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4/12 20:08:39
Name esotere
Subject [질문] 완제품 컴퓨터를 사는 이유가 무엇이 있을까요? (수정됨)
요즘 컴퓨터제품들이 좋아져서 정말 조립이 쉽게 나오는데, 아직도 완제품 컴퓨터를 구매하는 사람을 제 주변에서 적지 않게 보게 되네요.

완제품 컴퓨터를 사는 것이 조립을 하는 것에 비해 어떤 장점이 있는지 불현듯 궁금해졌습니다. 쉽게 생각하면 A/S, 조립을 안 해도 되는 편리성 (그런데 이것도 조립을 맡길 수 있지 않나요?) 등이 생각이 나는데, 이외에 다른 장점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조말론
20/04/12 20:13
수정 아이콘
쉽다고 하는 것도 충분히 어렵고 복잡한 일일 수 있지요 돈많고 신경쓰기 싫은 사람들은 완제품이 속편하고요 저도 여윳돈을 넘어 썩어넘치는 돈 있으면 커세어원으로 그냥 맘편하게 게이밍컴 쓸거같아요
CastorPollux
20/04/12 20:14
수정 아이콘
컴퓨터 본체에 조금만 문제 생겨도 못 고치는 사람이 훨씬 많을 겁니다
대기업 AS 때문에 구입하겠죠
20/04/12 20:14
수정 아이콘
생각 외로 하드웨어에 대해 모르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The)UnderTaker
20/04/12 20:17
수정 아이콘
조립가지고 사기친애들이 워낙 많은것도 크죠
20/04/12 20:22
수정 아이콘
간단합니다. 모르니까요
20/04/12 20:25
수정 아이콘
제 데스크탑도 친구가 주문해주고 조립해줘서 씀요
(컴맹)
20/04/12 21:42
수정 아이콘
그건 완제품이 아닙니다.
오클랜드에이스
20/04/12 20:26
수정 아이콘
개발하면서 느낀건데 저한테 쉬운데 남한테 쉬운게 아닐수도 있더군요...

조립도 마찬가지이지 싶습니다
F.Nietzsche
20/04/12 20:32
수정 아이콘
AS 편의성+일체형의 공간 절약 때문에요
Zakk WyldE
20/04/12 20:36
수정 아이콘
저는 컴퓨터를 조립해서 쓰지만 아버지가 쓰시는 컴퓨터는 늘 삼성 사드립니다.
뭐 안된다고 하시면 주로 소프트웨어 충돌인데(주식 프로그램 때문에) 제조사에서 원격으로 봐주고 그러더라구요.
네 저도 편하고 아버지도 편하시라고 제가 분가를 하는 바람에
로피탈
20/04/12 20:53
수정 아이콘
사람들은 자신이 특별히 관심 없는 분야를 잘 모르니까요...
20/04/12 21:00
수정 아이콘
어머니께서 제게 "요즘 식재료 손질도 잘 되고 포장도 잘 해서 나오는데, 넌 왜 맨날 사먹냐"고 하시는 것과 비슷하죠. 찾아봐야 한다는 스텝부터가 이미 장벽이니까요. 자본에 여유가 있다면 맘 편하게(+A/S도 가능) 완제품으로 사는게 잘 모르는 사람 입장에서는 훨씬 낫지 않을까요?
20/04/13 12:47
수정 아이콘
와우 폐부를 찌르는 비유
20/04/12 21:01
수정 아이콘
1. 모릅니다.
2. 모르니까 어렵고, 어쩌다 사기 당하기도 합니다.
3. 어려운데다 사기 당할수도 있으니 그냥 편하게 정가주고 삽니다.
이 과정은 컴퓨터가 되든, 휴대폰이 되든, 다른 무엇이 되든 잘 모르는 분야에서 공통적으로 일어납니다.
잘 아는 사람이 보면 그냥 호구처럼 보이지만 모르는 사람 입장에선 저게 가장 합리적이고 편한 방법입니다.
한국화약주식회사
20/04/12 21:11
수정 아이콘
백종원이 집밥 요리는 정말 쉬운데 왜 사먹는지 이해 못하는거랑 같습니다.
20/04/12 21:14
수정 아이콘
컴퓨터에 아예 문외한이라서 그런거라 봅니다. 요리랑 비교하기 어려운게 돈 삼만원이면 조립도 다 해서 완제품 형태로 주죠.
Openedge
20/04/12 21:15
수정 아이콘
조립도 하다하다 해보면 지쳐요.
취업전까지 6대 조립하고 취업을 전산실로 해서 수백여대를 뜯다가 부품 교환하거나 하다보니 질려가지고
6년차 때쯤에 그냥 완제품으로 샀네요...

정작 완제품 받아놓고 사블 별로도 구매해서 추가한건 안비밀...
소녀시대
20/04/12 21:19
수정 아이콘
자신이 쉽다고 남들도 다 쉬운건 아닙니다.
20/04/12 21:26
수정 아이콘
제도나 규정상 완제품으로만 구매 가능한 경우에는 답이 없습니다
스위치 메이커
20/04/12 21:44
수정 아이콘
맥 두 둥 등 장
20/04/12 21:44
수정 아이콘
컴퓨터에 대해 전혀 모르는 사람이 주변에 많더군요.
하카세
20/04/12 22:39
수정 아이콘
휴대폰 사는거랑 비슷할듯...
로즈 티코
20/04/12 23:01
수정 아이콘
컴퓨터에 대해서 [아무것도] 몰라도
컴퓨터를 쓸 수 있게 해주는게 완제품 컴퓨터지요.
Funtastic
20/04/12 23:27
수정 아이콘
몰라서 완제품으로 사는 겁니다.
싸고 좋은물건 놔두고 일부러 비싼 완제품을 살 이유가 없잖아요.
이건 돈뿐만 아니라 모든 분야에 똑같습니다.
Idioteque
20/04/12 23:30
수정 아이콘
조립할 줄 몰라서 완제품으로 구매했습니다.
20/04/12 23:34
수정 아이콘
컴퓨터 조립보다 자동차 정비를 배워야 합니다.
배우는 난이도 대비 아끼는 돈 액수가 훨신 뛰어납니다.
자동차는 못고치면서 컴퓨터 조립해서 돈아낀다는 호구들 많죠.
20/04/13 00:28
수정 아이콘
경험상 갑자기 무의미하다고 생각하게 되는 과도기가 있더군요 의욕이 없어요
20/04/13 01:39
수정 아이콘
브랜드잖아요. 컴퓨터도 가전 제품처럼 느끼는 사람이 적지 않은 거죠.
긴 하루의 끝에서
20/04/13 01:58
수정 아이콘
잘 모르고, 모르는 것을 배워나갈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학습의 이로움은 인정하더라도 그러기에는 귀찮음 등의 손해를 감수해야만 하고, 그 손해를 참아가며 얻는 이점보다는 그러지 않음으로서 얻는 이점을 더 크게 받아들이니 그런 겁니다. 사실 세상 모든 일이 다 그렇죠. 그 어떤 것도 배워 놓으면 다 쓸모 있기 마련인데 그 누구도 모든 것을 잘 알며 그러기 위해 매번 노력하지는 않습니다. 그런데 인터넷상에서는 주 이용층의 성별, 연령별, 성향별 특성 때문인지 유독 달리 생각하는 분야들이 몇 있습니다. 따지고 보면 성별, 연령별 특성이라기에는 그 내에서도 뚜렷한 경향성이 나타나는 건 아니기 때문에 성향별 특성이라고 보는 게 더 맞겠네요. 상식 논란은 정규 교육 과정 등과 같은 합리적인 이유라도 언급되는데 이건 정말 지극히 자의적인 기준에 근거를 두고 있습니다. 심지어 그 기준에 벗어나는 부류를 함부로 호구 취급하며 얕잡아 보기까지 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에서 반감 사기에는 딱이에요.
지드래곤
20/04/13 03:41
수정 아이콘
저도 어렸을때는 조립도 하고 부품바꾸는 재미로 해왔습니다. 성인이 되고 어느정도 가정을 가지고 고소득 직업을 갖게되었는데 일일히 리서치하거나 조립하거나 그럴 여유나 시간이 없습니다. 취미가 조립하는게 아닌이상 시간을 투자하기가 힘듭니다. 그시간에 일을 더하거나 애들을 보는게 더 소중합니다. 참고로 저는 Dell Alienware 데스크탑을 대충 2500불 주고 샀네요. 비슷한 사양으로 조립으로 주문하면 1200~1500정도 될꺼고요. 산지 6개월인가 후에 화면이 좀 깜빡거리고 블루스크린이 뜨길래 A/S 불렀더니 기사가 다음날 와서 뚝딱 고치고 갔습니다. 뭐가 불량인지 troubleshoot하고 부품 새로 주문하고 이럴 시간이 많이 세이브되는게 가장 큰것 같습니다.
나이스후니
20/04/13 08:06
수정 아이콘
편한게 가장 크죠. 저도 20대때는 직접조립하고, 휴대폰도 최저가 찾아서 직접 가서 사고 그랬는데, 나이 먹다보니 그거에 쓸 에너지가 부족해집니다.신경쓸것도 많아지고요.
동네슈퍼주인
20/04/13 10:00
수정 아이콘
밥 짓는 거 쉬운데 왜 햇반 사먹느냐 와 같은 질문입니다.
20/04/13 10:13
수정 아이콘
저도 그냥 모든 부품 최저가랑 비교하면서 밸런스 맞추고 이런거 귀찮아서 .. 조립도 맡겨요
저보다 더 귀찮으면 브랜드컴 사는거죠
콘솔 많이 팔리는거랑 같은 논리라고 봅니다 크크
20/04/13 10:40
수정 아이콘
예전에 삼성전자 콜센터에서 알바한적이 있는데 컴퓨터를 잘 모른다라는 범위가 상상 이상이에요

버튼만 누르면 되는 전원 키는거 모르는 사람, 그리고 컴퓨터 전원이 왜 안들어오냐고 한시간동안 욕하더니 전원코드 빠져있거나

이런분들은 그냥 무조건 대기업사야지 조립컴퓨터 사면 박살납니다
싸구려신사
20/04/13 10:44
수정 아이콘
귀찮아서요. 지금껏 조립해서 사용했는데 앞으로는 그냥 조립도 맡길겁니다.
로드바이크
20/04/13 11:15
수정 아이콘
저는 집에서는 조립을 쓰고 직장에서는 완제품을 쓰는데. 완제품이 뭔가 더 깔끔하고 조용하고 오류도 덜나는거 같애 -0- 스펙은 조립이 훨 낫죠.
20/04/13 11:31
수정 아이콘
귀찮아서요
배달음식 시켜먹을때도
만들어 먹으면 되는데 시켜먹자나요?
20/04/13 12:29
수정 아이콘
조립형 컴퓨터안사고 브랜드완제품컴퓨터 사는 질문인거같은데...

귀찮은게 아니라

사양 차이를 모르는것뿐더러 브랜드컴퓨터가 좋은줄 알고 AS 떄문에 사는거죠.
밥잘먹는남자
20/04/13 14:40
수정 아이콘
부모님께서는 브랜드완제품아니면 어디서 듣도보보못한걸사왔다고ㅜㅜㅜ
조립하면 50만원대로 끝날거 완제품은 백만원후반대더라구요 그래도 뭐 원하는걸로 사드려야죠ㅜㅜ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4240 [질문] 바람(불륜)을 주제로 한 영화가 있을까요? [40] 아엠포유8093 20/04/20 8093
144239 [질문] 커플용 PS4 타이틀 추천해주세요 [21] Kaga10163 20/04/20 10163
144238 [질문] 보조배터리 충전단자 수리는 어떻게 할 수 있나요? [3] VictoryFood4649 20/04/20 4649
144237 [질문] 컴퓨터 견적 및 모니터 추천 질문입니다~ [2] 비오는거리6477 20/04/20 6477
144236 [질문] 업무용 무선 키보드&마우스 추천 부탁드립니다. [3] 사이시옷6182 20/04/20 6182
144235 [질문] 회사 차장님 득남 기념 선물 뭐가좋을까요? [14] 5151 20/04/20 5151
144234 [질문] HD600 헤드폰과 앰프 질문입니다 [8] Crash9468 20/04/20 9468
144233 [질문] QR코드 결제가 중국처럼 활성화 될수 있을까요? [13] 빵떡유나5401 20/04/20 5401
144232 [질문] 중요하지 않은 일로 마스크를 낀채 하는 외출은 비난받아야 한다고 보시나요? [21] 마르키아르6992 20/04/20 6992
144231 [질문] 말리부 중고 구매하려 합니다. 선택도와주세요!! [6] 또바기5988 20/04/19 5988
144230 [질문] Lec 결승 한국어해설 [5] 릴로킴4792 20/04/19 4792
144229 [질문] 새 컴퓨터로 바꿔도 배틀넷 사이트, 앱 접속이 잘 안되네요. [12] 고요6541 20/04/19 6541
144228 [질문] 중국인들의 기인 선수에 대한 평가는 어느정도인가요? [4] 묻고 더블로 가!5968 20/04/19 5968
144227 [질문] 기계식 키보드 타건해보기 좋은 데가 어디 있을까요? [6] -안군-11871 20/04/19 11871
144226 [질문] 밤하늘 별을 보면 눈이 나빠져야하는 게 아닐까요? [12] 티타늄6763 20/04/19 6763
144225 [질문] 4k 모니터 활성신호해상도, 바탕화면해상도 HonnHon9944 20/04/19 9944
144224 [질문] 평생 근력운동 중 딱 하나만 해야한다면 [30] 삭제됨8127 20/04/19 8127
144223 [질문] 꽃이름 감정 부탁드립니다. [9] 부기영화5564 20/04/19 5564
144222 [질문] 저탄고지 아니면, 삼겹살 먹으면 안되나요? [9] 스타듀밸리7658 20/04/19 7658
144221 [질문] 스타1 배틀넷 방을 만들면 오류가 잦습니다 [5] s-toss4885 20/04/19 4885
144220 [질문] 가정용 제빙기 추천좀 부탁 드립니다. 괴도키드4554 20/04/19 4554
144219 [질문] 한국 가정의 보편적인 식사 방법이란? [13] 긴 하루의 끝에서5636 20/04/19 5636
144218 [질문] 관심사가 너무 많아 모든걸 포기하게 됩니다 [17] 야크비쉬7652 20/04/19 7652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