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5/11 16:02:12
Name 므라노
Subject [질문] 권위를 다룬 책이나 매체가 있을까요?
우리의 친구 만능 가제트 나무위키를 보면 이렇게 나와 있습니다.

권력: 사회가 싫어하더라도 자신의 뜻대로 하게 할 수 있는 강제력.
권위: 사회가 그것을 따름이 정당하다고 합의한 강제력.

사람이 무언가를 따르는 것은 그것을 따라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지요.
그런데 제도를 만든다 한들 그걸 다 곧이 곧대로 따르는 건 아니잖아요?

예를들어 문민통제를 봅시다.

민주화 후에 스트롱맨인 YS가 권력을 잡았기에 군을 통제할 수 있었던거지, DJ였으면 군이 받아들이지 않고 엎었을 것이라는 글을 본 적 있습니다. YS가 꽉 잡고 있는 사이 시간이 흘러 문민통제가 공고히 됐다, 반대로 말하면 그 전에는 위태로웠다 라고요.
반대로 문민통제가 잘 정착해 권위를 얻은 경우에는 장성이 꼽다고 마음대로 뒤엎지 못할테지요. 권한도 없고 주변에서 따르지도 않을테니.

지방통제도 마찬가지입니다.
조선 초기 지방에 (권한을 가진) 수령을 내려 보내도 지역 유지가 무시하거나 해서 영향력을 투사하는데 고군분투 한 것으로 압니다.
반대로 중세 유럽의 영주는 원래는 로마에서 보낸 관료일 뿐이지만 로마가 무너진 틈에 직위를 세습하다 자연스레 권위를 획득한 것으로 알고요.

잡설이 길었는데, 권위의 특징, 획득 과정, 권위를 거스르려 했을 때의 패널티, 권위를 잃는 과정과 결과 등을 이론, 사례를 통해정리한 것을 보고싶습니다.
장자상속제의 권위를 얻기 위해 유교 질서를 보급하고 똥꼬쇼한 조선이라든가, 권위를 위해 종교를 이용한 유럽의 사례라든가 말입니다.

보통 보면 권력에 초점을 맞추고 권위는 권력을 얻는 과정이나 후에 공고히 하기 위한 정도로만 간단히 다루더라구요.
정치학 교과서 같은걸 뒤져보는데 개론서 수준이라 그런지 '정치는 권력을 어떻게 배분하느냐다' 정도만 나오고 정치체제 특징으로만 넘어가지 상세히 다루진 않더라구요.
이런걸 자세하게 다룬 책이나 교과서가 있을까요?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05/11 16:19
수정 아이콘
푸코 저작 찾아보세요
김곤잘레스
20/05/11 16:32
수정 아이콘
박효종 교수님 책이 있긴합니다. 국가와 권위, 민주주의와 권위...책은 괜찮은데, 교수님이 뉴라이트로 유명하니 그 부분은 감안해주세요.
다크템플러
20/05/11 16:34
수정 아이콘
이건 정말 푸코 입니다.
므라노
20/05/11 18:19
수정 아이콘
국가와 권위랑 푸코 저작은 꽤 많아서 제일 유명해 보이는 감시와 처벌 빌렸습니다.
추천해 주신 분들 모두 감사드립니다!
멍멍머멈엉멍
20/05/11 21:19
수정 아이콘
푸코지요. 국내 대중도서로는 메트로 폴리스 서울의 탄생이 있습니다. 푸코 장치, 권력개념으로 서울을 해석한책입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4887 [질문] 전입신고를 안했는데 재난지원금 이의신청이 가능할까요? [7] 슬라임6218 20/05/12 6218
144886 [질문] 휴대폰 사설 수리업체 질문입니다. [3] Good4912 20/05/12 4912
144885 [질문] 신림역 근처 맛집 아시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8] 리 신5080 20/05/12 5080
144884 [질문] 워렌버핏 말처럼 s&p500 에 꾸준히 투자하면 [13] 비타에듀5381 20/05/12 5381
144883 [질문] 미국 코로나가 안잡히는 이유는... [13] 마르키아르5638 20/05/12 5638
144882 [질문] 네이버 카페글이 안보입니다. [4] whatisfoolycooly5603 20/05/12 5603
144881 [질문] 강릉 속초쪽에 막국수 맛집 있으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15] 프란넬5748 20/05/12 5748
144880 [질문] 아기사진 촬영용 조명 문의드립니다. [6] 예루리4308 20/05/12 4308
144879 [질문] 대면강의하려는 대학교는 이유가 뭔가요?? [14] 삭제됨7295 20/05/12 7295
144878 [질문] 프로페시아 한국에서 택배로 외국으로 보내면 걸릴까요? [3] 따루라라랑5355 20/05/12 5355
144877 [질문] 요즘 SK브로드밴드로 넷플보기 어떤가요? [12] 스푸키바나나5248 20/05/12 5248
144876 [질문] 게이밍 노트북을 하반기에 구매하라는 이유가 있나요? [3] 6382 20/05/12 6382
144875 [질문] 노래(음악)를 찾고있습니다 [6] 달달합니다4196 20/05/12 4196
144874 [질문] 초저가 노트북 추천해주실 수 있으신가요 [12] 용노사빨리책써라6387 20/05/12 6387
144873 [질문] [UFC] 하빕 VS 게이치, 자빗 등 질문입니다. [7] Healing5638 20/05/12 5638
144872 [질문] ANOVA 방법으로 통계 돌린 논문 추천바랍니다. [2] 망개떡4292 20/05/12 4292
144871 [질문] pc구매할려구합니다 [3] 환경미화4272 20/05/12 4272
144870 [삭제예정] 종합소득세 처음 신고해보는데 질문이 있습니다. +추가 [8] 삭제됨5598 20/05/12 5598
144869 [질문] 알쓸신잡이랑 비슷한 콘텐츠 없나요? [7] 트와이스정연6552 20/05/11 6552
144868 [질문] 주문진 가는데 뭐 볼만한거 있을까요 [3] 진리3519 20/05/11 3519
144867 [질문] 소득대비 카드지출에 관한 질문입니다. [6] 찬양자4181 20/05/11 4181
144866 [질문] [기타]기타 좀 치시는분? 이거 보시고 코드 2개만 뭔지 알려주세요 [5] 불대가리5382 20/05/11 5382
144865 [질문] 윈도10 정품인증방법 질문입니다. [8] 프리템포5698 20/05/11 569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