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5/06 10:23:30
Name 홀리데이
Subject [질문] 벤치프레스 후 팔꿈치 통증
이번주 월요일에 벤치프레스를 평상시보다 무겁게 하다가 억지로 올리는 과정에서 팔꿈치쪽에 부하가 갔습니다.

그 후에 팔을 접었다 피면 팔꿈치에 통증이 있습니다.

팔꿈치를 직접 누르면 아주 약간 아픕니다.
보통 뭉친데 누르면 많이 아픈데 이런 통증과 다른 느낌입니다.

이런경우 원인이 무엇인지 알 수 있을까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05/06 10:33
수정 아이콘
테니스엘보나 골프엘보일 거 같은데..
저도 헬스하다가 골프엘보 와서 병원도 좀 다녀보다가 시간이 약이래서 2월부터 계속 휴식중이에요
유튜브 등으로 자가진단법 해보시면 테니스엘보나 골프엘보인지 판단 가능하실 것 같네요
홀리데이
20/05/06 10:33
수정 아이콘
앗 감사드립니다!!! 유튜브 통해서 확인해보겠습니다!!
홀리데이
20/05/06 10:57
수정 아이콘
찾아봐서 자가진단해보니깐.. 테니스 엘보는 아닌거 같네요..
20/05/06 10:33
수정 아이콘
전문가는 아니지만 저랑 통증부위와 증상이 비슷한것 같네요!
저는 볼링때문에 팔꿈치를 펼때(볼링에서 순간적으로 팔꿈치를 접힌상태에서 튕기듯 펴는 자세가 있어요!)
아픈증상이 있고 말씀하신것과 비슷하게 누르면 멍든것처럼 아파요!
병원가본건 아니지만 볼링인들의 시각에서는 테니스 엘보증상이라고 하네요!
저는 반복적으로 펼때 데미지가 온 것 같은데, 비슷하게 반복운동을 하는 벤치프레스도 비슷하지 않을까싶어요!
크게 증상이 있지 않은한 병원가도 보전적 치료 정도만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홀리데이
20/05/06 10:34
수정 아이콘
맞아요!! 막 뭉친통증이랑은 다르게 멍든데 누른것처럼 아프네요!!! 감사드립니다
차기백수
20/05/06 10:33
수정 아이콘
테니스엘보 아닐까생각되네요...맞다면 거슬리게 아플텐데 그냥 휴식하셔야해요
홀리데이
20/05/06 10:34
수정 아이콘
거슬리게 아픈거 맞습니다ㅠㅠ.. 당분간 조심해야겠네요..
나무늘보
20/05/06 10:43
수정 아이콘
저는 벤치하고 나면 어깨가 너무 불편합니다 ㅠㅠㅠㅠㅠ
홀리데이
20/05/06 10:58
수정 아이콘
아이고ㅠㅠㅠㅠ 저도 하면 딴데가 많이 아프더라고요
20/05/06 10:56
수정 아이콘
헬스 유투버들이 안 좋은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게 아닌가 싶네요..
일반인들이 3대 500이 무슨 의미인지..
홀리데이
20/05/06 10:58
수정 아이콘
저는 3대 500이랑 전혀 관련없이 되게 낮은무게 들다가.. 한거여서요 ㅠㅠ
20/05/06 12:50
수정 아이콘
그렇군요 ㅠㅠ
트윈스
20/05/06 11:29
수정 아이콘
3대 중량이 최고라고 외치는 헬스 유튜버가 많나요 ? 중요하다고 말하더라도 무조건 자세가 먼저라고 할텐데요..
20/05/06 12:52
수정 아이콘
개인적으로는 헬스 운동 자체에 회의적이라..
일반인이 부상 입을 가능성을 가지고 그런 운동을 할 필요가 있나 해서요..
트윈스
20/05/06 13:13
수정 아이콘
정자세로 욕심 안내면 부상 입을 가능성은 거의 제로죠. 자전거나 등산이랑 비교해도 부상 위험도가 높은 운동은 아닌듯하네요. 그리고 제가 물어본건 3대 중량 밀어붙이는 헬스 유튜버였는데..
20/05/06 13:15
수정 아이콘
언더아머 얘기가 유투버들 사이에서 나오는 밈 아니었나 싶어서요
트윈스
20/05/06 13:17
수정 아이콘
언더아머는 디씨밈입니다..
20/05/06 13:23
수정 아이콘
전 이제 나이들어서 디씨는 안 봐서요
유투버 몇 개 보면 언더아머 얘기 나오는데.. 제가 그래서 언더아머를 알고 있는 거라서요
뭐 전 부정적으로 님은 긍정적으로 본다고 하고 넘어가시죠 제가 유투버 하나를 찍은 게 아니라;
트윈스
20/05/06 13:29
수정 아이콘
그런 유튜버 있으면 바로 관심없음에 추가하려고 여쭤본겁니다..크크 저도 디시는 안합니다. 밈 퍼오는거만 타사이트에서 접하고..
타이팅
20/05/06 13:15
수정 아이콘
16년도였나.. 문체부 조사 결과 보시면 (생활 체육인 대상)
축구 격투기 검도 농구 등이 가장 부상률 높은 종목으로 분류됐고
헬스는 테니스 야구 등과 같은 일반적인 수준의 부상 위험 있는 종목으로 분류됐습니다~
20/05/06 13:20
수정 아이콘
아 네네 저도 재밌어서 개인이 운동하는 건 당연히 자유라고 생각하는데
헬스하면 "건강"해진다는 말이 맞나 해서요 개인적으로는 회의적이라..
타이팅
20/05/06 13:23
수정 아이콘
넵 대부분의 일반인 건강 개선에 아주 큰 도움이 되죠
본인이 잘못하고 무리해서 다치는 거에요 축구하다 다치는게 축구공 탓이 아니듯
20/05/06 13:47
수정 아이콘
네 제가 개인적으로 회의적이라서..
정형외과 / 재활의학과 / 통증의학과같은 곳에서 건강을 위해 헬스를 권하는 건 아니니까요
타이팅
20/05/06 15:20
수정 아이콘
운동에 대한 몰이해 때문이죠
사실 그냥 그런가보다 합니다 좋은건 나만 해야지 마인드로..
20/05/06 15:23
수정 아이콘
뭐 그죠 각자 믿는대로 살면 되는 거라..
밥오멍퉁이
20/05/06 10:59
수정 아이콘
벤치프레스가 봉 뽑아서 내렸다가 팔이 반쯤 펴지는 시점까지는 흉근을 많이 써서 팔을 미는 동작에서 모으는 힘을 쓰는데
마지막에 쭉 뻗는건 삼두를 훨씬 많이씁니다 근데 보통 이럴때 삼두 힘이 충분하지 않은데 어깨-팔꿈치를 억지로 열고 비틀면서 (이러면 등 하강해둔 중립이 풀리져) 관절 인대힘으로 올리면 힘줄 인대쪽 염증이나 손상이 급성으로 올 수 있을거에요 당분간은 팔꿈치 힘 쓸만한 움직임 자제해주시고(웨이트도 당연히 금지) 휴식+일상생활 불편하시면 파스같은거 쓰시면서 괜찮아질때까진 두셔야해요


그리고 저도 헬린이지만 피트니스 선수인 사촌말 들어보면 벤치프레스는 좋은 운동이지만 코치 없는 초보자는 안하는걸 추천한다고 하더라고요. 말씀하신대로 팔꿈치/어깨 손상이 일어나는 경우가 너무 빈번해서.. 머신운동위주로 부상위험을 좁히고 꾸준히 운동하다가 전문가와 시작하는게 좋다고 합니다. 3대운동이 좋은 운동들이고 그거 하나만 가지도고 운동효과가 좋은 만큼 부상위험도 크다네요
잉여신 아쿠아
20/05/06 11:13
수정 아이콘
1~2주 말고 길게 쉬시구요..
팔꿈치 보호대랑 손목 보호대 사시면서 헬스하세요..
중량도 많이 올리지 마시고..
잉여신 아쿠아
20/05/06 11:15
수정 아이콘
그리고 소염진통제도 사서 드세요
LucasTorreira_11
20/05/06 11:38
수정 아이콘
그거 심해지면 가방도 못 매실껍니다...팔을 못 넣어서
부디 쉬시길
비둘기야 먹쟛
20/05/06 11:45
수정 아이콘
팔꿈치가 안쪽이냐 바깥쪽이냐에 따라 골퍼녀 테니스냐 인데 이건 쉬는수밖에요. 저도 3월 부터 헬스장 닫아서 어차피 쉬고있는데도 아직 완전히 사라지진 않았네요
20/05/06 11:59
수정 아이콘
쉬세요... 관절 한번 아프기 시작하면 답이 없어요...
저도 나이가 있다보니 관절이 예전같지 않아서
무게는 헬린이인데 보호장비는 프로급입니다;;;;;;;
엔지니어
20/05/06 13:14
수정 아이콘
무게는 헬린이 보호장비는 프로급..
사생활 보호좀 부탁드립니다 허허...
타이팅
20/05/06 13:17
수정 아이콘
어떻게 뒤틀렸는지 봐야 추측이라도 하겠는데요
재활의학과 방문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20/05/06 14:22
수정 아이콘
원인은 관절 부상이고요 -_-;; 통증이 완전히 회복할 때까지 운동은 하지 않아야 합니다. 운동으로 얻는 이득보다 부상이 지속되거나 혹은 더 심해져서 얻는 손해가 훨씬 큽니다. 그리고 1,2주 지나도 통증이 호전되지 않는다면 병원 방문을 추천드립니다.
이런 부상은 의사가 직접 진단해도 혹은 MRI를 해도 알 수 있을지 모르는 수준이기 때문에 이렇게 인터넷 질문해서 얻은 답변을 신뢰하는 것은 매우 무모한 행동이라고 생각합니다.
chilling
20/05/06 14:36
수정 아이콘
경미한 부상이라 며칠 쉬면 좋아질 수도 있습니다. 일주일 정도 푹 쉬신 다음 가벼운 무게로 벤치프레스 동작 해보시고, 그래도 통증이 느껴진다면 병원에서 진단 받으세요. 지역이 서울이라면 잘 보는 병원 추천해드리겠습니다.
참치성애자
20/05/06 15:53
수정 아이콘
병원관련 쪽지 부탁드려도 될까요?
chilling
20/05/06 16:38
수정 아이콘
쪽지 말고 그냥 적을게요.

상왕십리에 자세본재활의학과입니다. 쐬질 좀 하는 사람들 사이에선 이미 유명한 병원이고요.
진료도 길게 봐주고 운동에 대한 이해도도 높은 의사선생님이 계십니다.
영소이
20/05/06 21:11
수정 아이콘
정보 감사합니다!
나무늘보
20/05/06 16:09
수정 아이콘
저도 병원 추천 부탁드리겠습니다!
chilling
20/05/06 16:39
수정 아이콘
위에 적어놨으니 참고하세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4792 [질문] 갤럭시 이모티콘 질문입니다 [2] StondColdSaidSo3690 20/05/09 3690
144791 [질문] 엑셀 파일 복구 방법? [5] 더치커피8483 20/05/09 8483
144790 [삭제예정] 이번 재난지원금 질문드려요 [3] 불대가리5539 20/05/09 5539
144789 [질문] 부산에 대해 잘 아시는 분만 [15] 박세웅6072 20/05/09 6072
144788 [삭제예정] 결혼하신 분들께 궁금한 점이 하나 있습니다(결혼후 부모님께 드리는 생활비 관련) [31] 삭제됨8497 20/05/09 8497
144787 [질문] 라디오스타 레전드 영상 혹시 아시는 분? [5] 살다보니별일이5630 20/05/09 5630
144786 [질문] 왕십리에서 소개팅 하기로 했는데 어디가 좋을까요?? [10] 삭제됨8437 20/05/09 8437
144785 [질문] 중절모에 코트+비밥 장르가 음악으로 나오는 애니메이션 오프닝 질문합니다. [7] 쥐세페 조씨5517 20/05/08 5517
144784 [질문] 부부의 세계 보고 질문입니다 [7] 키류5100 20/05/08 5100
144783 [삭제예정] PGR 고수유저분들(?)께 글 중간에 이미지 삽입하는법 질문 [5] 유소필위4261 20/05/08 4261
144782 [질문] 서울사랑상품권 이경우에는 어떻게 써야할까요 [7] 불대가리5187 20/05/08 5187
144781 [질문] 80년대 추억의 장난감 질문입니다. [8] 마리아 호아키나5304 20/05/08 5304
144780 [삭제예정] 관급 영업 직무에 대해 잘 아시는 분이 계실까요? [3] 삭제됨5780 20/05/08 5780
144779 [질문] 긴급재난지원금 관련해서 은행이나 카드사에 이득이 있나요? [10] 백소6465 20/05/08 6465
144778 [질문] 종합소득세 경비율 관련 질문입니다. [8] 유리한4433 20/05/08 4433
144777 [질문] 동영상 자르기 정도의 편집 가장 쉬운 방법이 뭔가요? [6] 호아킨6264 20/05/08 6264
144776 [질문] 구글의 시총은 알파벳 A와 C를 합해야 하나요. [3] 설사왕5929 20/05/08 5929
144775 [질문] [화면녹화+필기+음성녹음=영상제작] 할 수 있는 아이패드 앱 추천 [2] 와룡 선생5809 20/05/08 5809
144774 [질문] [스타1] 헌터보다 큰 밀리맵이 있나요? [9] Aku12808 20/05/08 12808
144773 [질문] 무선청소기를 구매하려고 합니다. [9] ItTakesTwo6288 20/05/08 6288
144772 [질문] 안드로이드 인터넷 접속이 안됩니다 (디시인사이드) [2] WHIPLASH5781 20/05/08 5781
144771 [질문] 미스터트롯 콘서트 티켓 중고로라도 구하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할까요? [4] 光海5654 20/05/08 5654
144770 [질문] 건설안전 기사 시험관련 [4] 조과장4615 20/05/08 461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