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4/16 17:55:59
Name 쇄빙
Subject [질문] 21대 국회 상임위원회 위원장 구성
민주당이 180석이 됨으로써, 21대 국회 상임위원회 위원장 구성이 어떻게 될까요?
의석기준으로 정한다면 위원장이나 위원들 비율도 어떤 조건이 있을것 같은데요.
물론, 의석과 상관없이 여야가 논의해서 반반으로 나누게 될수도 있겠지만,
최소한 이번경우는 그렇게 볼 여지는 적어보여서요.

그럴경우, 민주당은 어떤 위원회를 차지할 수 있을까요? 야당에서 법사위 예결위 고수하는 작전을 또 펼치면 속절없는건지도 궁금하구요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유료도로당
20/04/16 18:01
수정 아이콘
(수정됨) 보통 위원장이나 위원 배분은 의석비율대로 하는게 관행입니다. 즉 민주당이 더 많은 위원장을 차지하게 될 겁니다.

다만 법사위는 전통적으로 야당(혹은 제2당)에게 주는게 관행이긴 합니다. 특히 여당이 1당일경우 국회의장과 법사위원장이 모두 여당이면 국회의 견제가 효과적으로 작동하지 못할 우려가 있다는 논리입니다. 박근혜 정부 당시 19대 국회에서도 새누리당이 1당이었으나 법사위원장은 민주당에서 맡았었습니다. (물론 꼭 지켜야만 하는 원칙까진 아닙니다만..)
LifeLivingToday
20/04/16 18:28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도 이번 상임위원회가 가장 궁금한데요.

개인적인 예상은
1. 운영위-법사위 두 개를 미래한국당에게 넘길 일은 없다!!
(많은 분들이 간과하는 것 중에 과거 열린우리당 시절 과반을 차지하고도 드라이브를 걸 수 없었던 데에는 운영위-법사위를 자발적으로 미래한국당에 넘긴것도 큰 이유중 하나죠.)

2. 운영위는 관례적으로든, 위원회 성격으로든 더민주가 가장 강력하게 주장할 것이고 또 가져갈 것이다!!

3. 법사위???????????

법사위가 가장 중요한 쟁점이 아닐까 싶습니다.
더민주 지지자로서 운영위-법사위 모두 더민주가 가져가길 바라고 법사위를 가져올 명분도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명분1- 법사위는 김대중 이후 관례적으로 제1야당이 가져갔으나 이 원칙을 깬 것이 박근혜 시절 자유한국당임(20대 국회 전반기, 법사위원장 권선동)
명분2- 미래한국당이 법사위 맡았던 20대 국회 후반기 기간동안 법사위의 견제로 일을 못함.
명분3- 미래한국당은 지들이 여당일땐 여당이라고 법사위 먹고, 야당일땐 야당이라고 법사위 먹고... 두 번 양보했으면 충분함.

개인적으로는 이번 21대 총선이 역대급 압승이기에 더민주에서 운영위-법사위 둘 다 주장할 가능성도 분명 있습니다.
거룩한황제
20/04/16 18:29
수정 아이콘
사실 법사위가 상임위중에 또 상위라...
이걸 민주당은 이런 체계를 없앤다고 했지만
여튼 한번은 법사위원장을 차지해야 할것입니다.
그래야 이 법안 상정해서 올리죠.

근데 60%가 민주당인지라...
쪽수로 부족해서 그냥 다수결로 해도 법사위 먹을 수 있을거 같네요.
독수리의습격
20/04/16 18:32
수정 아이콘
국회의장-운영위는 그동안의 관행을 봤을때 여당이 확실히 먹고(국회의장은 제1당에서, 운영위는 여당의 원내대표가 위원장을 하는게 관례) 법사위정도는 지금까지의 관행을 봤을 때 야당 줄 수도 있을거 같습니다. 대신 예결위나 국토위같은 인기 상임위를 모두 여당이 가져갈 듯.
LifeLivingToday
20/04/16 18:36
수정 아이콘
법사위를 야당이 가져간다는 관행은 박근혜 시절 미래한국당이 깼죠.(20대 국회 전반기 법사위 권선동 미래한국당)
이번에 법사위를 더민주가 가져갈 명분도 충분하다고 봅니다.
독수리의습격
20/04/16 18:37
수정 아이콘
20대 전반기때는 국회의장이랑 딜을 친거라고 봐서.....당시 더민주가 선거에서는 1당이긴 했는데 무소속 당선자들 싹 복당시키면서 위원회 협상할때는 도로 새누리당이 1당이 됐죠
LifeLivingToday
20/04/16 18:39
수정 아이콘
확실히 독수리님 말씀대로 법사위 넘기고 예결위나 국토위같은 인기 상임위 싹 가져오는것도 괜찮을 것 같네요.
어차피 법사위에서 막아도 패스트트랙으로 통과시키면 법사위 프리패스니..
도라지
20/04/16 18:36
수정 아이콘
일단 미통당이 뭘 해도 법안 다 통과시킬 수 있습니다.
게다가 과거처럼 하면 다음 선거에서도 과거처럼 박살나겠죠.
20/04/16 18:40
수정 아이콘
복잡할게 없는게 평범한 양당제 여소야대이므로 의장, 운영위, 예결위는 여당, 법사위는 제1야당이라는 기존 관행대로 갈겁니다. (이건 이명박, 박근혜 정부때도 마찬가지였죠)
나머지는 교섭단체 의석에 따라 배분입니다. 이것도 양당제라 매우 심플하죠. 보통 여당이 기재위, 정무위와 같은 정부 운영에 중요한 상임위를 여당이 선점하는데, 이번에는 여당이 의석이 워낙 많아서 기존 여당 상임위에 환노위 같은 자당 의원들 일부가 관심 가질만한 상임위까지 가져올 수 있다는게 큰 장점입니다.
SkyClouD
20/04/16 18:56
수정 아이콘
그냥 관행 다 무시하고 국회법대로 가야죠. 쟤들은 뭐 전에 다 지켜줬나.
딱히 나눠줄 필요 없습니다. 야당 나가면 나가는대로 국회 돌아가거든요.
파수꾼
20/04/16 19:22
수정 아이콘
이젠 제발 법대로...
최강한화
20/04/16 19:31
수정 아이콘
20대처럼 엄대엄도 아니고 21대는 여당 압승이기 때문에 절대 휘둘리지 말고 할거 다 해야죠.
17대처럼 밀어줬는데 어영부영하면 22대때는 18대 국회꼴 날 수 있습니다.

그냥 지지층 등에 업고 하고 싶은거 다해야만 합니다.

17때 탄돌이들 이제 중진의원 됐으니 그때의 우를 범하지는 않을겁니다.
StayAway
20/04/16 20:58
수정 아이콘
민주당 전통의 부자 몸사리기하지말고 딱 줄거만 주고 받을거 다 받아야죠.
카바라스
20/04/17 00:15
수정 아이콘
민주당이 08년 80석대로 폭망했을때도 법사위는 제1야당몫으로 가져간지라 웬만하면 미한당이 가져갈거 같긴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4248 [질문] 에어팟 프로 vs 젠하이저 모멘텀트루2 [10] 조휴일8064 20/04/20 8064
144247 [질문] 블루투스 헤드폰 사면 디스코드 되나요? [2] beloved6281 20/04/20 6281
144246 [질문] 제 계정으로 타인의 질문을 여기에 올리면 계정 공유에 해당할까요? [6] 조말론5146 20/04/20 5146
144245 [질문] 테저전 최신 빌드 질문입니다. [9] 게롤트8776 20/04/20 8776
144244 [질문] 팀명 추천 받습니다. [78] RyuDo25572 20/04/20 25572
144243 [질문] 헬스용 블투 이어폰 추천 부탁드립니다 [4] 도시의미학4747 20/04/20 4747
144242 [질문] 긴급 재난 지원금 70% , 100% PGR 분들은 어떻게 보시나요? [51] 마르키아르7523 20/04/20 7523
144241 [질문] 저주파 복부 마사지기를 살려고 합니다. [11] MaruNT4743 20/04/20 4743
144240 [질문] 바람(불륜)을 주제로 한 영화가 있을까요? [40] 아엠포유8062 20/04/20 8062
144239 [질문] 커플용 PS4 타이틀 추천해주세요 [21] Kaga10136 20/04/20 10136
144238 [질문] 보조배터리 충전단자 수리는 어떻게 할 수 있나요? [3] VictoryFood4611 20/04/20 4611
144237 [질문] 컴퓨터 견적 및 모니터 추천 질문입니다~ [2] 비오는거리6447 20/04/20 6447
144236 [질문] 업무용 무선 키보드&마우스 추천 부탁드립니다. [3] 사이시옷6175 20/04/20 6175
144235 [질문] 회사 차장님 득남 기념 선물 뭐가좋을까요? [14] 5135 20/04/20 5135
144234 [질문] HD600 헤드폰과 앰프 질문입니다 [8] Crash9448 20/04/20 9448
144233 [질문] QR코드 결제가 중국처럼 활성화 될수 있을까요? [13] 빵떡유나5390 20/04/20 5390
144232 [질문] 중요하지 않은 일로 마스크를 낀채 하는 외출은 비난받아야 한다고 보시나요? [21] 마르키아르6965 20/04/20 6965
144231 [질문] 말리부 중고 구매하려 합니다. 선택도와주세요!! [6] 또바기5978 20/04/19 5978
144230 [질문] Lec 결승 한국어해설 [5] 릴로킴4777 20/04/19 4777
144229 [질문] 새 컴퓨터로 바꿔도 배틀넷 사이트, 앱 접속이 잘 안되네요. [12] 고요6529 20/04/19 6529
144228 [질문] 중국인들의 기인 선수에 대한 평가는 어느정도인가요? [4] 묻고 더블로 가!5943 20/04/19 5943
144227 [질문] 기계식 키보드 타건해보기 좋은 데가 어디 있을까요? [6] -안군-11844 20/04/19 11844
144226 [질문] 밤하늘 별을 보면 눈이 나빠져야하는 게 아닐까요? [12] 티타늄6718 20/04/19 6718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