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5/11 16:02:12
Name 므라노
Subject [질문] 권위를 다룬 책이나 매체가 있을까요?
우리의 친구 만능 가제트 나무위키를 보면 이렇게 나와 있습니다.

권력: 사회가 싫어하더라도 자신의 뜻대로 하게 할 수 있는 강제력.
권위: 사회가 그것을 따름이 정당하다고 합의한 강제력.

사람이 무언가를 따르는 것은 그것을 따라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지요.
그런데 제도를 만든다 한들 그걸 다 곧이 곧대로 따르는 건 아니잖아요?

예를들어 문민통제를 봅시다.

민주화 후에 스트롱맨인 YS가 권력을 잡았기에 군을 통제할 수 있었던거지, DJ였으면 군이 받아들이지 않고 엎었을 것이라는 글을 본 적 있습니다. YS가 꽉 잡고 있는 사이 시간이 흘러 문민통제가 공고히 됐다, 반대로 말하면 그 전에는 위태로웠다 라고요.
반대로 문민통제가 잘 정착해 권위를 얻은 경우에는 장성이 꼽다고 마음대로 뒤엎지 못할테지요. 권한도 없고 주변에서 따르지도 않을테니.

지방통제도 마찬가지입니다.
조선 초기 지방에 (권한을 가진) 수령을 내려 보내도 지역 유지가 무시하거나 해서 영향력을 투사하는데 고군분투 한 것으로 압니다.
반대로 중세 유럽의 영주는 원래는 로마에서 보낸 관료일 뿐이지만 로마가 무너진 틈에 직위를 세습하다 자연스레 권위를 획득한 것으로 알고요.

잡설이 길었는데, 권위의 특징, 획득 과정, 권위를 거스르려 했을 때의 패널티, 권위를 잃는 과정과 결과 등을 이론, 사례를 통해정리한 것을 보고싶습니다.
장자상속제의 권위를 얻기 위해 유교 질서를 보급하고 똥꼬쇼한 조선이라든가, 권위를 위해 종교를 이용한 유럽의 사례라든가 말입니다.

보통 보면 권력에 초점을 맞추고 권위는 권력을 얻는 과정이나 후에 공고히 하기 위한 정도로만 간단히 다루더라구요.
정치학 교과서 같은걸 뒤져보는데 개론서 수준이라 그런지 '정치는 권력을 어떻게 배분하느냐다' 정도만 나오고 정치체제 특징으로만 넘어가지 상세히 다루진 않더라구요.
이런걸 자세하게 다룬 책이나 교과서가 있을까요?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05/11 16:19
수정 아이콘
푸코 저작 찾아보세요
김곤잘레스
20/05/11 16:32
수정 아이콘
박효종 교수님 책이 있긴합니다. 국가와 권위, 민주주의와 권위...책은 괜찮은데, 교수님이 뉴라이트로 유명하니 그 부분은 감안해주세요.
다크템플러
20/05/11 16:34
수정 아이콘
이건 정말 푸코 입니다.
므라노
20/05/11 18:19
수정 아이콘
국가와 권위랑 푸코 저작은 꽤 많아서 제일 유명해 보이는 감시와 처벌 빌렸습니다.
추천해 주신 분들 모두 감사드립니다!
멍멍머멈엉멍
20/05/11 21:19
수정 아이콘
푸코지요. 국내 대중도서로는 메트로 폴리스 서울의 탄생이 있습니다. 푸코 장치, 권력개념으로 서울을 해석한책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4912 [질문] 컴퓨터 부품 선택에 관한 질문입니다. [5] 카페알파4639 20/05/13 4639
144911 [질문] 5살 딸아이 동반 제주여행 숙소/식당 추천 부탁드립니다. [2] WiTy4609 20/05/13 4609
144910 [삭제예정] 10억 주택 구입 시 대출문의 [15] 삭제됨5823 20/05/13 5823
144909 [질문] 남자 머리 질문 드립니다... [6] 미와야키사쿠라4942 20/05/13 4942
144908 [질문] 국가재난지원금 알라딘도 사용가능한가요? [5] 똥꾼7335 20/05/13 7335
144907 [질문] 집에서 런닝머신 이나 워킹머신(패드) 쓰시는 분 계신가요? 추천부탁드립니다 [3] 배고픕니다4513 20/05/13 4513
144906 [질문] 라스트 오리진 관련 질문입니다 [12] Lakto4404 20/05/13 4404
144905 [질문] 여자친구 선물 추천부탁드립니다. [31] Equalright7401 20/05/13 7401
144904 [질문] 구글 크롬 충돌문제 (feat. e학습터?) moqq4539 20/05/13 4539
144903 [질문] 안마의자 뭘보고사야되나요? 추천도부탁드립니다 [11] 밥잘먹는남자5280 20/05/13 5280
144902 [질문] 이런 나무의자가 몸에 좋을까요? [16] 삭제됨6949 20/05/13 6949
144901 [질문] 테트리스 99 잘하고 싶어요 [3] 及時雨4521 20/05/13 4521
144900 [삭제예정] 이직 or 복직 질문드립니다. [8] 삭제됨4553 20/05/13 4553
144899 [질문] 자전거 구매 질문입니다. [1] 가라한4408 20/05/13 4408
144898 [질문] 동급차량으로 자동차 바꾸는건 어떤가요? (포르테쿱 - 올뉴아반떼) [10] 잘생김용현5169 20/05/13 5169
144897 [질문] 예전 싸이월드 bgm으로 쓰였던 팝송을 찾고 있습니다. [6] 검암동위즈원4654 20/05/12 4654
144896 [질문] 공략에서의 기민한 발놀림 [1] 허느4594 20/05/12 4594
144895 [질문] 갤럭시 A51 5G 자급제 폰을 구입시 LTE 요금제 사용여부 [9] 흥멤11476 20/05/12 11476
144894 [질문] 1990년대쯤(?) 단행본으로 나온 만화제목 [3] Meanzof6390 20/05/12 6390
144893 [질문] 임대사업자 법에대한 질문입니다 [5] Fysta5404 20/05/12 5404
144892 [질문] 여러분들은 김성근 전 감독이 한말중에 이 말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세요?? [29] 잘가라장동건7319 20/05/12 7319
144891 [질문] [TFT] 롤토체스 고수분들께 질문입니다 [8] 키류7037 20/05/12 7037
144890 [질문] 집사람 선물용 기계식 키보드 추천부탁드립니다. [15] 별빛힐러6757 20/05/12 6757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