] 블루레인코트4943 20/05/18 4943
145044 [질문] 라오어2 예판에 실패했는데... [3] 1절만해야지3883 20/05/18 3883
145043 [질문] 컴퓨터 견적(베타)입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5] 카페알파5833 20/05/18 5833
145042 [질문] 모바일 핫스팟..몇 명까지 가능한가요? [6] 사이시옷8768 20/05/18 8768
145041 [질문] 30살 건축기사 진로고민 글입니다. [1] 삭제됨4416 20/05/18 4416
145040 [질문] 안녕하세요 운전자보험에대해문의드립니다. [5] Cherish4003 20/05/18 4003
145039 [질문] 불량품이 와서 교환을 받는 기간도 사용기간에 포함되나요? s-toss3317 20/05/18 3317
145038 [질문] 러쉬 더티 호불호 많이 갈리나요? [10] 오렌지망고5789 20/05/18 5789
145037 [질문] 전화를 받았는데 보이스피싱이였을까요?? [16] 삭제됨4251 20/05/18 4251
145036 [삭제예정] 개인사업등록 관련 [4] 삭제됨4457 20/05/18 4457
145035 [삭제예정] 무슨 차인가요?? [9] 삭제됨4915 20/05/18 4915
145034 [질문] 이 노트북 두개의 차이가 뭐가 있을까요? [8] 사신군4518 20/05/18 4518
145033 [질문] 중저가 핸드폰 쓸만한 걸로 어떤게 있을까요? [8] 한종화4347 20/05/18 4347
145032 [질문] 이거 좀 꼰대같나요? [20] 똥꾼6079 20/05/18 6079
145031 [질문] 데스크탑 부팅시 가끔 그래픽카드가 인식이 안됩니다 [7] 인생은서른부터5180 20/05/18 5180
145030 [질문] (무선 키보드 관련 ) 이게 어떻게 가능한 상황일까요? [4] 마르키아르4572 20/05/18 4572
145029 [질문] 영상 편집용 그래픽카드 (엔비디아 vs 암드) [2] 엔지니어4593 20/05/18 459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