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GR21.com
- PGR21 관련된 질문 및 건의는 [건의 게시판]을 이용바랍니다.
- (2013년 3월 이전) 오래된 질문글은 [이전 질문 게시판]에 있습니다.
통합 규정을 준수해 주십시오. (2015.12.25.)
Date 2020/02/01 18:36:19
Name nexon
Subject [질문] 금이나 달러에 투자한다면 어떤 방식으로 하는 것이 좋은지요...?

안녕하세요..

국제경기가 불안하면 안전자산인 금이나 달러 가격이 오른다는데요.. @@

만약 금이나 달러에 투자한다고 하면 아래 셋 중에 어떤 방법이 제일 안전하고 수익도 좋은 것일까요...?

1. 실물 금/현찰 달러를 매매
2. 금/환율 etf를 매매
3. 금/환율 관련 주식을 매매

생각해보면 1. 실물 금/현찰 달러를 매매하면 각종 세금이나 수수료가 비쌀 것 같고

3. 금/환율 관련 주식을 사면 변동성이 너무 커서 매매 타이밍을 잡기 어려울 것 같아서

2. 금/환율 eft를 매매하는 게 제일 나을 것 같은데 혹시 더 감안해야 할 요소나 다른 장단점들이 있을까요...? @@


통합규정 1.3 이용안내 인용

"Pgr은 '명문화된 삭제규정'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은 분을 환영합니다.
법 없이도 사는 사람, 남에게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는 분이면 좋겠습니다."
김유라
20/02/01 18:54
수정 아이콘
(수정됨) 본문에 적어주셨다시피 ETF가 제일 손쉬운 방법입니다. 굳이 방법을 정리하자면,

1. 실물투자(골드바/현물 달러 보유)
장점) 실물을 보유하게 되므로 상속세, 증여세 등 보유 시 세금 관련 제약이 덜함
단점) 초기 구매 비용이 비싸며(골드바 가격 + 부가가치세, 제련료 납입 등), 최소 30% 수익 보고 해야 수수료 효율이 나옴.

2. 은행 금 통장 개설
장점) 은행에서 대신 금을 사주는 형태이므로 일종의 현물 자산이라고 보아도 무방
단점) 예금자 보호법 비대상, 소득세 15.4%

3. KRX(금 거래소)의 금 거래계좌 개설
장점) 양도소득세, 배당 소득세 없음. 매매차익에 대한 비과세. 현물과 ETF의 중간 단계
단점) 실물 인출 시 부과세 10%

4. 금 ETF/달러 ETF
장점) 값싼 수수료. 즉각적인 현금화가 굉장히 편리함
단점) 거래 수수료 부과 정도?

개인적으로는 금/달러 ETF 투자가 제일 보편적이고 편리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금 주식은 뭘 의미하는지 모르겠네요. 테마주를 사신다는건지?

만약에 테마주를 말씀하신다면 테마주는 가장 하이리스크하고 하이리턴인 방법입니다만, 사실 권장드리고 싶지는 않네요. 테마주는 주포와 심리에 움직이기 때문에 금값은 오르는데 주식은 정체될 수도 있습습니다. 테마주의 일례를 말씀드리면, 저희 아버지가 계시던 회사가 한때 한일무역분쟁 테마주로 핫했는데 사유가 '반도체 연구' 였습니다. 그 회사는 반도체를 한 적도 없고, 할 계획도 없습니다. 연구실이라 불리는 곳은 대학교 랩실 정도의 작은 시설이고요. 테마주가 이렇습니다.
불굴의토스
20/02/01 19:41
수정 아이콘
ETF가 제일 좋습니다.
파랑파랑
20/02/02 02:47
수정 아이콘
s&p500 etf
20/02/02 10:42
수정 아이콘
@@ 감사합니다... (__)
목록 삭게로! 맨위로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141816 [질문] 이번 아이즈원 발매예정인 새 앨범 질문입니다. [5] 할부지상어2766 20/02/03 2766
141815 [질문] 골목식당에 나온 식당중 갈만한 곳 있을까요? [15] 엔지니어4411 20/02/03 4411
141814 [질문] 간수치가 약간 높다는데 다른 병원가봐야할까요? [7] 프리템포3685 20/02/03 3685
141813 [질문] kf94 마스크 얼마만에 교체하시나요? [14] 유니꽃6056 20/02/03 6056
141812 [질문] 2대보험 가입자 연말정산 질문입니다. [4] 신류진3598 20/02/03 3598
141811 [질문] 유튜브 뮤직 질문 [1] 봉효2491 20/02/03 2491
141809 [질문] 마이크 기능 없는 웹캠이 있을까요? 따루라라랑4518 20/02/03 4518
141808 [질문] 33년 인생, 이제 헬린이가 되볼까 하는데, 생초보 질문입니다. [6] 클레멘티아5584 20/02/03 5584
141807 [질문] 기타 연습할만한 공간이 있을까요? [4] 연필깍이3834 20/02/03 3834
141806 [질문] 안녕하세요 그림용 패드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14] PENTAX3576 20/02/02 3576
141805 [질문] 토익 950점 목표... 인강 추천 부탁드립니다. [11] 찬가(PGR21)4485 20/02/02 4485
141804 [질문] 해외직구 관련 질문입니다! [4] 안유진2882 20/02/02 2882
141803 [질문] 모기는 아닌거 같은데 뭔가가 자꾸 물어요. [7] 플플토4400 20/02/02 4400
141802 [질문] 근현대사 쉬운 책 추천부탁드려요. [5] monkeyD4456 20/02/02 4456
141801 [질문] 호텔 델루나 남성도 볼만 한가요? [19] 오오와다나나4266 20/02/02 4266
141799 [질문] 여러분이 위법행위를 안 하게 되는 이유가 뭔가요? [49] CoMbI COLa5958 20/02/02 5958
141798 [질문] 집질문입니다. [2] 교자만두3302 20/02/02 3302
141797 [질문] 롤만하면 내 문서에 .tmp 파일이 생깁니다. [5] 윤정14878 20/02/02 14878
141796 [질문] [LOL] 북미 dignitas 어떻게 보십니까? [7] 파핀폐인4214 20/02/02 4214
141795 [질문] 3명이서 즐길만한 게임 있을까요? [4] 기가데인3600 20/02/02 3600
141794 [질문] 이 시국에 수영을 가면 안전불감증일까요? [11] iPhoneX4889 20/02/02 4889
141793 [질문] Oil and gas industry에 대한 홈페이지를 찾습니다. [3] Good2988 20/02/02 2988
141792 [질문] [스토브리그] 왜 백승수가 양아치짓인거죠? [18] F.Nietzsche6526 20/02/01 6526
목록 이전 다음
댓글

+ : 최근 1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맨 위로