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4/10 12:19:24
Name empty
Subject [질문]  미학자 진중권에 대한 평가가 어떤가요?
[미학자]로서의 진중권에 대한 평가가 궁금합니다.

개인적으로
관심은 엄청 많은데 잘 모르는 분야가 미술, 미술사, 미학 이쪽이라 틈틈이 남는 시간에 공부를 할까 하는데요.
학부/대학원 시절 db에 올라와 있는 미학관련 교양강의가 진중권 강의기도 했고...
지금 알라딘 장바구니에 담겨 있는 책도 진중권의 서양미술사고...

꺼라위키에서도 교육자로서의 진중권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서술하고 있긴 한데...

1. 미학자로서의 진중권의 연구성과, 위치가 어떠한지
2. 진중권의 저서(아 물론 네 무덤에 침을 뱉으마 이런 건 빼고요)가 미학이나 미술사 관련 입문용 책으로 적절한지

+3. 그 외 해당 분야에 대해 추천하시는 도서가 있는지

나름 짧지 않은 pgr 경력을 통해서
그래도 이곳이 특정한 주제에 대해서 연구자 전공자 분들도 많이 있으시고 꺼라위키보다 전문적일 때가 있다는 경험을 얻었으므로...

뭔가 어그로 끌릴 것 같아서 걱정이긴 한데, 어쨌든 관련해서 궁금한 질문을 올려봅니다. 답변해주시는 분들께 미리 감사드립니다.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20/04/10 12:31
수정 아이콘
10년 전쯤에 다른 책의 독서모임으로 미학이라는 개념을 접했는데 그 모임에서 미학 오디세이 좋은 입문서로 평했던걸로 기억합니다.
20/04/10 12:36
수정 아이콘
좋은 미학자인지는 잘 모르겠는데 괜찮은 미학강사입니다
차라리꽉눌러붙을
20/04/10 13:03
수정 아이콘
저는
미학오디세이 아직 사놓기만 하고 안읽어 봤습니다만... 대충 느낌은 좋은 입문강사지만 딱히 학문적인 업적은 크지는 않은게 아닐까 합니다.
20/04/10 15:27
수정 아이콘
(수정됨) 진중권이 유리 로트만 전공한 걸로 아는데 로트만 쪽은 제가 잘 몰라서 판단은 못하겠네요. 미학오디세이 같은 책은 우선 쉽고 '괴델,에셔,바흐'에서 모티프를 따와서 재밌긴 합니다. 기본적으로 글은 잘 쓰는 편으로 보고 말은 재밌습니다. 영화 디워 때 토론 한 거는 봐도 봐도 웃겨요.
입문용 책은 곰브리치 서양미술사가 제일 나은 거 같긴한데 이건 그저 미술사고, 미학은 바움가르텐이나 칸트의 1차 서적을 볼 수는 없으실 테니 그쪽 입문서를 한 번 찾아보시는 것도 좋을 거 같습니다
상한우유
20/04/10 16:49
수정 아이콘
미학석사 아닙니까?
Cazellnu
20/04/10 17:21
수정 아이콘
제가 알기로도 독일가서 결국 학위 취득 못하고 온걸로 아는데 확실하진 않네요
20/04/10 17:37
수정 아이콘
네 맞습니다. 서울대 미학 학사,석사입니다.
주홍불빛
20/04/10 18:39
수정 아이콘
미학 관련해서 대중적인 수준에서 가장 글을 잘 쓰는 사람이 아닌가 싶습니다. 글을 이해하기 쉽게 잘 쓰는 편이고, 애초에 미학 관련 대중적인 글을 쓰는 사람을 찾기도 힘들고...
Fred Couples
20/04/11 08:32
수정 아이콘
미학자요?

서울대 가고 싶어서 안달복달한 함량미달자입니다.
20/04/18 21:19
수정 아이콘
확실히 미학 쪽은 서울대 말고는 별로 수요가 없어서 그런지 입문자 용은 참 어려운 거 같네요. 국내 입문자용으로는 진중권이 최고인 건 맞는 거 같습니다.

제 생각에 곰브리치 서양미술사, 타타르키비츠 미학사를 베이스로 하고 브리기테 셰어의 미와 예술을 대륙철학 쪽 느낌으로, 노엘 캐럴의 예술철학을 영미 쪽 느낌으로 두면 괜찮지 않을까 싶기도 한데 결코 쉽지는 않을 거 같긴 해요.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4000 [질문] 젤리피쉬라는 광고대행사는 어떤 곳인가요? 트와이스정연5003 20/04/11 5003
143999 [질문] 쥐 어떻게 잡나요? [2] 이런이런이런4355 20/04/11 4355
143998 [질문] 모바일 리듬게임 추천 부탁드립니다. [9] 이민들레4648 20/04/11 4648
143997 [질문] 몸이 너무 망가져서 체형교정이 너무 마렵습니다.. [7] 빵떡유나6290 20/04/11 6290
143996 [질문] 제가 주식배당금을 받았는데 이렇게 이해하면 될지요...? [4] nexon6829 20/04/11 6829
143995 [질문] 민생당 뭐하는 곳인지 아시는 분 계신가요? [13] 0ct0pu57190 20/04/11 7190
143994 [질문] 모니터 기름얼룩 제거에 효과적인 것은? [13] s-toss6962 20/04/11 6962
143993 [질문] 인베스팅닷컴 어플 광고제거 버전 쓰시는분 계신가요? 안철수6794 20/04/11 6794
143992 [질문] 영화 제목이 기억나지 않습니다.. [8] 총사령관4646 20/04/11 4646
143991 [질문] 기계식 키보드 선택 및 추천 부탁드립니다! [5] 아이오우4725 20/04/11 4725
143990 [질문] 라디오 안테나를 벽 단자에 연결할수 있는 방법 좀 알려주세요 [1] 삭제됨4710 20/04/11 4710
143989 [질문] 요새 만보기 어플을 활용한 제휴들이 많은 이유가 있나요? [3] 멍멍머멈엉멍4487 20/04/11 4487
143988 [질문] [LOL] 현재 KT 롤알못 질문 드립니다. [19] HesBlUe5539 20/04/11 5539
143986 [질문] 빨래 건조기 어떤 게 좋을까요? [3] 카페알파4239 20/04/11 4239
143985 [질문] 부모님 컴퓨터 사양 질문 입니다. [4] Imhuman4569 20/04/11 4569
143984 [질문] 모니터 DP케이블 오프라인에서 살 수 있는 곳 있을까요? [4] 명군9824 20/04/11 9824
143983 [질문] 엑셀 서식 질문드립니다. [2] Aiurr3649 20/04/11 3649
143982 [질문] 삼성 바이오로직스 주식 팔아야 할까요? [21] klemens24865 20/04/11 4865
143981 [질문] 4k 영상을 1080 모니터로 볼 경우 화질이 더 나은가요? [6] 키친타올5489 20/04/11 5489
143980 [질문] 아이폰 쓰시는 분 한가지 질문 좀 드릴게요. [3] 삭제됨3832 20/04/10 3832
143979 [질문] 구글 기프트 카드 잔액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3] 기사왕4050 20/04/10 4050
143978 [질문] [컴퓨터] 그래픽카드 팬이 안돌아가는데요. [12] 11년째도피중8774 20/04/10 8774
143977 [질문] [해외축구?][음악?] 호나우두와 그의 주제가(?) 질문입니다. [4] 삭제됨5244 20/04/10 5244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