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5/03 23:10:27
Name 미숙한 S씨
Subject [질문] 삼성 tv 살까 생각중인데 모델추천 부탁드립니다.
결혼 예정이라 여자친구랑 같이 백화점 삼성에서 혼수품 뒤비고 왔습니다..

뭐 다른 제품들이야 다 여친님 하고싶으신대로 -_- (= 백화점에서 추천해준 최신 고급 비싼 라인들) 골랐고...

여친님이 tv를 안보는지라 유일하게 제가 고를 수 있는건 tv 뿐이었는데요. (뭐 원래 남자가 고를 수 있는건 여자 뿐이라더군요... tv라도 선택권이 있는게 감지덕지라 해야할지... 크크)

거기서 추천하길 삼성 75인치 95라인 모델인 kq75qt95a를 추천하더라구요. 가격은 전체를 다 계산한 다음 tv만 따로 떼서 보니 대략 560에 옵션으로 43인치 안방용 tv + 사운드바 하나 챙겨준다더군요.

인터넷 최저가보다는 확실히 좀 더 싸긴 하고 거기에 옵션이 들어가긴 해서 가격 자체에 대해서는 불만이 없습니다만, 과연 이정도 고급 tv를 고를 필요가 있는지 의견을 좀 여쭤보고싶어서 글을 올립니다.

사실 저도 여자친구도 tv를 많이 보는 편은 아니라 그냥 같이 쇼파 앞에서 노닥댈때 틀어놓거나 같이 가끔 영화 보거나 제가 게임기 연결해서 하거나..  이정도일거라고 생각합니다. 해서 4k랑 hdr 어느정도는 되면 좋겠다고 생각하지만 너무 고급일 필요는 없지 않을까 싶어서요.. 제가 뭐 그런거 다 구분할만큼 금눈도 아니라... 헤헤...

그래서 인터넷을 뒤비다 보니 95 라인과 90 라인의 차이는 그냥 슬림 어쩌고를 더 붙일 수 있는지 없는지 차이 뿐인거 같더라구요... 그래서 일단 95는 기각하고 90 80 70라인 중 하나로 고를까 생각중인데요.

세 모델의 잡다한 차이(두께라던가 악세사리라던가) 같은건 관심 손톱만큼도 없으니 제껴두고...

영상의 차이는
1. 퀀텀 hdr 2000 vs 1500 vs 그냥 퀀텀 hdr + dual led
2. Ult.디밍 프로 vs  sup.디밍 vs  sup.디밍

이렇게 있고 사운드의 차이는
1. 4.2.2ch vs 2.2ch vs 2ch
2. OTS 있음 vs 있음 vs 없음
뭐 이렇더라구요.

그래서 결국 궁금한건

1. 90라인 80라인 70라인 중 추천해주실만한게 있는지?
2. 세 라인의 영상 차이가 큰지??
3. 그리고 사운드바를 같이 달아서 쓸건데 굳이 4.2.2ch짜리 90을 살 필요가 있을지, 신기술이라는 OTS 같은게 쓸만한지... 입니다.

피식인에도 혹시나 이쪽에 잘 아시는 분이 계실까 해서요... 헤헤...

짧게 한줄 요약 하면 kq75qt90 80 70중 하나만 추천해주세요 헤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05/04 00:18
수정 아이콘
저라면 70모델 사고 돈 아껴서 몇년 쓰다가 그때 신제품 또 사겠습니다
70정도만 되도 LG 나노셀 최상위보단 화질 좋거든요
미숙한 S씨
20/05/04 00:26
수정 아이콘
오 답변 감사합니다 .70시리즈만 해도 꽤 성능이 좋나보군요...
20/05/04 00:30
수정 아이콘
https://www.youtube.com/watch?v=NZhmLZt91VU

이영상 참고해보시면 좋을거같습니다
20/05/04 00:38
수정 아이콘
그리고 19년 70R모델보다 20년 70T모델이 너프됐다는말이 있어서 19년모델 사는게 더 안전한 선택이실수도 있습니다
제가 링크한 영상도 19년 모델 리뷰입니다
미숙한 S씨
20/05/04 01:52
수정 아이콘
감사합니다. 참고하겠습니다. 그나저나 20년 모델이 더 너프됐다니 혹시 어떤 점인지 알 수 있을까요?
20/05/04 02:10
수정 아이콘
로컬디밍이 19년도 제품이 한단계 위고 백라이트는 20년도 제품이 더 좋다는데 전문가 리뷰가 정확하게 나온게 아니라서 확실한 정보는 아닙니다
60모델은 Rtings에서 20년모델 리뷰한게 있는데 19년모델보다 점수가 살짝 떨어지긴 하더군요
퀴로스
20/05/04 04:01
수정 아이콘
예산이 넉넉하신것 같은데, 시청 거리가 허락한다면 85"나 그 이상 사이즈로 더 키워보는건 어떠신가요?
사실 삼성(VA mode) vs 엘지+(IPS)의 액정모드 외에 나머지는 그렇게까지 의미가 있나 싶습니다.
- QLED : 색재현성 조금 높여주는 정도.. 그나마도 비정상적으로 보일뿐
- OLED : 가성비 떨어짐
- Local Dimming 2D : 화면에 따라서 오히려 이상하게 보이기도 함 (예) 밤하늘의 은하수)
- Color engine(SOC Color compensation Algo) : 얘전에는 소니가 잘한다고 했지만, 이제는 거의 소소 수준이라...
20/05/04 07:36
수정 아이콘
85인치 사용중입니다만... 다 좋은데
이사할때 골치아프더라구요.. 옮겨준다는 곳이 정품센터말고는 거의 없는수준;;
이사짐센터에서는 80인치 이상은 절대 못옮겨준다고 그러더라구요
최근에 이사하면서 탈거 + 이동 + 재설치까지 45만원 들었습니다.
이동거리는 약 30km 정도구요.
20/05/04 07:38
수정 아이콘
성능 조금 다운시키고 85인치로 가는거 추천합니다
꿍이꼼이
20/05/04 08:25
수정 아이콘
티비는 직구 아닌가요...?
저번달에 75인치 해외직구로 210정도로 샀는데요.
엄청난 고성능 티비 필요하지 않으면 직구도 알아보세요
네이버후드
20/05/04 09:17
수정 아이콘
560이면 OLED 77직구로 삽니다 저라면
몽키매직
20/05/04 10:31
수정 아이콘
저도 여기 한 표입니다.
현재 최고 가성비는 LG OLED 직구...
20/05/04 19:52
수정 아이콘
기다림의 고통을 감내하실 수만 있다면 무조건 직구입니다.
몽키매직
20/05/04 10:39
수정 아이콘
QLED 의 Q70/80/90 은 단계적으로 HDR 최대 밝기가 800/1200/1500 니트 정도 의 차이가 있고 Q70 과 80 사이에 로컬디밍 퀄리티가 확 다르기 떄문에 굳이 QLED 사시겠다 하면 80 혹은 90으로 권장드리고요... 근데 최대밝기만 포기하시면 LG OLED 티비가 화질, 반응속도에서는 넘사벽 최고입니다. 혹시라도 콘솔 연결하실 일이 있으시다면 게이밍은 OLED >>>>>>>> QLED 임도 감안하시고... 예산 560 이라면 위에분 말씀처럼 77 OLED 직구 (로컬 변경안하면 리모컨 불편함) 가 가장 좋은 옵션이고, 정 삼성 QLED 구매하시겠다 하면 지인 삼성직원 있다면 직원몰에서 (5월, 11월은 포인트 차감이 없어서 피해 안주고 구매 가능...) 80인치 이상 QLED 4k 도 500만원대에서 구매 가능합니다.
미숙한 S씨
20/05/04 10:45
수정 아이콘
좋은 답변들 감사합니다. 열심히 참고해서 구매하도록 하겠습니다. 헤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4919 [질문] 공무원 시험 1달 남았는데 어떻게 해야 점수 바짝올릴수있을까요? [4] 삭제됨4351 20/05/13 4351
144918 [질문] 팔굽혀펴기 하는데 목이 아픕니다. 정상인가요? [5] 이런이런이런4615 20/05/13 4615
144917 [질문] 노트북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7] No.103678 20/05/13 3678
144916 [질문] 제 운동량으로 단백질보충제를 사서 먹는게 효율적으로 도움이 될까요 [18] 보로미어5516 20/05/13 5516
144915 [질문] 광장시장 맛집 질문입니다!!(육회랑 갈치조림) 신전부수기3231 20/05/13 3231
144914 [질문] 조류도감 추천받고 싶습니다 [10] moonland4130 20/05/13 4130
144913 [질문] 중고명품가방 3개정도 팔려고 합니다. 어떤 사이트가 좋을까요 [8] 레뽀4295 20/05/13 4295
144912 [질문] 컴퓨터 부품 선택에 관한 질문입니다. [5] 카페알파3872 20/05/13 3872
144911 [질문] 5살 딸아이 동반 제주여행 숙소/식당 추천 부탁드립니다. [2] WiTy3991 20/05/13 3991
144910 [삭제예정] 10억 주택 구입 시 대출문의 [15] 삭제됨5154 20/05/13 5154
144909 [질문] 남자 머리 질문 드립니다... [6] 미와야키사쿠라4388 20/05/13 4388
144908 [질문] 국가재난지원금 알라딘도 사용가능한가요? [5] 똥꾼6727 20/05/13 6727
144907 [질문] 집에서 런닝머신 이나 워킹머신(패드) 쓰시는 분 계신가요? 추천부탁드립니다 [3] 배고픕니다3947 20/05/13 3947
144906 [질문] 라스트 오리진 관련 질문입니다 [12] Lakto3603 20/05/13 3603
144905 [질문] 여자친구 선물 추천부탁드립니다. [31] Equalright6244 20/05/13 6244
144904 [질문] 구글 크롬 충돌문제 (feat. e학습터?) moqq3980 20/05/13 3980
144903 [질문] 안마의자 뭘보고사야되나요? 추천도부탁드립니다 [11] 밥잘먹는남자4745 20/05/13 4745
144902 [질문] 이런 나무의자가 몸에 좋을까요? [16] 삭제됨6256 20/05/13 6256
144901 [질문] 테트리스 99 잘하고 싶어요 [3] 及時雨3909 20/05/13 3909
144900 [삭제예정] 이직 or 복직 질문드립니다. [8] 삭제됨4024 20/05/13 4024
144899 [질문] 자전거 구매 질문입니다. [1] 가라한3733 20/05/13 3733
144898 [질문] 동급차량으로 자동차 바꾸는건 어떤가요? (포르테쿱 - 올뉴아반떼) [10] 잘생김용현4678 20/05/13 4678
144897 [질문] 예전 싸이월드 bgm으로 쓰였던 팝송을 찾고 있습니다. [6] 검암동위즈원3853 20/05/12 3853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