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4/13 00:44:19
Name s-toss
Subject [질문] 부동산을 잘 고르는 팁이 있나요?
부모님과 함께 살다가 슬슬 독립할 준비를 하고 있는데요, 집을 어떻게 알아봐야 하는지 조언을 구합니다.
일단 지역을 선정했고, 평수나 전월세 등을 정했다고 한다면, 그 다음 순서는 어떻게 되나요? 그냥 그 근처 부동산 몇 군데를 돌면 되는 건가요?
부동산을 잘 고르는 팁 같은 게 있을까요? 신혼집입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04/13 00:56
수정 아이콘
저도 요즘 알아보고 있는데요. 회사내 경험많은 이사님이나 부장님 말하기를 부동산 할때는 어느정도 자기 취향이나 지역의 향후 개발? 이런거 보는것도 맞는데 설사 집값 안오르더라도 자기가 들어가면 살면되지 뭐 라는 생각이 필요하다고 하더군요. 너무 모르는 사람도 잘 못하는 거지만, 너무 아는 사람도 예측 불가인게 부동산 시장이라 하더군요. 그리고 부동산도 끊임없이 가서 발품파는게 답인게 부동산 사람들 '다 사기꾼' 인데 그 속에서도 계속 접촉하고 얘기 듣고 하면 outline이 그려진다? 고 하더군요.
興盡悲來
20/04/13 01:07
수정 아이콘
네... 부동산들 돌아다니면서 이러이러한 조건으로 집 찾고있다 괜찮은거 나오면 연락달라 하시면 됩니다...
20/04/13 01:37
수정 아이콘
전월세 전제로 말씀 드리면, 일단 집을 도세요. 자기 조건 하에서 어느 정도 패턴이 나옵니다. 그러면서 뭘 양보할 수 없는지를 재봐야죠.
저희는 입지와 햇빛 드는 것 같은 기준으로 골라서 들어왔는데, 층간소음이 말도 안 돼서 실패한 케이스입니다.
사실 서로한테 무엇이 중요하고 무엇을 어디까지 봐야하는지는 경험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20/04/13 01:48
수정 아이콘
층간소음 저도 시달려봐서 중요한 문젠데요, 들어가서 살기 전에 층간소음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20/04/13 02:09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저도 생각 중인데요, 가장 확실한 방법은 다른 집에 물어보는 걸텐데 쉽진 않겠고,
최종 체크 같은 느낌으로 해야 할 것 같아요.
조금 시끄러운 저녁 시간대에 집 한 번만 더 본다고 하고 가서 귀를 기울이면 느낌이 오지 않을까 싶습니다.
축 5~12년 정도의 집이 별로인 곳이 많지 않나 추측합니다.
어쨌든 최종 선택 직전에는 낯짝이 두껍긴 해야할 것 같습니다.
미뉴잇
20/04/13 01:59
수정 아이콘
부동산을 몇 번 구입해보았지만 꼭 미리 가보아야 합니다. 인터넷 부동산 카페등 가입해서 관련 정보도 얻고 호갱노노 가서 실거주 입주민들
의견도 들어보구요. 그런데 전월세라면 굳이 넘 스트레스 받지 않고 골라도 됩니다.
20/04/13 02:52
수정 아이콘
(수정됨) 전월세는 살던 시절에는 피티팬 같은데서 시세와 컨디션 위주로 사전확인후 부동산 돌았고요. 매매나 청약당첨 이후로는 부동산 카페를 주로 보네요.

층간소음의 경우 특정 아파트는 인터넷 뒤져보면 소음재 등급을 알아볼수는 있는데 사실 윗집 기도메타의 영역이라...

제가 주변 친구들에게 하는 조언은 부모님 찬스든 뭐든 예산 살펴보고 미래예산범위 + 자녀계획등을 고려해서 미래가치있는 지역에서 신혼부부특별공급을 요긴하게 사용할수있는 지역으로 거주기간 충족을 맞추는게 시작이라고 얘기하네요.

이유는 전월세에서 좋은 집을 구하느냐와 좋은 부동산으로 이어지게 하느냐는 천지차이고 제경우 전월세 좋은 집을 구하는건 누구보다 자신있었지만 내집장만의 청약조건등을 전혀 생각하지 못했었거든요. 전월세 좋은집 자체를 구하는데만 신경썼었네요.

좋은 집을 구하는 팁이나 좋은 부동산을 선택하는 팁은 자세한 상황설명이 없고 방대해서 적기 애매하네요... 잘 선택하기를 기원합니다!
하이아빠
20/04/13 07:31
수정 아이콘
전세보험 꼭 드세요~!!
20/04/13 08:42
수정 아이콘
오호 이런 게 있었군요
하이아빠
20/04/13 08:54
수정 아이콘
계약하실때 집주인과 부동산에 얘기 꼭 하셔야해요. 특약에 (임대인은 임차인의 전세보험 계약에 협조한다.) 라고 박혀있으면 더 좋구요
20/04/13 09:45
수정 아이콘
층간소음은 운90 사전조사 0.1 사후조치 9.9 정도로 보시면 됩니다. 사실상 사전조사로 층간소음 유무를 알수있는 방법은 없다고 보는게..
Cazellnu
20/04/13 09:48
수정 아이콘
신혼집이면 실용적인것 위주로 보시는게 어떨까 합니다.
출퇴근거리, 생활편의성, 가격 등
나머지 전월세 거래에 관련한 주의사항은 조금만 알아봐도 다 나오니 패쓰
다만 몇억씩 넘어가는 아파트 전세아니라면 굳이 보험까지는 오바일수도 있습니다.
테스트2
20/04/13 10:06
수정 아이콘
그다임이 본인 자산한도내에서 최대 금액을 정하는것입니다.
20/04/13 10:12
수정 아이콘
전월세면..특히 전세면 권리관계(근저당등)먼저 보셔야 하고 그 다음에 출퇴근 용이한지 여부와 집상태정도 보면 되겠죠.
몽키매직
20/04/13 11:28
수정 아이콘
평수, 전/월세를 미리 정하시는 게 아니고 직접 발품 팔면서 천천히 정하시는 게 낫습니다. 작아도 마음에 들 수도 있고 커도 마음에 안 들 수도 있고요... 정말 마음에 드는데 월세 혹은 전세만 가능 일수도 있어요.
나이스후니
20/04/13 12:50
수정 아이콘
일단 예산과 집위치가 최우선이죠. 그리고 저는 아침에 한번 오후에 한번 직접 가봅니다. 그리고, 어느정도 위치가 정해졌으면 직접 주변을 걸어보세요. 처음 간날 다음날 간날 보이는게 다릅니다.
층간소음은 윗집 잘못 만나면 답이 없고, 결국 해가 잘 들어오는지, 수압은 괜찮은지 동네 분위기는 괜찮은지 교통편은 편리한지 이런게 중요합니다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4167 [질문] 인터넷 가입약정시 정보를 어디서 얻나요? [14] 인달4554 20/04/17 4554
144166 [질문] 롤 기초 질문입니다. [6] 잉차잉차5986 20/04/17 5986
144165 [질문] 추리소설을 e북 리더기로 보는거 괜찮을까요? [11] Misty5374 20/04/17 5374
144164 [질문] 전동 킥보드 괜찮은거 있을까요 [3] 시무룩3779 20/04/17 3779
144163 [질문] 민주당 180석 시대에 언론개혁은 어떻게 하라는건가요? [21] AKbizs7059 20/04/17 7059
144162 [질문] 혹시 지금 충청도 쪽에 왕벚꽃, 겹벚꽃 핀 곳 있나요? [9] 껀후이5805 20/04/17 5805
144161 [질문] 포장가능한 중국요리집 있을까요? [1] mdcrazy4963 20/04/17 4963
144160 [질문] 복합기 임대관련 질문입니다. 무언가 조금 이상하네요. [4] 코봉이4463 20/04/16 4463
144159 [질문] (주식) 미국 주식시장에는 왜 오래된 기업들이 많은지요...? [18] nexon7346 20/04/16 7346
144158 [질문] 경제, 시사 혹은 재미있는 팟캐스트 추천해주세요 [13] zzzzz4680 20/04/16 4680
144157 [질문] 컴퓨터질문입니다. [5] 교자만두4304 20/04/16 4304
144156 [질문] 자동차 판금도색 맡기려합니다 주의할점있을까요? [7] 안희정4859 20/04/16 4859
144155 [질문] 구리스 도포하고 컴퓨터가 안켜집니다.. [9] 고진감래5594 20/04/16 5594
144154 [질문] 건강보험 신고 기간을 놓치면 어떤게 되나요? [3] 그냥가끔4931 20/04/16 4931
144153 [질문] 고가 1주택 임대 관련 세금 관련은 어디서 알아봐야할까요?? [3] 삭제됨3533 20/04/16 3533
144152 [질문] 21대 국회 상임위원회 위원장 구성 [14] 쇄빙7471 20/04/16 7471
144151 [질문] 선거결과 vs 출구조사 vs 여론조사 정리된게 있을까요? [5] 서쪽으로가자5169 20/04/16 5169
144150 [질문] 황교안 대표 사퇴 연설문 관련 질문 입니다. [16] 헛스윙어5494 20/04/16 5494
144149 [질문] 청년 정치인들 재선 실패하면 어떻게 되나요? [20] 이리떼7192 20/04/16 7192
144148 [질문] 선거 결과 어떤 것 같으신가요? [78] nekorean7072 20/04/16 7072
144147 [질문] 에어콘 질문 하나 드립니다 [2] StondColdSaidSo3973 20/04/16 3973
144146 [질문] [EPL] 리그 재시작 후 가장 잘 할것 같은 팀은? [5] K-14344 20/04/16 4344
144145 [질문] 삼국지에서 가장 무력이 강한 장수가 누구인가요? [31] 삭제됨6945 20/04/16 6945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